$\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킴장애 위험 지역사회 재가노인들의 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elf-Care for Aspiration Pneumonia Prevention Scale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with Risk of Dysphas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3, 2020년, pp.474 - 486  

양은영 (동강대학교 간호학과) ,  이신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Korean version of the Self-Care for Aspiration Pneumonia Prevention (SCAPP-K) scale in older adults at risk of dysphasia. Methods: The Hertz and Baas model of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was used. In the development stage, item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Hertz와 Baas [21]의 자가간호 모델을 근거로 하여 삼킴장애 위험노인의 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Hertz와 Baas [21]의 자가간호 모델은 중범위 이론으로 개별적 관점과 삶의 경험을 기본으로 자기결정 및 다면화된 자가간호의 관점을 설명하고 타인의 도움을 통한 자가간호가 가능함을 인정하며, 자가간호를 사정하고 중재하며 결과를 평가하는데 있어 적합한 이론적 기틀을 제공하고 있다.
  • 본 연구는 Hertz와 Baas [21]의 자가간호모델을 개념적 기틀로 하여 삼킴장애 위험 노인의 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자가간호 측정도구는 자가간호인식, 자가간호자원, 자가간호행위의 세 개의 요인과 자가간호인식 4문항, 자가간호자원 7문항, 자가간호행위 10문항으로 이루어진 총 21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다차원적이면서도 간결한 도구이다.
  • 본 연구는 삼킴장애 위험 노인을 대상으로 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측정도구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측정도구의 개발과정은 Lynn [22]이 제시한 구성요인 규명, 예비도구 구성, 사전조사, 신뢰도 타당도 검증 단계 방법에 근거하여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절차는 측정도구 개발단계(문헌조사, 개인면담, 전문가리뷰, 예비조사)와 측정도구 평가단계(설문지 조사)로 구분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삼킴장애 위험 노인을 위한 흡인성 폐렴 예방 자가 간호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삼킴장애 위험 노인의 흡인성 폐렴을 예방하기 위한 자가간호에 대한 사정 및 간호중재의 평가에 체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노인의 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한 간호연구와 간호실무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Hertz와 Baas [21]의 자가간호 모델을 바탕으로 삼킴장애 위험노인을 대상으로 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한 자가 간호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4%이었다. 예비조사를 통해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이나 응답에 어려움이 있는 문항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예비조사 결과, 문항 중에 내용상 의미가 불명확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은 없었으며, 설문에 소요되는 시간은 20분 정도이었다.
  • 삼킴장애 위험 노인의 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연구를 수행할 때, 삼킴장애 위험도를 평가한 후 흡인성 폐렴을 예방하기 위한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립된 자가간호 측정도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지만, 지금까지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립된 측정도구는 개발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삼킴장애 위험 노인을 위한 흡인성 폐렴 예방 자가 간호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삼킴장애 위험 노인의 흡인성 폐렴을 예방하기 위한 자가간호에 대한 사정 및 간호중재의 평가에 체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노인의 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한 간호연구와 간호실무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tatistics Korea. Elderly population Korea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19 [cited 2020 Apr 5]. Available from: http://kosis.kr/search/search.do?query%EB%85%B8%EC%9D%B8%EC%9D%B8%EA%B5%AC. 

  2. Teramoto S, Fukuchi Y, Sasaki H, Sato K, Sekizawa K, Matsuse T. High incidence of aspiration pneumonia in community-and hospital-acquired pneumonia in hospitalized patients: A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in Japa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8;56(3):577-579.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8.01597.x 

  3. Rhyou KS, Yang YH.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outcomes of elders with aspiration pneumon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8;20(1):45-55. https://doi.org/10.17079/jkgn.2018.20.1.45 

  4. Park MS, Choi-Kwon S. Comparison of pneumonia severity of illness score and clinical features in elderly patients with aspiration pneumonia and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8;10(2):142-151. 

  5. Park S, Lee JY, Jung H, Koh SE, Lee IS, Yoo KH, et al. Use of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in patients with aspiration pneumonia.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12;36(6):785-790. https://doi.org/10.5535/arm.2012.36.6.785 

  6. Makhnevich A, Feldhamer KH, Kast CL, Sinvani L. Aspiration pneumonia in older adults. Journal of Hospital Medicine. 2019;14(7):429-435. https://doi.org/10.12788/jhm.3154 

  7. Serra-Prat M, Palomera M, Gomez C, Sar-Shalom D, Saiz A, Montoya JG, et al. Oropharyngeal dysphagia as a risk factor for malnutrition and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independently living older persons: A population-based prospective study. Age and Ageing. 2012;41(3):376-381. https://doi.org/10.1093/ageing/afs006 

  8. Orem DE. Nursing: Concepts of practice. 6th ed. St. Louis (MO): Mosby; 2001. p. 29-60. 

  9. Thomson WM, Lawrence HP, Broadbent JM, Poulton R. The impact of xerostomia on oral-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younger adul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6;4:86. https://doi.org/10.1186/1477-7525-4-86 

  10. van der Maarel-Wierink CD, Vanobbergen JN, Bronkhorst EM, Schols JM, de Baat C. Risk factors for aspiration pneumonia in frail older peopl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1;12(5):344-354. https://doi.org/10.1016/j.jamda.2010.12.099 

  11. Luk JK, Chan DK. Preventing aspiration pneumonia in older people: Do we have the 'know-how'? Hong Kong Medical Journal. 2014;20(5):421-427. https://doi.org/10.12809/hkmj144251 

  12. Kang SG, Lee EN, Lee SW.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self-care in gout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4;21(1):55-64. https://doi.org/10.5953/JMJH.2014.21.1.55 

  13. Kim Y, Park S.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behaviors of renal 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9;27(4):320-327. https://doi.org/10.17547/kjsr.2019.27.4.320 

  14. Kim S, Lee S. Influences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sick role behavior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4;28(2):228-240. https://doi.org/10.5932/JKPHN.2014.28.2.228 

  15. Kim SH, Kim JS.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preventive nursing for aspiration pneumonia in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2):99-109. 

  16. Palmer JL, Metheny NA. Preventing aspiration in older adults with dysphagia.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2008;108(2):40-48; quiz 49. https://doi.org/10.1097/01.NAJ.0000308961.99857.33 

  17. Harrison RA, Marrie TJ. Aspiration pneumonia among older adults. Geriatrics & Aging. 2008;11(2):111-115. 

  18. An N, Jun Y, Song Y.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hypertension self-care behavior scale for elders with hypertens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7;24(1):1-8. https://doi.org/10.7739/jkafn.2017.24.1.1 

  19. Miyawaki Y, Shimizu Y, Uchiumi K, Asou K, Murakado N, Kuroda K,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hortened version of an instrument for diabetes self-care agency.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15;23(2):326-335. https://doi.org/10.1891/1061-3749.23.2.326 

  20. Clari M, Matarese M, Alvaro R, Piredda M, De Marinis MG. Measurement properties of instruments evaluating self-care and related concepts in people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Heart & Lung. 2016;45(5):441-448. https://doi.org/10.1016/j.hrtlng.2016.06.006 

  21. Hertz JE, Baas L. Self-care: Knowledge, resources, and actions. In: Erickson HL, editor. Modeling and Role-Modeling: A View from the Client's World. Cedar Park (TX): Unicorns Unlimited; 2006. p. 5-32. 

  22.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5. 

  23. Fukada J, Kamakura Y, Manzai T, Kitaike T. Development of dysphagia risk screening system for elderly persons. The Japanese Journal of Dysphagia Rehabilitation. 2006;10(1):31-42. 

  24. Whang SA. Prevalence and influencing factors of dysphagia risk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4;34(1):37-48. 

  25.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4th ed. Newbury Park (CA): Sage; 2017. p. 1-280. 

  26. Nunnally JC Jr, Bernstein IH.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cGraw-Hill; 1994. p. 3-741. 

  27. Fayers PM, Machin D. Quality of life: The assessment, analysis and reporting of patient-reported outcomes. 3rd ed. Chichester: John Wiley & Sons; 2016. p. 3-546. 

  28. Steiger JH. Tests for comparing elements of a correlation matrix. Psychological Bulletin. 1980;87(2):245-251. https://doi.org/10.1037/0033-2909.87.2.245 

  29. Yu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2. p. 3-567. 

  30. Fearon-Lynch JA, Sethares KA, Asselin ME, Batty K, Stover CM. Effects of guided reflection on diabetes self-car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Diabetes Educator. 2019;45(1):66-79. https://doi.org/10.1177/0145721718816632 

  31. Yim SW, Kim YH, Son HM. Risk for dysphagia and nutritional status in community-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4;16(3):288-298. https://doi.org/10.17079/jkgn.2014.16.3.288 

  32. Cabre M, Serra-Prat M, Force L, Almirall J, Palomera E, Clave P. Oropharyngeal dysphagia is a risk factor for readmission for pneumonia in the very elderly persons: Observational prospective stud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14;69(3):330-337. https://doi.org/10.1093/gerona/glt099 

  33. Caro-Bautista J, Martin-Santos FJ, Morales-Asencio JM. Systematic review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theoretical grounding of instruments evaluating self-care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4;70(6):1209-1227. https://doi.org/10.1111/jan.12298 

  34. Toobert DJ, Glasgow RE. Assessing diabetes self-management: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In: Bradley C, editor. Handbook of Psychology and Diabetes: A Guide to Psychological Measurement in Diabetes Research and Management. Langhorne (PA): Harwood Academic Publishers; 1994. p. 351-375. 

  35. Jeon MK, Park GJ. Development of a self-care performance scale for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gastrectomy. Asian Oncology Nursing. 2016;16(2):67-74. https://doi.org/10.5388/aon.2016.16.2.67 

  36. Xiaolian J, Chaiwan S, Panuthai S, Yijuan C, Lei Y, Jiping L. Family support and self-care behavior of Chines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02;4(1-2):41-49. https://doi.org/10.1046/j.1442-2018.2002.00100.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