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뇌졸중 후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체크리스트 개발 및 활용정도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Checklist for Post-stroke Dysphagia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2, 2013년, pp.113 - 124  

이은하 (전남대학교병원) ,  최자윤 (전남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checklist to assess and manage post-stroke dysphagia and to identify its utilization. Methods: The first step was to develop checklist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s reviews, to test the content validity from 11 clinical expert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삼킴양상과 초기 흡인 증상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활용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70세 이상, 안면마비가 있는 경우 및 물만 섭취하는 뇌졸중 후 대상자에게 연하곤란에 대한 사정이나 중재 체크리스트 활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전략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와 개발된 체크리스트의 임상 활용정도를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연하곤란을 사정하고 중재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도구의 임상 활용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의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 실제 임상에 적용 후 체크리스트를 구성하는 항목 중 활용되는 정도를 분석하였다. 국 ‧ 내외 문헌고찰 결과,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연구는 대부분 비디오 투시 검사를 이용하여 연하곤란으로 발생한 흡인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Han, Paik, & Park, 1999).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검색과 고찰을 통하여 신뢰성 있고 타당한 뇌졸중 후 연하곤란을 사정하고 중재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예비 체크리스트의 내용과 구성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걸쳐 뇌졸중 후 연하곤란 사정을 위한 18개 항목과 사정항목과 연계된 중재를 위한 64개 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체계적인 문헌검색과 고찰을 통하여 뇌졸중 후 연하곤란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사가 손쉽게 활용할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도 있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자 하였 으며, 사정항목과 이와 연계된 중재항목의 임상 활용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어떤 합병증을 남기게 되는가? 뇌졸중은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생존한다 하더라도 뇌의 병변에 따라 반신부전, 반신 감각장애, 언어장애, 구음장애, 연하곤란, 시력 및 시야장애, 의식소실 등의 다양한 합병증과 장애를 남기게 된다(Kumar, Selim, & Caplan, 2010). 이들 뇌졸중 관련 합병증 중 연하곤란은 허혈성뇌졸중에서는 전순환계의 완전경색(total anterior circulation infarct)의 경우가 다른 부위 경색에 비해 연하곤란의 심각한 정도가 높고 치료하는데 기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Shanley와 O'Loughlin (2000)과 Kim (2011)의 연구에서 개발한 연하곤란을 사정하고 중재하는 프로그램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연하곤란을 중재할 수 있는 도구나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로는 Shanley와 O'Loughlin (2000)과 Kim (2011)의 연구가 있는데, 노인요양시설노인의 연하곤란을 사정하고 중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정과 중재 항목이 뇌졸중환자에서 나타나는 의식장애보다는 치매와 같은 섭식거부와 같은 인지기능 저하와 행동장애 등의 항목이 더 강조되어 뇌졸중 후 연하곤란이 있는 대상자에게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뇌졸중 후 연하곤란을 사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중재할 수 있는 실무적용이 용이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것은 매우 의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뇌졸중 후 연하곤란은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가? , 2003; Mann, Hankey, & Cameron, 1999). 이런 뇌졸중 후 연하곤란은 좋지 못한 예후인자이면서 폐렴과 같은 호흡기감염, 영양결핍 및 재원기간의 증가와 기능적 독립성의 감소나 사망률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Ickenstein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nesi-Maesano, I., & Dab, W. (2006). Air pollution and the lung: Epidemiology approach. Medical Science, 22, 589-594. 

  2. Baek, J. Y.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ysphagia of older adults with neurologic disord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Therapy, 15 (1), 47-56. 

  3. Broadley, S., Croser, D., Cottrell, J., Creevy, M., Teo, E., Yiu, D., et al. (2003). Predictors of prolonged dysphagia following acute stroke. Journal of Clinical Neuroscience, 10 (3), 300-305. 

  4. Carnaby, G., Hankey, G. J., & Pizzi, J. (2006). Behavioural intervention for dysphagia in acute strok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Neurology, 2005 (1), 31-37. http://dx. doi.org/10.1016/S1474-4422 (05)70252-0 

  5. Daniels, S. K., Ballo, L. A., Mahoney, M. C., & Foundas, A. L. (2000). Clinical predictors of dysphagia and aspiration risk: Outcome measures in acute stroke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 (8), 1030-1033. 

  6. Dantas, R. O., Kern, M. K., Massey, B. T., Dodds, W. J., Kahrilas, P. J., Brasseur, J. G., et al. (1990). Effect of swallowed bolus variables on oral and pharyngeal phases of swallowing. Th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58 (5 Pt 1), G675-681. 

  7.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2), 175-191. 

  8. Foley, N., Teasell, R., Salter, K., Kruger, E., & Martino, R. (2008). Dysphagia treatment post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Age and Ageing, 37 (3), 258-264. http://dx.doi.org/10.1093/ageing/afn064 

  9. Han, T. R., Paik, N. J., & Park, J. W. (1999). The functional dysphagia scale using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3 (6), 1118-1126. 

  10.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2011, November).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cal yearbook. Retrieved September 1, 2011, from http://www.hira.or.kr/dummy.do? pgmidHIRAA020045020000&cmsurl/cms/information 

  11. Ickenstein, G. W., Stein, J., Ambrosi, D., Goldstein, R., Horn, M., & Bogdahn, U. (2005). Predictors of survival after severe dysphagic stroke. Journal of Neurology, 252 (12), 1510-6. http://dx.doi.org/10.1007/s00415-005-0906-9 

  12. Kim, C. Y. (2011).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and management program for elderly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Kumar, S., Selim, M. H., & Caplan, L, R. (2010). Medical complications after stroke. Lancet Neurology, 9 (1), 105-118. http:// dx.doi.org/10.1016/S1474-4422 (09)70266-2 

  14. Langdon, P. C., Lee, A. H., & Binns, C. W. (2007). Dysphagia in acute ischaemic stroke: Severity, recovery and relationship to stroke subtype. Journal of Clinical Neuroscience, 14 (7), 630-634. http://dx.doi.org/10.1016/j.jocn.2006.04.009 

  15. Mann, G., Hankey, G. J., & Cameron, D. (1999). Swallowing function after stroke: Prognosis and prognostic factors at 6 months. Stroke, 30 (4), 744-748. 

  16. Moon, K. H., Sohn, H. S., Lee, E. S., Paek, E. K., Kang, E. J., Lee, S. H., et al. (2010). Comparison for risk estimate of aspiration between the revised dysphagia assessment tool and videofluoroscopy in post-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3), 359-366. 

  17. Paek, E. K., Yoo, J. S., Moon, K, H., Kim, H. J., Lee, E. S., Lee, J. H., et al. (2007). Dysphagia assessment tool for post-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3), 19-30. 

  18. Perry, L., & Love, C. P. (2001). Screening for dysphagia and aspiration in acute stroke: A systematic review. Dysphagia, 16 (1), 7-18. 

  19.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2009). Korean dictionary. Seoul: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20. Sarin, J., Balasubramaniam, R., Corcoran, A. M., Laudenbach, J. M., & Stoopler, E. T. (2008). Reducing the risk of aspiration pneumonia among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rough oral health interven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9 (2), 128-135. http://dx. doi.org/10.1016/j.jamda.2007.10.003 

  21. Shanley, C., & O'Loughlin, G. (2000). Dysphagia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An assessment and management protocol.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6 (8), 35-48. 

  22. Statistics Korea. (2010).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Seoul: Statistics Korea. 

  23. Sundar, U., Pahuja, V., Dwivedi, N., & Yeolekar, M. E. (2008). Dysphagia in acute stroke: Correlation with stroke subtype, vascular territory and in-hospital respiratory morbidity and mortality. Neurology India, 56 (4), 463-4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