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주 송광사 소조사천왕상의 재질특성 및 제작기법 해석
Interpretation of Making Techniques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Molding Clay of Four Guardian Statues in Wanju Songkwangsa Temple,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8 no.4, 2012년, pp.353 - 366  

한두루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조영훈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완주 송광사 소조사천왕상의 제작기법을 해석하였으며, 소조토의 산지를 추정하여 동일재료로 보존처리 및 복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사천왕상에 사용된 소조토는 층위별로 다양한 재질적 특성을 나타냈다. 원소조토로 추정되는 초벌층과 중벌층은 성인적으로 동일한 토양이 사용되었으며, 마감층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거의 유사한 토양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보수층은 모든 분석결과에서 원소조토와 재질특성이 일치하지 않았다. 감마선 촬영 결과, 사천왕상의 제작은 심목과 부목을 강선과 'ㄷ'자 꺽쇠, 못, 새끼줄 등으로 연결하여 뼈대를 형성하고, 이 위에 소조토를 조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조토의 산지해석 결과, 추정산지 일대 토양은 마감층에 사용된 토양과 동일기원으로 나타나 보존처리용 재료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는 소조상의 제작기법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rpreted the making techniques of the Four Guardian Statues in Wanju Songkwangsa Temple, and retained basic data necessary for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ation of the same material by estimating the soil source. The molding clay used in the Statues showed a variety of mater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완주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중 보존처리가 시급한 북방다문천왕을 대상으로 소조토의 재료 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감마선 촬영을 통해 소조상의 제작 기법을 과학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소조토의 산지를 추정하여 보존처리 및 복원 시 재료 선택이 가능한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 또한 보수층의 토양은 초벌 및 중벌층과 유사한 대자율 특성을 보였으나, 앞의 색도결과에서 상이한 특징을 보였다. 따라서 초벌 및 중벌층에 대한 마감층, 보수층의 층위별 특성 구분은 후술하는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 비교검토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완주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중 보존처리가 시급한 북방다문천왕을 대상으로 소조토의 재료 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감마선 촬영을 통해 소조상의 제작 기법을 과학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소조토의 산지를 추정하여 보존처리 및 복원 시 재료 선택이 가능한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와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앞으로 국내에 현존하는 대형 소조상의 연구 및 보존처리에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수습한 시료를 대상으로 광물학적, 토양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원료 산지와 제작기법을 규명하였다. 우선 각 층위별 소조토의 색도측정을 위해 먼셀 토색첩과 색도계를 이용하여 색도를 측정하였으며, 사용된 색도계는 Minolta사의 CR-300이다.
  • 이 연구에서는 소조사천왕상을 구성하고 있는 소조토의 재료학적 특성과 제작기법을 파악하기 위해 재사용이 불가능한 북방다문천왕 어깨면과 오른쪽 팔에서 미량의 소조토 시료를 수습하였다. 이 때 각 시료의 층위별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 물성 및 입도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층위가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되는 어깨면에서 층위별 대표시료를 수습하였다(Figure 1B).
  • 이 토양시료와 소조토시료의 과학적 동질성을 규명하기 위해 자화강도, 광물학적 특징 및 지구화학적 진화경향을 상세히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북방다문천왕 소조토의 원소조토층으로 판단되는 초벌층 및 중벌층은 마감층과 자화 강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추정산지 토양은 마감층과 더 유사한 자화강도를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기 및 토우 같은 흙을 사용한 조형물을 어느 문명에서든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이유는? 흙을 사용한 조형물은 선사시대의 토기 및 토우를 비롯하여 어느 문명권에서든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재료의 수급이 용이하고 다루기 편리하다는 점에서 손쉽게 조형체로 사용되어왔다. 따라서 불교의 전래와 더불어 소조 상이 조성되었고, 임진왜란 이후 사찰에서는 대형 건조식 소조상이 제작되었다.
소조 사천왕상의 보존처리 및 복원이 시급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 연구의 대상인 완주 송광사 소조사천왕상(보물 제1255호)은 임진왜란 이후 조성된 네 번째 대형 건조식 소조상 7으로 조선시대 후기를 대표하는 소조사천왕상 중 하나로 평가받는 문화재이다. 이 사천왕상 중 북방다문천왕은 2010년에 오른쪽 팔이 어깨부위부터 붕괴되는 손상이 일어났으며, 이외에도 각 사천왕상 중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에서는 균열이 발생되어 있어 보존처리 및 복원이 시급한 상황이다.
소조사천왕상에 감마선 촬영 결과는 어떠한가? 그러나 보수층은 모든 분석결과에서 원소조토와 재질특성이 일치하지 않았다. 감마선 촬영 결과, 사천왕상의 제작은 심목과 부목을 강선과 'ㄷ'자 꺽쇠, 못, 새끼줄 등으로 연결하여 뼈대를 형성하고, 이 위에 소조토를 조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조토의 산지해석 결과, 추정산지 일대 토양은 마감층에 사용된 토양과 동일기원으로 나타나 보존처리용 재료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는 소조상의 제작기법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im, J.W., "A study on Buddhist large stucco images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p1-148, (2000). 

  2. Moon, M.D., "A study on Four-Guardian Statues in the Silla era". Buddhist Art, 5, p10-55, (1980). 

  3. Han, K.S., "A study on the technological processes of Four-Guardian Statutes at the Songkwang-sa, Suncheon". Journal of Korea Bibliography, 30, p97-114, (2005). 

  4. Jeon, K.M., "On the production and the preservation of clay-statues from the Northern Ho-Nam region during the Latter-Chosun era". The Art History Journal, 32, p179-209, (2009). 

  5. Lee, S.B., "A study on making techniques for molding clay of Buddhist statues in Korea".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p1-94, (1988). 

  6. Jo, Y.H., Jo, S.N. and Lee, C.H., "Making technique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for molding clay of Four-Guardian Statues in Songgwangsa Temple, Suncheo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 p43-60, (2010). 

  7. No, M.S., "A study on molding clay of Four-Guardian Statues in Songgwangsa Temple". The Art History Journal, 13, p91-102, (1999). 

  8. Songkwangsa, "(Wanju) Songkwangsa Temple : Seonjong daegaram". p1-99, (1997). 

  9. Kim, K.I. and Hong, S.D., "Relationship between soil color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values by colorimeter".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5, p77-86, (2002). 

  10. Nockolds, S.R.,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p1007-1032, (1954). 

  11. Taylor, S.R. and McLennan, S.M.,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p312, (1985). 

  12. Pearce, J.A.,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t active continental margines". In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Eds. Hawkesworth C.J. and Norry M.J.), Shiva, p230-349, (1983). 

  13. Choi, J.B. and Noh, J.H., "Mineral facies and mineralogy characteristic of rare earth ore". Proceedings of 8th IMB Symposium, 8, p10-19,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