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돌봄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Caring Burden of Families with Dementia in a Communit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4, 2019년, pp.1373 - 1384  

이혜경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김소율 (공주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돌봄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도 11월 30일~12월 9일까지 10일간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 2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감 정도는 치매환자가족의 주돌봄자 연령대, 치매환자와의 관계, 치매환자 돌봄기간, 치매환자 돌봄 시 어려운 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돌봄부담감은 치매지식과 부적상관관계(r=-.145, p=.030)가 있었다. 치매환자가족의 돌봄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치매환자 돌봄기간(β=.408, p=.006), 치매환자 돌봄시 어려운 점(β=-.307, p=.023), 치매환자와의 관계(β=-.299, p=.013), 치매환자가족의 주돌봄자 연령대(β=-.265, p=.007)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돌봄부담감 완화를 위한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돌봄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특히 치매환자 가족돌봄자를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주기적인 신체적·정신적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 burden of dementia patients in the commun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23 dementia patients in the community for 10 days from November 30 to December 9,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돌봄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방안모색 및 지역사회 중심의 효과적인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의 주된 증상은? 치매의 주증상은 비가역적인 인지장애로 기억력, 지적능력의 장애, 언어장애, 행동장애 및 인격변화를 보이며, 장기간에 걸친 악화 과정으로 결국 기본적인 일상생활까지 가족이나 타인에게 오랜 기간 의존하게 된다[4]. 이렇듯 치매는 인지장애 및 행동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수행에 타인의 돌봄이 장기간 필요하므로 치매환자 가족이 직면하는 돌봄부담감이 다른 질환에 비해 크다[4].
치매지식이란? 치매지식은 치매에 대해서 각 사람이 알고 있는 지식의 정도로 단지 질병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자기가 이 질병을 관리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까지 포함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16], 치매에 대한 지식 부족은 치매에 대한 불필요한 두려움이나 무력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치매위험에 대한 과소평가나 비효율적인 건강추구행동을 유발할 수 있고, 치매 조기진단의 장벽이 될 수 있으며, 소극적 또는 부적절한 치료를 초래하고 치매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16]. 따라서 치매지식이 높으면 치매환자를 효율적으로 돌보는데 도움이 되므로[16]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치매지식은 중요하다.
치매환자가족의 치매지식이 중요한 이유는? 치매지식은 치매에 대해서 각 사람이 알고 있는 지식의 정도로 단지 질병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자기가 이 질병을 관리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까지 포함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16], 치매에 대한 지식 부족은 치매에 대한 불필요한 두려움이나 무력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치매위험에 대한 과소평가나 비효율적인 건강추구행동을 유발할 수 있고, 치매 조기진단의 장벽이 될 수 있으며, 소극적 또는 부적절한 치료를 초래하고 치매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16]. 따라서 치매지식이 높으면 치매환자를 효율적으로 돌보는데 도움이 되므로[16]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치매지식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tatistics Korea. Life expectancy (life expectancy at age 0) and life expectancy (excluding health); 2016 Life table Internet]. Daejeon [cited 2017. Dec 5]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58. 

  2. Statistics Korea. 2018 Elderly statistics.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Central Dementia Center, 2016 Nationwide Survey on the Dementia Epidemiology of Korea, (2016). 

  4.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ADI). Global estimates of informal care. 2018. 

  5. E. Y. Cho, E. H. Cho, S. S. Kim,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on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0, No.2 pp.421-437, (2010) 

  6. W. K. Kim,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n Murder or Suicide On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i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 No.2 pp 219-246, (2014). 

  7.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Help Wanted?: Providing and Paying for Long-Term Care, OECD Publishing, Paris. http://dx.doi.org/10.1787/9789264097759-en. (2011). 

  8. H. Brodaty & M. Donkin,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Vol.11, No. 2, pp217-228, (2009). 

  9. S. R. Choi, M. H. Park, "A Prediction Model for Unmet Needs of Elders with Dementia and Caregiving Experiences of Family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46, No.5 pp.663-674, (2016). https://doi.org/10.4040/jkan.2016.46.5.663 

  10. I. S. Ko, E. K. Han, D. R. Kim, "Relationship among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 Burden of Nurses in Center for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 No.9, pp. 67-75,(2017). https://doi.org/10.15207/JKCS.2017.8.9.067 

  11. H. J. Yang, S. W. Han, "Burden of Dementia Patient's Caregiver -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9, No.2 pp. 1-9, (2015) 

  12. J. M. Kim, I. S. Shin, J. S. Yoon, "Determinants of Care Burden of Caregiver in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40, No.6. pp.1106-1113, (2001) 

  13. M. H. Lee, S. Kolomer, "Caregiver burden, dementia, and elder abuse in South Korea", Journal of Elder Abuse & Neglect, Vol.17. No.1, pp.61-74, (2005). 

  14. M. Luppa, T. Luck, E. Brahler, H. H. Konig, S. G. Riedel-Heller, "Prediction of institutionalisation in dementia",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Vol.26, No.1, pp. 65-78, (2008). 

  15. C. A. Cohen, D. P. Gold, K. I. Shulman, J. T. Wortley, G. McDonald, M. Wargon, "Factors determining the decision to institutionalize dementing individuals: a prospective study", The Gerontologist, Vol.33, No. 6, pp.714-720, (1993)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2008). 

  17. I. G. Choi, G. H. Yoo, J. E. Park, G. H. Jang, "Structural Analysis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mentia in Community Dementia Elderly: Focusing on the Third Dementia Management Plan",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Vol.13, No.4, pp.45-70, (2018). 

  18. H. J. Lee, J. W. Lee, J. Y. Lee,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26, No.1 pp. 345-367, (2015). 

  19. M. S. Gang, H. A. Choi, J. S. Hyun, "Different Patterns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Caregiver Burden according to Dementia Type in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5 pp. 459-469, (2016). ttp://dx.doi.org/10.5762/KAIS.2016.17.5.459 

  20. I. S. Ko, E. K. Han, D. R. Kim, "Relationship among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 Burden of Nurses in Center for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 No.9, pp.67-75 , (2017), DOI :http://dx.doi.org/10.15207/JKCS.2017.8.9.067 

  21. E. Y. Cho. "Effects of Family Strength and Daily Liv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on Burdens of Family Caregiver",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8, No. 4 (B), pp. 2149-2165. 2016. 

  22. C. M. Kang, J. S. Kim, J. H. Jeong,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Caregiving by Caregivers for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7 No. 3, pp. 193-201, (2016). 

  23. S. H. Zarit, K. E. Reever, J. Bach-Peterson, "Relatives of the Impaired Elderly: Correlates of Feelings of Burden", The Gerontologist, Vol.20, No.6 pp.649-655, (1980). 

  24. M. B'edard, D. W. Molloy, L. Squire, S. Dubois, J. A. Lever, M. O'Donnell, "The Zarit Burden Interview: A new Short Version and Screening Version", Gerontologist. Vol.41 No.5 pp. 652-7, (2001). 

  25. H. Y. Jang, M. S. Yi, "Effects of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Family Adaptation of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with Dementi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5 No.6 pp. 725-735, (2013). 

  26. S. Y. Chung,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ementia Responsive Service and Remaining Tasks for Long-Term Care Insurance",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Vol.26, pp. 23-51, (2018). http://dx.doi.org/10.22589/kaocm.2018.26.23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11. 17.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50975 

  28. M. H. Park, Y. H. Go, M. R. Jeong, S. J. Lee, S. H. Kim, J. H. Kim, D. Y. Lee, "Influencing Factors and Risk of Caregiver Burden of Family Caregivers for Patient with Dementia",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2 No.3 pp.431-448, (2017). 

  29. J. E. Lee, I. S. Ko, "The Relationship of Caregiving Appraisal and Family Function among Senile Dementia Patients' Families using In-home Services fo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9 No.8 pp. 319-330, (2018).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2nd national dementia management master plan, Seoul Korea, (2012). 

  31. B. H. Byeon, Influence of Functional Status of Elder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ajor Caregivers' Knowledge about Dementia and Social Support on Caregivers' Burd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ans University, (2016). 

  32. M. J. Ham, J. S. Lee, D. H. Yoo, "Analysis of Major Factors of Cognitive Func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of the Patient With Dementia Affecting Caregiver Burde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27 No.3, pp.133-144, (2019). 

  33. J. J. Lee, J. H. Moon, M. H. Lee, H. G. Kim, K. S. Kim, D. G. Kim, C. H. Lee, J. J. Jung, D. J. Do, A. J. Kim, N. R. Park, H. Lim, A Study on Busans Dementia Policies for Super-aged Society. Busan Women and Development Institute. pp. 1-438, (2018). 

  34. D. H. Kim, K. W. Um, "A study on Care Experience of Family Memb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fter Policy Implementation of Dementia Special Rating - Focusing on Difficulty of Care and Necessary Social Servic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0, pp. 349-37, (2015). 

  35. S. O'Dwyer, W. Moyle, S. Wyk, "Suicidal Ideation and Resilience in Family Carers of People with Dementia: A pilot Qualitative Study", Aging & Mental Health, Vol.17 No.6 pp. 753-760, (2013). 

  36. K. H. Suh, W. L. An, "Dementia Caregivers' Stress, Stress Response, and Physical/Mental Health: Focused on the Moderate Effect of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17 No.2 pp. 111-120, (2009). 

  37. E. Y. Cho, E. H. Cho, S. S. Kim,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on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0 No.2 pp. 421-437, (2010). 

  38. K. S. You, "A Study on the Car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for Senile Dementi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15 No.1 pp. 125-147, (2001). 

  39. G. H. Han, J. Z. Son, "The effect that Motives for Caregiving and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have on Caregiving Burden and Reward for Spouse Caregiver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Vol.21 No.2 pp. 81-109, (2009). 

  40. J. H. Choi, "Factors Affecting Dependent Burden of Dementia Elderly Caregivers",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pp.35-43, 2017. 

  41. H. J. Yang, S. W. Han, "Burden of Dementia Patient's Caregiver -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9 No.2, pp. 1-9,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