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포괄적 자기효능증진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Self-Management Program Promoting Self Efficacy for Type 2 Diabetic Patien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9 no.1, 2012년, pp.74 - 86  

박주영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고일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self-management program promoting self efficacy for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The study was a methodological research design in which previous related research was reviewed to develop the comprehensive self-management progr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 2형 당뇨병 환자가 스스로 당뇨병 자가관리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이행할 수 있게 하는 포괄적 자기효능증진 자가관리 프로그램과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포괄적 자기효능증진 자가관리 프로그램과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포괄적 자기 효능증진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프로그램의 목표는 식이관리, 운동관리, 약물관리, 자가혈당 관리, 합병증 및 발 관리, 스트레스 관리, 시간관리, 일반적 건강관리 영역에서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자기효능증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 본 프로그램의 특징 및 장점은 자가관리의 전체 8개 영역(식이관리, 운동관리, 약물관리, 자가혈당 측정, 합병증 및 발 관리, 스트레스 관리, 시간관리, 일반적 건강관리)을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4가지 효능자원(성공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 정서적 상태)을 포함한 전략을 활용하고, 집단 및 소집단 교육 뿐 만 아니라 개별교육 및 상담과 전화상담의 포괄적 방법을 적용하였다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자가관리 이행 강화를 유도하고 당 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효능자원을 활용한 포괄적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혈당을 예방하고 결과적으로 당뇨병 합병증의 발생을 줄여주어 의료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환자의 키, 체중을 이용하여 스스로 본인에게 적당한 칼로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칼로리를 바탕으로 환자 스스로 음식의 양을 조절하게 내용을 구성하였다. 특히, 환자 스스로 구성한 자기 맞춤형 식단을 집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혈당조절을 위하여 식이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것으로 추후 교육 종료 후에도 꾸준히 식이관리 이행을 지속할 수 있도록 당뇨뷔페를 구성하였다.
  • 문헌 검색은 보건연구정보센타(RICH)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첫 단계로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인하고, 두 번째는 적용방법과 자기 효능자원, 세 번째는 효과를 중심으로 검색하였다. 효과 검색에서는 자가관리 향상과 당조절을 목적으로 한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았다. 운동관리나 식이관리의 한 가지 중재를 다룬 단일 영역의 연구와 제 1형 당뇨병 환자, 고혈압을 포함한 연구, 서술연구는 제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당뇨병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대부분의 당뇨병 교육은 지식 습득을 통하여 자가관리를 실천하고 자가관리가 잘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정상적인 혈당관리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Choi (2010)는 당뇨병 교육을 통해 환자의 당뇨병에 대한 지식 증가는 있었을지라도 자가관리 이행이 잘 유지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제 2형 당뇨환자의 자가관리 이행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가?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개발 적용한 프로그램이 당뇨병 환자 자가관리의 중요한 부분인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중 단일 영역에 국한되어 있어 효과적인 당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순한 지식이나 정보제공이 행위의 결과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제 2형 당뇨환자의 자가관리 이행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질병과 관리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이 아닌 포괄적인 지식 제공과 제공방법 뿐 만 아니라 자가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 자기조절, 자아개념, 건강신념, 건강통제위 성격, 우울, 사회심리적 적응, 건강계약, 건강동기 등을 고려한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당뇨병 자가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제 2형 당뇨병 자가관리는 본인의 책임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동시에 실천에 옮길 수 있어야 하며, 당뇨병 환자 스스로가 주체성을 가지고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Song, Choi, Chung, Jang, & Kim, 2002a). 그런데 당뇨병 관리에 있어 수동적이거나 의존적인 환자일수록 혈당조절에 성공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제 2형 당뇨병 자가관리에서 환자의 역할은 단지 받기만 하는 수동적 위치로부터 조금씩 변화하는 적극적인 자가관리자의 역할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hn, J. H. (2000). The Effect of the Self Efficacy Promotion and Exercise Training Program of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1181-1194. 

  2. Bandura, 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ctice-Hall. 

  3. Choi, E. O. (1998). Effects of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type 2 diabetics on the empowerment, self-care behavior and the glycemic contr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Choi, G. A. (2010). Elderly diabetic's self-management program implemented by intervention reserch: Based on empowerment perspectiv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 Choi, J. E. (2008). The effect of short-term follow-up counseling care program which is using telephone calls in diabetes patients with treating insuli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6.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7). The information of chronic illness. Retrieved July 2, 2011, from http://www.hira.or.kr/common/dummy.jsp?pgmidHIRAA0211000 00000 

  7. Hong, M. H., Yoo, J. W., Gu, M. O., Kim, S. A., Lee, J. R., Gu, M. J., et al. (2009). A study on effects and their continuity of the self regulation educ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Korean Clinical Diabetes, 10, 187-196. 

  8. Hwang, H. J. (2010). The effects of case management program for diabetes patient: focused on medium-sized industrial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9. Hymovich, D. P., & Hagopian, G. A. (1992). Chronic illness in children and adults, a psychosocial approach. Philadelphia: WB Saunders. 

  10. Hyun, K. S., Kim, K. M., & Jang, S. H. (2009). The effects of tailored diabetes education on blood glucose control and self-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720-730. 

  11. Jung, J. H. (2003). The effect of a telephone follow-up on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diabetes mellitu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Kim, C. G., & Chung, C. H. (2002). Effects of telephone consult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NIDDM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4, 306-314. 

  13. Kim, E. Y., & So, A. Y. (2009).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self-help 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 307-315. 

  14. Kim, H. J., Kim, H. S., & Ahn, S. H. (2006). Effects of diabetic education fortified with individual practice on plasma glucose, self-care, and self reported physical symptom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8, 194-201. 

  15. Kim, H. S. (2003). Fasting blood sugar and adherence to diabetes control recommendation: Impact of education using short messaging service of cellular phone.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5, 13-19. 

  16. Kim, H. S. (2006). Effects of internet diabetic education on glycosylated hemoglobin and self-car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over one yea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 376-381. 

  17. Kim, J. H., & Chang, S. A. (2009). Effect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self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ournal, 33, 518-525. 

  18. Kim, N. H., Lee, Y. J., Kim, H. O., Oh, C. R., Park, J. R., Park, S. Y., et al. (2008). Effects of comprehensive support on glycemic control using community networks in low-income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Korean Diabetes Journal, 32, 453-461. 

  19. Kim, S. H. (2010). An analysis on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education for elders with Type 2 diabetes using delphi meth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 Kim, S. Y. (2008). Effects of case manag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s and glycemic control in patient with diabe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21. Ko, C. H., & Gu, M. O. (2004). The effects of a diabetic educational program for coping with problem situation on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s, coping and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205-1214. 

  22. Lee, B. J., & Gu, M. O. (2009). Comparison of the effects between positive message and negative message in diabetes mellitus education. Korean Diabetes Journal, 33, 344-352. 

  23.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mmunity education program for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4. Lee, M. R., & Song, M. S. (2003). Long term effects of a self-care education program promoting self-efficacy for elderly people with diabet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5, 91-101. 

  25. Lee, S. H. (2002).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on self-care behaviors and metabolic control in patients with NIDD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26. Lee, S. H. (2005).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on self-efficacy, metabolic control and self-care behaviors in patients with NIDDM.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8, 59-67. 

  27. Lee, Y. R., Kang, M. A., & Kim, P. G. (2008). The effects of an admission-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self-care and glucose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 12-19. 

  28. Paek, K. S. (2001). The effect of a diabetic education program on self-care behavior and glucose metabolism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2, 390-396. 

  29. Park, H. S., Lee, Y. M., Choi, Y. O., Bae, E. S., Na, J. H., & Kim, M. S. (2001). Effect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on glucose metabolism and lipid metabolism, self-efficacy in NIDDM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4, 165-178. 

  30. Park, K. Y., Park, H. S., & Seo, J. M. (2007). The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al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diabetic self-care and glycemic control with diabetes mellitus type I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 683-693. 

  31. Park, S. H. (1994). Study of development an educational program of diabetes patients needed insulin self-inj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2. Polonsky, W. H., Earles, J., Smith, S., Pease, D. J., Macmillan, M., Christensen, R., et al. (2003). Integrating medical management with diabetes self-management training: A randomized control trial of diabetes outpatients intensive treatment program. Diabetes Care, 26, 3048-3053. 

  33. Siebolds, M., Gaedeke, O., & Schwedes, U. (2005).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Psychological aspects relevant to changes in HbA1c in type 2 diabetic patients treated with diet or diet plus oral antidiabetic medica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62, 104-110. 

  34. Song, J. K., Choi, J. S., Chung, C. H., Jang, S. M., & Kim, Y. S. (2002a). The self management in middle aged women with diabetes mellitus. Korean Clinical Diabetes, 3, 56-66. 

  35. Song, M. S. (2005). Diabetes outpatient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36. Song, M. S., Gu, M. O., Ryu, S. A., & Kim, M. S. (2002b). Effect of a self-care program promoting self-efficacy for community elders with diabet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4, 27-37. 

  37. Yang, J. J. (2003). The effects of telephone consulting follow-up on self-care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 269-280. 

  38. Yeom, Y. S. (2010). Diabetic support groups on knowledge of diabetes,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and glycemic control of type 2 diabe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39. Yoo, H. R., & Park, J. W. (2005).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6, 404-414. 

  40. Yoo, J. S., Kim, E. J., & Lee, S. J. (2006). The effects of a comprehensive life style modifi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stress response in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751-7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