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행위 예측 요인: 노인과 성인의 비교
Factors Influencing Self Management Behavior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Comparison of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and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4 no.2, 2012년, pp.112 - 121  

강경자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  유수정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  서현미 (강동대학교 간호과) ,  유미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박명숙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장학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elf management behavior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to compare the factors influencing self management behavior between the elderly and adults.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05 adults and 100 elderly who visit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과 성인 당뇨병 환자에서 자기관리행위 정도 및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비교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노인 당뇨병 환자가 성인 당뇨병 환자보다 자기관리행위 점수가 높았다.
  • 본 연구는 성인과 노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관리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제 특성에 따른 비교를 통해 자기관리행위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성인과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행위 정도와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비교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비교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행위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개인적 신념으로 지각된 유익성과 장애성, 자기효능감 뿐 아니라 건강행위 실천에 대한 준비도 개념을 포함하여 개인의 인식변화에 따른 대상자 중심의 행위변화에 초점을 둔 간호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즉, 당뇨병 환자에서 연령에 따른 자기관리행위 정도와 영향요인의 비교·분석을 통해 연령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중재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자료수집 시뮬레이션 후 전체 연구보조원과 연구자가 함께 같은 질문에 대해 자료수집자간 설문 체크 내용이 다른 경우를 확인하였는데, 주로 연구보조원이 노인표준 환자에게 설문지의 내용을 각각 다르게 해석하여 설명함으로써 문항에 대한 이해가 서로 달랐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연구보조원들에게 설문지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을 그대로 읽고 노인의 답을 받아적도록 교육하였다.
  • 즉, 당뇨병 환자에서 연령에 따른 자기관리행위 정도와 영향요인의 비교·분석을 통해 연령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중재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 치료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당뇨병 치료 가이드라인(American Diabetics Association [ADA], 2010; Korean Diabetes Association [KDA], 2011)에 의하면, 당뇨병 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합병증이나 동반 질환의 정도, 연령이나 기타 인구 사회적 배경 등에 따라 개별화되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또 당뇨병은 약물만으로는 합병증 예방이 어렵기 때문에 환자 자신의 적절한 자기관리와 개인의 생활습관 변화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하는 질환이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에서 자기관리행위의 수행은 기능장애와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삶의 질과 독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필수적인 건강증진 전략이다(KDA, 2011; Mulcahy et al.
우리나라 30세 이상 당뇨 유병률은 얼마인가? 당뇨병은 대사 이상에서 기인되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우리나라 30세 이상 당뇨 유병률은 2009년 9.6%로 점차 증가 추세에 있으며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0.7명으로 사망원인 5위이다(Korean National Statistics Oce[KNSO], 2010).
당뇨병 치료 가이드라인에 명시되어 있는 당뇨병 치료의 목적은 무엇인가? 최근 당뇨병 치료 가이드라인(American Diabetics Association [ADA], 2010; Korean Diabetes Association [KDA], 2011)에 의하면, 당뇨병 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합병증이나 동반 질환의 정도, 연령이나 기타 인구 사회적 배경 등에 따라 개별화되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또 당뇨병은 약물만으로는 합병증 예방이 어렵기 때문에 환자 자신의 적절한 자기관리와 개인의 생활습관 변화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하는 질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0).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0. Diabetes Care, 33(Suppl 1), S11-S69. 

  2. Cho, N. H. (2005). Prevalence of diabetes and management status in Korean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e, 68, 1-3. 

  3. Choi, E. J. (2007).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onsei University, Seoul. 

  4. Coulter, A., & Ellins, J. (2009). Changing attitudes to the role of patients in heath care. In S. Newman, L. Steed & k. Mulligan (Eds), Chronic physical illness: Self-management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pp. 27). NY: McGraw-Hill. 

  5. Deakin, T., McShane, C. E., Cade, J. E., & Williams, R. D. (2005). Group based training for self management strategies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illitus. Cochrane Database Systemic Review, 2, CD003417. 

  6. Funnell, M. M., Brown, T. L., Childs, B. P., Haas, L. B., Hosey, G. M., Jensen, B., et al. (2010). National standards for diabetes self management education. Diabetes Care, 33 (Suppl 1), S89-96. 

  7. Gu, M. O. (1999). Self Care Behavior of Older adults with DM compared to Middle aged adults with DM.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 137-148. 

  8. Hazavehei, S. M., Sharifirad, G., & Mohabi, S. (2007).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on diabetic foot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Diabetes in Developing Countries, 27, 18-23. 

  9. Kang, Y. S. (2011). Correlation between Hemoglobin A1C of Elderly Diabetic Patients, Self-Care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Life Scien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10. Kim, H. S. (2003). Fasting Blood Sugar and Adherence to Diabetes control recommendation: impact of education using short messaging service of cellular phone.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5(2), 13-19. 

  11. Kim, M. K. (2011). Factors A?ecting the self- care behavior of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2. Kim, S. H. (2008). A Comparative Study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Issues of the adult and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3. Kim, Y. O. (1997). A hypothesized model for self-care behavior in diabetic patients: based on stress-coping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onsei University, Seoul. 

  1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Developing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Health Plan 2020 of Korea. Retrived June. 1, 2012. from http://2010.hp.go.kr/hpPlan/hpPortalPds.dia?page1&methoddetailView&mnid040401000000&PS_IDX_PARENT152&PS_IDX1&FID152&searchWord&searchKind 

  15.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1).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16.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0).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May 11, 2012. From http://kosis.kr/ups/ups_01List01.jsp? pub-codeYD. 

  17. Kwon, J. W., Song, Y. M., Park, H. S., Sung, J., Kim, H., & Cho, S. I. (2008). Effects of age, Time period, and birth cohort on the prevalence of diabetes and obesity in korean men. Diabetes Care, 31, 255-260. 

  18. Lee, J. K. (2009). Self management and Its predictors for patients with poorly controlled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 447-457. 

  19. Lee, Y. R., Kang, M. A., & Kim, P. G. (2008). The effects of an admission-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cacy, self-care and glucose control in tpye 2 diabete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4, 12-19. 

  20. McConnaughy, E. A., Prochaska, J. O., & Velicer, W. F. (1983). Stage of change in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0, 368-375. 

  21. Miller, W. R. (2007). Enhancing motivation for change in substance abuse treatment (Cho & Sin, trans.). Seoul: Sigma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22. Moon, J. S. (1990).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onsei University, Seoul. 

  23. Mulcahy, K., Maryniuk, M., Peeples, M., Peyrot, M., Tomky, D., Weaver, T., et al. (2003).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core outcomes measures. Diabetes Education, 29, 768-770, 773-784, 787-788. 

  24. Park, J. H., Kim, K. W., Kang, E. J., Kim, T. Y., Lee, S. R., Bae, S. C., et al. (2004). Evaluation of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ics patients heve been treated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Diabetics Association, 28, 208-213. 

  25. Park, J. Y. (2010). A study on self management, Hemoglobin A1c,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or the type II diabetes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2, 106-113. 

  26. Seo, H. M. (2001). Constructi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odel in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7. Song, M. S., Gu, M. O., Ryu, S. A., & Kim, M. S. (2002). Effect of a self-care program promoting self-ecacy for community elders with diabet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4, 27-37. 

  28. URICA. (2011).The HABITS lab at UMBC. Retrieved May, 10, 2011, from http://www.umbc.edu/psyc//habits/content/ttm_measures/urica/scoring.html 

  29. Walker, S. N., Volkan, K., Sechrist, K. R., & Pender, N. J. (1988). Health-promoting life styles of older adults: Comparisons wi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correlates and patterns. Advanced Nursing Science, 11, 76-90. 

  30. Wild, S., Roglic, G., Green, A., Sicree, R., & King, H. (2004). Global prevalence of diabetes: Estimates for the year 2000 and projections for 2030. Diabetes Care, 27, 1047-10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