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중재 연구현황 및 분석
The Analysis of Trends and Contents of Nursing Intervention Research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9 no.1, 2012년, pp.109 - 121  

홍명선 (가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조현숙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  염영희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  김근면 (극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nursing interventions to further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practice and related professions, based on those performed for stroke patients. Methods: The analysis was performed in light of 84 researches papers on nursing i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OC은 간호결과에 관한 표준화된 용어로 NIC과 함께 미국간호협회로부터 인정받은 분류체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중재를 시행한 논문을 분석 하여 어떠한 간호중재 방법들이 적용되었고 어떠한 간호결과를 가져왔는지를 표준화된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살펴봄으로써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간호실무와 간호전문직을 발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간호중재에 대한 선행논문을 분석, 종합하여 연구경향을 파악함으로써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과 실무 적용의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함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간호중재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간호실무와 간호전문직을 발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1991년부터 2010년까지 실시된 간호중재 연구 총 84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설계와 대상자, 간호중재 방법과 간호중재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간호중재 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국 Iowa 중재연구팀 (2008)에 의해 개발된 간호중재분류체계와 간호결과분류체계에 따라 간호중재 연구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간호중재를 표준화된 분류체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를 둔다. 따라서 뇌졸중 외의 다른 질환을 가진 대상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를 분석하기 위한 틀(framework)을 제공 할 수 있다.
  • 따라서 간호중재를 규명하는 것은 간호의 본질을 확인하는 것이며 나아가 간호의 전문성 인정을 위한 독립적인 지식체를 체계화함으로 궁극적으로 간호의 위치를 확고하게 하여 준다(Suh, 1998).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991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된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학 관련 학위논문과 간호학회지에 게재된 간호중재 연구 현황을 알아보고 적용된 간호중재 방법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간호중재 활동들을 NIC에 따라 분석하여 간호연구의 핵심활동 목록을 파악하였고, 간호중재에 따른 종속변수는 Iowa 간호대학에서 개발한 간호결과분류체계(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Moorhead, Johnson, Maas, & Swanson, 20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의 폐색 혹은 파열에 의하여 뇌손상이 오는 질환으로서 미국에서는 사망원인 중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National Stroke Association, 2011), 국내에서도 연간 인구 10만명당 53.2명으로 사망원인 2위로 보고되었고, 단일 장기 질환으로서는 제 1위의 사망원인으로 보고 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1).
뇌졸중의 원인은 무엇인가? 2명으로 사망원인 2위로 보고되었고, 단일 장기 질환으로서는 제 1위의 사망원인으로 보고 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1). 최근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주 원인인 고혈압, 당뇨, 비만, 고지혈증 등의 증가로 발병률은 여전히 높은 상태이며 특히 뇌경색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Korean Stroke Society, 2011). 2010년 의료기관에 입원한 65세 이상 환자 중 뇌경색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입원환자 중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대비 17.
간호중재분류체계는 미국에서 어떤 인정을 받았는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Iowa 간호대학의 McCloskey 와 Bulecheck (2000)는 간호사가 수행한 간호중재를 분류하고 명명한 간호중재분류체계(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를 개발하였다. NIC은 표준화된 간호중재 용어로 미국간호협회에 의해 인정을 받았다. 간호중재는 대상자의 간호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간호사의 임상적 판단과 과학적 지식에 근거하여 간호사가 수행하는 모든 처치이다(McCloskey & Bulechek,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derson, G., Vestergaard, K., Ingemann-Nielsen, M., & Lauritzen, L. (1995). Risk factors for post-stroke depression.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92, 193-198. 

  2. Bak, H. K. (2003). The effects of the stroke secondary prevention program on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the health risk indicators of the in-house stroke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3. Burvill, P. W., Johnson, G. A., Jamrozik, K. D., Anderson, C. S., Stewart-Wynne, E. G., & Chakera, T. M. (1995). Prevalence of depression after stroke: the Perth community stroke stud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6, 320-327. 

  4. Chemerinski, E., Robinson, R. G., & Kosier, J. T. (2001). Improved recover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ociated with remission of poststroke depression. Stroke, 32, 113-117. 

  5. Cho, B. H. (2001). The effect of a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on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surviv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6. Choi, E. J. (2002). Effects of rehabilita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on poststroke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7. Ham, M. Y., Choi, K. S., & Ryu, E. J. (2000). Analysis of nursing studies about stroke research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3(2), 154-168. 

  8. Hardie, K., Hankey, G. J., Jamrozik, K., Broadhurst, R. J., & Anderson, C. (2004). Ten-year risk of first recurrent stroke and disability after first-ever stroke in the Perth community stroke study. Stroke, 35, 731-735. 

  9.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1). 2010 Medical treatment expenses statistical report. Retrieved March 24, 2011, from Web site: http://www.hira.or.kr/ICSFiles/afieldfile/ 2011/03/24/1_rady_2010.hwp 

  10. Hong, M. S. (2007).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upper extremity exercise therapy based on 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for home-bound stroke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1. Jeong, H. S., Kim, H. S., Yoo, Y. S., & Moon, J. S. (2002). Effects of cardiac rehabilitation teaching program on knowledge level and compliance of health behavior for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50-61. 

  12. Kang, J. Y. (2002). Effect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using self-efficacy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hemiplegi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im, C. G. (2010).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econdary strok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Korean Stroke Society. (2011). What is stroke? Retrieved August 1, 2011, from http://www.stroke.or.kr/stroke/index.html 

  15. McCloskey Dochterman, J. C., & Bulecheck, G. M. (2000).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NIC) (3rd ed). St. Louis: Mosby. 

  16. McCloskey Dochterman, J. C., & Bulechek, G. M. (2008).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5th ed.). St. Louis: Mosby. 

  17. Mehrholz, J., Rutte, K., & Pohl, M. (2006). Jump training is feasible for nearly ambulatory patients after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20, 406-412. 

  18. Moorhead, S., Johnson, M., Maas, M., & Swanson, E. (2008).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4th ed.). St. Louis: Mosby. 

  19. Moreland, J. D., Goldsmith, C. H., Huijbregts, M. P., Anderson, R. E., Prentice, D, M., Brunton, K. B., et al. (2003).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ening exercises after stroke: A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4, 1433-1440. 

  20.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1). Stroke 437,000 people in 2010 patients, 70 years or older increased from. Retrieved September 22, 2011, from http://www.nhic.or.kr/ portal/site/main/menuitem.31f14893bf4f6c38b31148b4062310a0/ 

  21. National Stroke Association. (2011). What is stroke? Retrieved August 1, 2011, from http://www.stroke.org/site/PageServer? pagenamestroke 

  22.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21, 247-251. 

  23. Statistics Korea. (2011). 2010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September 8, 2011, from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24. Suh, M. J., Kim, K. S., Kim, I. J., Son, H. M., Lee, E. N., Kim, H. J., et al. (1996). The analysis of trends and contents of intervention research.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0, 123-147. 

  25. Suh, M. J. (1998). The current trends of the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system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2,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