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과 병동에 입원한 노졸중환자의 간호일지에 나타난 급성기와 아급성기의 간호중재 비교
A Comparison of Interventions Recorded in Nursing Notes between Actue and Subacute Stage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6 no.2, 2006년, pp.227 - 235  

최자윤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박순주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1) determine the core nursing interventions, and 2) compare acute interventions with subacute interventions recorded in the nursing notes of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s (CVA). Methods: The nursing records covering the first 10 days of 30 patients with a CV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급성기와 아 급성기로 나누어 뇌졸중 환자의 간호일지에 기록된 간호중재 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두 시기의 핵심간호와 군 과 영역 별 간호중재의 차이를 나누어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급성기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간호 일지에 기록된 간호중재를 분류하고 이들의 수행빈도를 비교 하고자 하며, 치료단계를 고려한 체계적인 간호기록체계의 개 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급성기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간호일지에 기록된 간호중재를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써 기록상에 나타난 치료시기에 따른 간호중재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자는 C 대학교 병원에서 2004년 1월에서 12월까지 입원치료 를 받은 뇌졸중환자의 간호일지로 선정기준에 따라 응급실을 통해 신경과 병동으로 입원한 30명의 환자 기록이 포함될 때까지 대상자 표집을 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입원 후 10일 동안의 간호일지를 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향적 연구로 급성기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간호일지에 기록된 간호중재의 수행빈도를 분 석하고 비교를 목적으로 한 서술적 비교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재분류체계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이하 NIC)를 사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간호일지 에 기록된 간호중재를 분석하여 급성기 간호중재와 아급성기 간호중재를 비교함으로써 기록상에 나타난 치료시기에 따른 간호중재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2003). 이를 통해 간호기록 체계 개발 시 보완해할 기록에서 누락된 중재나 그 영역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간호란 대상자의 요구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대상자의 간호요구는 치료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 결과적으로 급성기 동안의 집중 간호와 아급성기 동안 의 재활단계로의 이행간호가 환자의 장기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료단계에 따른 전문화된 중재가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급성기와 아 급성기로 나누어 뇌졸중 환자의 간호일지에 기록된 간호중재 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두 시기의 핵심간호와 군 과 영역 별 간호중재의 차이를 나누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rooks, J. T. (1998).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nursing documentation of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J Clin Nurs, 7(2), 155-163 

  2. Choi, J. Y., & Jang, K. S. (2005). Comparison of cancer nursing interventions recorded in nursing notes with nursing interventions perceived by nurses of an oncology unit: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J Korean Acad Nurs, 35(3), 441-450 

  3. Choi, J. Y., Park, M. S., & Kim, H. S. (2002). A survey on nursing interventions of psychiatric nursing unit using the 3th NIC. J Korean Acad Psychiatric Nurs, 11(2), 125-136 

  4. Hale, C. A., Thomas, L. H., Bond, S., & Todd, C. (1997). The nursing record as a research tool to identify nursing interventions. J Clin Nurs, 6, 207-214 

  5. Haugsdal, C. S., & Scherb, C. A. (2003). Using the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to describe the work of the nurse practitioner. J Am Acad Nurse Pract, 15(2), 87-94 

  6. Heartfield, M. (1996). Nursing documentation and nursing practice. J Adv nurs, 22, 1006-1011 

  7. Katz-Leurer, M., Shochina, M., Carmeli, E., & Friedlander, Y. (2003). The influence of early aerobic training on the functional capacity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 at the subacute stage. Arch Phys Med Rehabil, 84, 1609-1614 

  8. Kim, C. J., Choi, A. K., Kim, K. R., & Song, H. Y. (1999). A study on nursing diagnoses and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focused on home health care clients. J Korean Acad Nurs, 29(1), 72-83 

  9. Kumlien, S., & Axelsson, K. (2002). Stroke patients in nursing homes: eating, feeding, nutrition and related care. J Clin Nursing, 11, 498-509 

  10. McCloskey, J. C., & Bulechek, G. M. (2000).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NIC)(3rd ed.). St. Louis: Mosby Year Book 

  11. Meijer, R., Ihnenfeldt, D. S., de Groot, I. J., van Limbeek, J., Vermeulen, M., & de Haan, R. J., (2003). Prognostic factors for ambula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subacute phase after stroke for the future residence after six months to one year.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Rehabil, 17(2), 119-129 

  12. Meijer, R., Ihnenfeldt, D. S., van Limbeek, J., Vermeulen, M., & de Haan, R. J. (2003). Prognostic factors in the subacute phase after stroke for the future residence after six months to one year.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Rehabil, 17(5), 512-520 

  13. Oh, W. O., Suk, M. H., & Yoon, Y. M. (2001). A survey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neonatal nursing unit nurses using the NIC.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7(2), 161-178 

  14. Ryu, E. J., Choi, K. S., Kwon, Y. M., Joo, S. N., Yun, S. R., Choi, H. S., Kwon, S. B., Lee, J. H., Kiu, B. J., Kim, H. Y., Ahn, O. H., & Rho, E. S. (1998). Analy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done by MICU and SICU nurses using NIC. J Korea Acad Nurs, 28(2), 457-467 

  15. Short, M. S. (1997). Charting by exception on a clinical pathway, J Nurs Manag, 28(8), 45-46 

  16. Silva, Y., Puigdemont, M., Castellanos, M., Serena, J., Suner, R. M., Garcia, M. M., & Davalos, A. (2005). Semi-intensive monitoring in acute stroke and long-term outcome. Cerebrobasc Dis, 19, 23-30 

  17. Son, H. M., Hwang, J. I., Kim, S. Y., Park, S. M., Suh, M. J., & Kim, K. S. (1998). A survey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hospital nurses using the NIC in Korea. Seoul J Nurs, 12(1), 1-14 

  18. Song, M., Kim, M., Lee, E., Hah, Y., Han, K., Ryu, S., Kang, H., Kim, K., & Cho, M. (2003). Comparison of nursing activities reflected in nursing notes and in-depth interviews of nurses in an acute hospital. J Korean Acad Nurs, 33(6), 802-811 

  19. Stapleton, T., Ashburn, A., & Stack, E. (2001). A pilot study of attention deficits, balance control and falls in the subacute stage following stroke. Clin Rehabil, 15(2), 437-444 

  20. Sulch, D., & Kalra, L. (2000). Integrated care pathways in stroke management. Age ageing, 29, 349-352 

  21. Sulter, G., Elting, J. W., Langedijk, M., Maurits, N. M., Keyser, J. D. (2003). admitting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to a stroke care monintoring unit versus a conventional stroke unit: a randomized pilot study. Stroke, 34, 101-104 

  22. Yom, Y. H. (1995). Identification of nursing intervention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Iowa 

  23. Yom, Y. H. (1999). Analy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hospital nurses using NIC. J Korean Acad Nurs, 29(2), 346-3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