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 경기만 조석사주 퇴적층의 제4기 후기 층서 및 퇴적환경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idal Sand Ridge Deposits in G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3 no.1, 2012년, pp.1 - 10  

최재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  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  정공수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해 경기만 조석사주에서 획득한 고해상도 탄성파 탐사자료와 해상시추코어 분석에 의하면 연구지역의 제 4기 후기에 형성된 퇴적층은 총 4개의 퇴적단위(상부층부터 Unit I에서 Unit IV)로 구성된다. 퇴적단위 I은 조간대 및 조수로-충진 퇴적체로서, 홀로세 고해수면 시기동안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퇴적단위 II는 천해 퇴적상이 나타나는 외해역과 하천과 연계된 하성 퇴적상이 나타나는 조간대에서 조석사주 근접부로 나누어진다. 퇴적단위 III은 조석작용에 의한 조간대 퇴적환경 및 상부의 풍화된 퇴적층으로 각각 구분되며, 퇴적층은 산소동위원소 시기5동안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퇴적단위 IV는 조석사주 퇴적층의 최하부층으로 중생대 기반암 또는 산소동위원소 시기 5 이전에 퇴적된 층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alysis on high-resolution seismic and core data reveals that the sedimentary strata in Gyeonggi Bay consists of four sedimentary units (Unit I-IV, from top to bottom) formed during the late Quaternary period. Unit I is interpreted as sediments of tidal flat and channel-fill deposits, formed dur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기존의 서해 후기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에 대한 연구는 해수면 변동에 따른 퇴적층의 층서적 위치와 연대측정결과의 대비에 대한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연구 또한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만에서 취득된 고해상도의 탄성파 탐사 자료와 해상시추 코어를 비교분석하여 경기만 조석사주 퇴적층의 층서를 규명하고, 해수면 변화에 따른 퇴적환경의 변화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해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00). 서해는 평균 수심 약 60 m의 반폐쇄형 연해로 주변 대륙의 강과 하천을 통해 많은 양의 세립 퇴적물이 유입된다. 특히 서해 경기만은 세계적인 대조차 환경으로 한반도의 한강, 금강, 영산강등으로부터 다량의 퇴적물 공급과 함께 강한 조류의 영향으로 거대한 조석사주(tidal sand ridge)를 형성하고 있다(박용안 외, 1999; 임동일 외, 2007).
서해 경기만의 특징은 무엇인가? 서해는 평균 수심 약 60 m의 반폐쇄형 연해로 주변 대륙의 강과 하천을 통해 많은 양의 세립 퇴적물이 유입된다. 특히 서해 경기만은 세계적인 대조차 환경으로 한반도의 한강, 금강, 영산강등으로부터 다량의 퇴적물 공급과 함께 강한 조류의 영향으로 거대한 조석사주(tidal sand ridge)를 형성하고 있다(박용안 외, 1999; 임동일 외, 2007).
서해 경기만 조석사주 퇴적층의 각 퇴적단위 특성은 무엇인가? 서해 경기만 조석사주 퇴적층은 크게 4개의 탄성파 단위와 4개의 퇴적단위로 구분되며, 각각의 단위는 서로 대비된다. 퇴적단위 1은 조간대 및 조수로충진 퇴적체로 해석되며, 홀로세 고해수면 시기동안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퇴적단위 2는 조석사주 말단부를 경계로 두 개의 퇴적환경으로 구분된다. 상대적으로 퇴적심도가 낮은 외해역에서는 천해-해성환경으로 해석되며, 조간대에서 조석사주 근접부에 해당하는 구간에서는 하천과 연계된 육상환경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퇴적단위 3은 조석작용에 의한 조간대 퇴적환경 및 상부의 풍화된 퇴적층으로 각각 구분되며, 퇴적층은 산소동위원소 시기5동안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퇴적단위 4는 조석사주 퇴적층의 최하부층으로 중생대 기반암 또는 산소동위원소 시기 5 이전에 퇴적된 층으로 해석된다. 이와같이 서해 경기만 조석사주의 해수면 변동에 따른 순차층서를 살펴보면 조간대에서 조석사주 근접부에 해당하는 구간에서는 홀로세 시기 퇴적층 아래 산소동위원소 시기 5 퇴적층이 퇴적되고, 조석사주 말단부에서 외해역에 이르는 구간에서는 홀로세 퇴적층 아래 산소동위원소 시기 3의 퇴적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여상, 박수철, 1992, 서해안 근홍만의 조간대퇴적층 연구: 층서 및 형성과정. 한국지구과학회지, 13, 41-52. 

  2. 박영수, 지광훈, 방효기, 1995, 경기만의 해양환경지질 기초 연구. 한국자원연구소, KR-95(B)-9, 78 p. 

  3. 박용안, 최경식, 도성재, 오재호, 1999, 경기만 김포 조간대 지층의 제 4 기 후기 층서. 한국제4기학회지, 13, 79-89. 

  4. 임동일, 신인현, 정회수, 2007, 한국과 중국의 강 퇴적물의 주성분 원소 함량 특성: 황해 니질 퇴적물의 기원지 연구를 위한 잠재적 추적자. 한국지구과학회지, 28, 311-323. 

  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4, 제 4기 퇴적층 기록을 이용한 지구환경변화 연구(I). 221 p. 

  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7, 서해 경기만 대형 조석 사주의 발달과 진화. 35 p. 

  7. Alexander, C.R., De Master, D.J. and Nittrouer, C.A., 1991, Sediment accumulation in a modern epicontinental-shelf setting: the Yellow Sea. Marine Geology, 98, 51-72. 

  8. Berne, S., Vagner, P., Guichard, F., Lericolais, G., Liu, Z., Trentesaux, A., Yin, P. and Yi, H.I., 2002, Pleistocene forced regressions and tidal sand ridges in the East China Sea. Marine Geology, 188, 293-315. 

  9. Cann, J.H., Belperio, A.P., Gostin, V.A. and Murray- Wallace, C.V., 1988, Sea level history 45,000 to 30,000 years BP, inferred form benthic foraminifera, Gulf St. Vincent, South Australia. Quaternary Research, 29, 153-175. 

  10. Chappell, J. and Shackleton, N.J., 1986, Oxygen isotope and sea levels. Nature, 324, 137-140. 

  11. Chappell, J., Omura, A., Esat, T., McCulloch, M., Pandolfi, J., Ota, Y. and Pillans, B., 1996, Reconciliation of late Quaternary sea levels derived from coral terraces at Huon Peninsula with deep sea oxygen isotope record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41, 227-236. 

  12. Chough, S.K., Lee, H.J. and Yoon, S.H., 2000, Marine Geology of Korean Seas. in: Elsevier (Eds.), New York, 313 p. 

  13. Chough, S.K., Chun, S.S. and Shinn, Y.J., 2004, Depositional processes of late Quaternary sediments in the Yellow Sea: a review. Geosciences Journal, 8, 211-264. 

  14. Choi, K.S., 2001,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evolution of tidal deposits in Kyungi Bay, west coast of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23 p. 

  15. Choi, K.S., 2005, Pedogenesis of late Quaternary marine deposits, northern Kyonggi Bay, Korea: implications for relative sea-level change and regional stratigraphic correlation.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20, 387-404. 

  16. Chun, J.H., Han, S.J., Shin, D.H., Yi, H.I. and Kim, S.R., 2000, Paleoceanographic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te Pleistocene oxidized deposits during low sealevel period in the central Yellow S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6, 517-528. 

  17. Frey, R.W., Howard, J.D., Han, S.J. and Park, B.K., 1989, Sediments and sedimentary sequences on a modern macrotidal flat, Inchon, Korea.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59, 28-44. 

  18. Jin, J.H., 2001, A sedimentological study of long sediment cores in the eastern Yellow S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73 p. 

  19. Jin, J.H. and Chough, S.K., 1998, Partitioning of transgressive deposits in the SE Yellow Sea: 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Marine Geology, 149, 79-92. 

  20. KIGAM, 2004, Study on earth's environmental change using Quaternary sedimentary records: Phase I, Appendix, 381 p. 

  21. Kim, D.S., Park, B.K. and Shin, I.C., 1999, Paleoenvironmental changes of the Yellow Sea during the late Quaternary. Geo-Marine Letters, 18, 189-194. 

  22. Li, C., Chen, Q., Zhang, J., Yang, S. and Fan, D., 2000, Stratigraphy and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Yangtze delta during the late Quaternary.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8, 453-469. 

  23. Lim, D.I., 2001,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sedimentology of tidal-flat deposits, western coast of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03 p. 

  24. Lim, D.I. and Park, Y.A., 2003,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evolution of a Korean tidal flat, Haenam Bay, southeastern Yellow Sea, Korea. Marine Geology, 193, 177-194. 

  25. Lim, D.I., Jung, H.S., Yoo, H.S., Seo, J.M. and Paeng, W.H., 2003, Late Pleistocene unconformity in tidal-flat deposit of Gyeonggi Bay, 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 657-667. 

  26. Nichol, S.L. and Murray-Wallace, C.V., 1992, Apartially preserved last interglacial estuarine fill: Narrawallee Inlet, New South Wales. Austral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9, 545-555. 

  27. Park, Y.A., Lim, D.I., Khim, B.K., Choi, J.Y., and Doh, S.J., 1998, Stratigraphy and subaerial exposure of late Quaternary tidal deposits in Haenam Bay, Korea (southeastern Yellow S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7, 523-533. 

  28. Yim, W.W.S., Ivanovich, M. and Yu, K.F., 1990, Young age bias of radiocarbon dates in pre-Holocene marine deposits of Hong Kong and implications for Pleistocene stratigraphy. Geo-Marine Letters, 10, 165-1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