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반 폐쇄된 무안만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emi-enclosed Muan Bay,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4 no.1, 2012년, pp.1 - 18  

문성용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서민호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해양기술학부) ,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해양공과대학 해양시스템공학부) ,  서호영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해양기술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seasonal changes in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November 2006 and February, May, and August 2007 at 12 stations in the semi-enclosed Muan Bay, Korea. Forty taxa were sampled, with an average abundance ranging from 1,459 to 20,078 indiv. $m^{-3}$; the high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4)와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의 계절변동(지 등 2008)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반 폐쇄된 무안만에서 계절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중형동물플랑크톤에 대해서 종 조성, 계절별 군집구조, 그리고 군집에 영향을 주는 환경인자와 주요 분류군과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여 무안만의 표영생태계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로부터 얻어진 자료들은 차후 무안만에서 진행되는 중형동물플랑크톤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안만의 특징은? 서해 남서부에 위치한 무안만은 무안반도와 압해도로 둘러싸인 좁고 규모가 작은 수로 형태의 반 폐쇄된 내만으로 조석은 반일주조와 일조부등을 나타내며(류 등 2000), 만 안쪽은 빠른 유속 때문에 지형적으로 와류가 발생하고 만 입구쪽은 영산강 방조제 수문 개방시 담수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이 등 2003; Ryu et al. 2004).
무안만은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서해 남서부에 위치한 무안만은 무안반도와 압해도로 둘러싸인 좁고 규모가 작은 수로 형태의 반 폐쇄된 내만으로 조석은 반일주조와 일조부등을 나타내며(류 등 2000), 만 안쪽은 빠른 유속 때문에 지형적으로 와류가 발생하고 만 입구쪽은 영산강 방조제 수문 개방시 담수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이 등 2003; Ryu et al. 2004).
무안만에 부유물질과 식물플랑크톤이 증가하면 어떤 영향이 있을 수 있는가? 아울러 장마기간 동안 많은 비가 내리면 영산강 하구둑을 일시적으로 개방하면서 많은 양의 담수가 무안만 남쪽 수로를 중심으로 유입되면 해역에 따라서 저염분화 현상과 다량의 영양염류가 일시적으로 유입되어 만 내에는 부영양화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이 등 2003; 전 등 2011). 해역의 부유물질 증가와 식물플랑크톤의 빈번한 대발생은 빛의 흡수를 막아 식물플랑크톤 광합성과 성장을 제한하며(Kirk 1994; Nakamura and Hirata 2006), 결과적으로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현존량에 영향을 주어 이를 주 먹이로 하는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Durbin and Durbin 1981; Ambler et al. 1985; Nakamura and Hirata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국토해양부 (2008) 연안습지 생태계조사. 국토해양부, 383 p 

  2. 류상옥, 김주용, 유환수 (2000) 반 폐쇄된 무안만에서 부유물질의 계절적 변동 및 운반양상. 한국지구과학회지 21:128-136 

  3. 문성용, 오현주, 서호영 (2010) 남해 연안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Ocean and Polar Res 32:411-426 

  4. 문성용, 윤호섭, 서호영, 최상덕 (2006) 가막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특성과 환경요인. Ocean and Polar Res 28: 79-94 

  5. 박 철, 이평강, 양성렬 (2002) 계절과 염분 변화에 따른 섬진 강 하구역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7:51-59 

  6. 서해립, 서호영, 차성식 (1991) 만경 동진강 하구계의 동물플랑크톤 분포와 염분. 한국해양학회지 26:181-192 

  7. 유정규, 명철수, 최중기, 홍현표, 김은수 (2010) 시화호 중형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동. Ocean and Polar Res 32:187-201 

  8. 유정규, 윤석현, 최중기 (2006) 인천 연안에서 요각류 Acartia hongi 춘계 개체군 형성의 영향요인.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1:108-116 

  9. 윤석현, 오광석, 정미희 (2010) 섬진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구조와 요각류 생산력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지16:369-379 

  10. 윤석현, 최중기 (2003) 경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243-250 

  11. 이대인, 조현서, 이규형, 이문옥 (2003) 무안반도 연안수질의 시.공간적 변동과 소규모 방조제의 영향.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6:24-36 

  12. 전수경, 김종기, 김 윤 (2011)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한 전남 갯벌 해역 수질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4:1-10 

  13. 지 성, 신용식, 서호영 (2008) 청계만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의 계절적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3:333-341 

  14. 한동훈, 홍성윤, 마채우 (1995) 득량만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8:517-532 

  15. 해양수산부 (2002)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해양수산부, 330 p 

  16. Albaina A, Villate E, I Uriarte I (2009) Zooplankton communities in two contrasting Basque estuaries 1999-2001: reporting changes associated with ecosystem health. J Plankton Res 31:739-752 

  17. Ambler JW, Cloern JE, Huschinson A (1985) Seasonal cycles of zooplankton from San Francisco Bay. Hydrobiologia 129:177-197 

  18. Appeltans W, Bouchet P, Boxshall GA, Fauchald K, Gordon DP, Hoeksem BW, Poore GCB, Ven Soest RWM, Stohr S, Walter TC, Costello MJ (2010)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http://www.marinespecies.org. Accessed 07 Feb 2011 

  19. Badylak S, Phlips EJ (2008)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zooplankton in Tampo Bay, Florida, including observations during a HAB event. J Plankton Res 30: 449-465 

  20. Boxshall GA, Halsey SH (2004) An Introduction to Copeppod Diversity. Ray Society, London, 421 p 

  21. Boyer JP, Christian RR, Stanley DW (1993) Patterns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in the Neuse River estuary, North Carolina, USA. Mar Ecol Prog Ser 97: 287-297 

  22. Calbet A (2001) Mesozooplankton grazing impact on primary production: a global comparative analysis in marine ecosystems. Limnol Oceanogr 46:1824-1830 

  23. Chihara M, Murano M (1997) An illustrated guide to marine plankton in Japan. Tokai Universty Press, Tokyo, 1754 p 

  24. Clarke KR, Warwick RM (2001) Change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2nd ed. Primer-E Ltd, Plymouth, 171 p 

  25. Durbin AG, Durbin EG (1981) Standing stock and estimated production rates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in Narragansett Bay, Rhode Island. Estuaries 4:24-41 

  26. Gallegos CL, Jordan TE, Correl DL (1992) Eventscale response of phytoplankton to watershed inputs in a subestuary: Timing, magnitude, and location of biomass, Limnol Oceanogr 37:813-815 

  27. Grice GD, Marcus NH (1981) Dormant eggs of marine copepods. Oceanogr Mar Biol Ann Rev 19:125-140 

  28. Huntly M, Boyd C (1984) Food limited growth of marine zooplankton. Am Mat 124:455-478 

  29. Jeong HG (2009) Morphology and phylogeny of the neustonic pontellids (Copepoda: Calanoida) and their distribution in the Jeju Strait.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55 p 

  30. Jo SG (2002) Resting eggs of copepods in the intertidal sediments of Gomso Bay. J Korean Soc Oceanogr 37: 108-115 

  31. Kirk JTO (1994) Light and Photosynthesis in Aquatic Ecosystem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England, 528 p 

  32. Malone TC, Crocker LH, Pike SE, Wendler BW (1988) Influences of river flow on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production in a partially stratified estuary. Mar Ecol Prog Ser 48:235249 

  33. Marcus NH (1986) Recuitment of individuals into the plankton: importance of bioturbation. Limnol Oceanogr 31: 206-210 

  34. Marcus NH, Lutz RV (1998) Longevity of subitaneous and diapauses eggs of Centropages hamatus (Copepoda: Calanoida) from the northern Gulf of Mexico. Mar Biol 131:249-257 

  35. Moon SY, Lee W, Soh HY (2010) A new species of Bestiolina (Crustacea: Copepoda: Calanoida) from the Yellow Sea, with notes on the zoogeography of the genus. Proc Biol Soc Wash 123:32-46 

  36. Moon SY, Ohtsuka S, Ueda H, Soh HY (2008) Acartia (Odontacartia) ohtsukai Ueda and Bucklin, 2006 (Copepoda, Calanoida, Acartiidae): first record of its occurrence in Korean waters and habitat segregation from its sibling species A. pacifica Steuer, 1915. Zootaxa 1841:61-64 

  37. Nakamura Y, Hirata A (2006)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system, Ariake Sound, Japan. Aqua Micro Eco 44: 45-57 

  38. Parsons TR, Maita Y, Lalli GM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173 p 

  39. Ryu SO, Lee HJ, Chang JH (2004) Seasonal cycle of sedimentary process on mesotidal flats in the semienclosed Muan Bay, southern west coast of Korea: culminating summertime erosion. Cont Shelf Res 24:137-147 

  40. Shannon CE, Weaver W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360 p 

  41. Shim JH, Yun KH (1990) Seasonal variation and production of zooplankton in Chonsu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 25:229-339 

  42. Soetaert K, Rijswijk PV (1993)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the zooplankton in Westerschelde estuary. Mar Ecol Prog Ser 97:47-59 

  43. Soh HY, Suh HL (2000) A new species of Acartia (Copepoda, Calanoida) from the Yellow Sea. J Plankton Res 22:321- 337 

  44. Ter Braak CJF (1986) Co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 new engenvector technique for multivariate direct gradient analysis. Ecology 67:1167-1179 

  45. Ter Braak CJF, ?milauer P (2002) CANOCO reference manual and CanoDraw for windows user's guide: software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version 4.5): section on permutation methods. Microcomputer Power Ithaca, 500 p 

  46. Ueda H (1987)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two closely related Acartia species A. omorii and A. hudsonica (Copepoda, Calanoida) in a small inlet water of Japan. Est Coast Shelf Sci 24:691-700 

  47. Ueda H, Bucklin A (2006) Acartia (Odontacartia) ohtsukai, a new brackish-water calanoid copepod from Ariake Bay, Japan, with a redescription of the closely related pacifica from the Seto Inland Sea. Hydrobiologia 560:77-91 

  48. Uye S (1985) Resting egg production as lift history strategy of marine plankton copepods. Bull Mar Sci 37:440-449 

  49. Youn SH, Choi JK (2008) Distribution pattern of zooplankton in the Han River estuary with respect to tidal cycle. Ocean Sci J 43:135-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