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57BL/KsJ-db/db 제2형 당뇨병 마우스에서 발아일품벼 추출물의 항당뇨효과
Anti-diabetic Activity of Germinated Ilpum Rough Rice Extract Supplement in M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3, 2012년, pp.339 - 344  

이연리 (대전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우관식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황인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현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상훈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윤배 (충북대학교 수의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모델인 C57BLKS/J-db/db 마우스에서 발아일품벼 추출물의 농도별로 급여한 후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조사하였다. C57BLKS/J-db/db 마우스에게 급여한 발아일품벼 추출물의 양에 따라 5군 즉, 정상군(Normal Control: NC), 당뇨대조군(Diabetic Control: DC), 1% 발아벼 추출물 급여군(DM-1% GIRRE), 0.5% 발아벼 추출물 급여군(DM-0.5%GIRRE), 0.25% 발아벼 추출물 급여군(DM-0.25%GIRRE)으로 나누었다. 8주 동안 매일 식이 섭취량과 음료섭취량 및 매주 체중과 공복혈당을 측정하고 마지막 주에 경구포도당 부하검사(OGTT)를 실시하였으며, 부검 시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인슐린 농도와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DM-1% GIRRE군에서 당뇨유발에 의한 체중감소 및 당뇨 증상 중에 다음(poly-dipsia), 다식(polyphasia) 등이 어느 정도 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M-1%GIRRE군에서 당뇨동물의 공복 혈당, 경구 내당능 검사, 혈중 HbA1c 수준을 유의적으로 낮추었지만, 혈장 인슐린 농도는 당뇨실험군들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발아일품벼추출물의 급여가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기전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rminated Ilpum rough rice extract on blood glucose in C57BL/KsJ-db/db mice. The mice wer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normal control (NC), diabetic control (DC), those fed with 0.25% germinated Ilpum rough rice extract (DM-0.25%GIRRE), thos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streptozoticin으로 유발된 제1형 당뇨 모델(17)에서 발아벼의 당뇨개선 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발증 제2형 당뇨병 모델인 C57BLKS/ J-db/ db 마우스에서 발아일품벼 추출물의 농도별로 혈당 및 당뇨관련 지표를 효과적으로 개선해 주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국내외적으로 대다수를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에 대한 기능성 소재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Kim 등(32)은 2형 당뇨쥐에 솔잎 추출물을 경구투여 했을 때 투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혈당강하효과가 크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런 혈당강하의 원인으로 혈중 leptin 양의 증가와 관련된 인슐린 감수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발아일품벼 추출물에서 DM-1%GIRRE군이 혈당강하효과를 나타났으며 혈당억제의 원인이 인슐린 분비에 의한 것인지, 인슐린저항성 개선에 의한 것인지는 명확하게 판단할 수는 없으나, 1% 농도에서 발아일품벼 추출물이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당뇨병 상태에서는 당이 세포내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여 혈당이 증가되고, 그 결과 당이 소변으로 배설되게 되면서 다음(polydipsia), 다뇨(polyuria), 다식(polyphasia)이라는 3대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24). 본 실험에서는 발아일품벼 농도별 추출물이 전형적인 당뇨증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일 식이섭취량과 음수량을 측정하였다. 발아일품벼 농도별 추출물의 일평균 음수량은 Table 2에서 보여주듯이 평균적으로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대조군군에서는 5.
  •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모델인 C57BLKS/J-db/ db 마우스에서 발아일품벼 추출물의 농도별로 급여한 후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조사하였다. C57BLKS/ J-db/ db 마우스에게 급여한 발아일품벼 추출물의 양에 따라 5군 즉, 정상군(Normal Control: NC), 당뇨대조군(Diabetic Control: DC), 1% 발아벼 추출물 급여군(DM-1% GIRRE),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기준 당뇨병은 전 국민의 약 몇 %인가? 2009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당뇨병에 의한 사망률이 인구 10만 명당 19.6명으로 5위를 차지하였으며, 전 국민의 약 10%가 당뇨병 환자로 보고되고 있다(1). 당뇨병은 자가 면역반응에 의한 췌장 β-cell의 기능 상실에 의해 발생하는 제1형 당뇨병과 인슐린 저항성과 함께 β-cell의 기능부전으로 발생하는 제2형 당뇨병으로 분류된다.
당뇨병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경구혈당강하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당뇨병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경구혈당강하제는 탄수화물 소화 및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증가를 억제시키는 α-glucosidase 저해제(3,4),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설폰요소제(5,6), 간에서 당 신생반응을 억제하고 근육 및 지방조직에서의 인슐린 작용을 강화시키는 비구아니드계(6)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물들은 저혈당, 구토, 복부팽만, 설사 및 간 기능손상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 혈당 조절효과가 낮아져 다른 약물을 병행하여 복용하게 된다. 따라서 약물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없고 혈당조절에 효과가 높은 치료제 및 기능성식품을 개발하려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7).
당뇨병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6명으로 5위를 차지하였으며, 전 국민의 약 10%가 당뇨병 환자로 보고되고 있다(1). 당뇨병은 자가 면역반응에 의한 췌장 β-cell의 기능 상실에 의해 발생하는 제1형 당뇨병과 인슐린 저항성과 함께 β-cell의 기능부전으로 발생하는 제2형 당뇨병으로 분류된다. 특히, 한국인에서 제2형 당뇨병 유병률이 85~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orean Statistical Association. 2009.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Korean Statistical Association, Seoul, Korea. 

  2. Kim SM, Yoon DK, Lee JS, Lee J, Na JK, Han JH, Baik SH, Choi DS, Choi KM. 2006. Prevalence of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in Korea. Diabetes Care 29: 226- 231. 

  3. Van de Laar FA. 2008. Alpha-glucosidase inhibitors in the early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Vasc Health Risk Manag 4: 1189-1195. 

  4. Hillebrand I, Boehme K, Frank G, Fink H, Berchtold P. 1979. The effects of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 BAY g 5421 (Acarbose) on meal-stimulated elevations of circulatingglucose, insulin and triglyceride levels in man. Res Exp Med 175: 81-86. 

  5. Fonteles MC, Huang LC, Larner J. 1996. Infusion of pH 2.0 D-chiro-inositol glycan insulin putative mediator normalizes plasma glucose in streptozotocin diabetic rats at a dose equivalent to insulin without inducing hypoglycaemia. Diabetologia 39: 731-734. 

  6. Melander A, Lebovitz HE, Faber OK. 1990. Sulfonylureas. Why, which, and how? Diabetes Care 13: 18-25. 

  7. Grover JK, Vats V, Rathi SS. 2000. Anti-hyperglycemic effect of Eugenia jambolana and Tinospora cordifolia in experimental diabetes and their effects on key metabolic enzymes involved in carbohydrate metabolism. J Ethnopharmacol 73: 461-470. 

  8. Kwak TS, Teo JH. 2004. Varietal variation of ripening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different rice ecotypes. J Korean Intl Agr 16: 130-135. 

  9.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005. Agricultural and Forestry Major Statistics. Agricultural and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 Korea. 

  10. Lee YR, Kim JY, Woo KS, Hwang IG, Kim KH, Kim KJ, Kim JH, Jeong HS. 2007.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ood Sci Biotechnol 16: 1006-1010. 

  11. Trugo LC, Donangelo CM, Trugo NF, Knudsen KB. 2000. Effect of heat treatment on nutritional quality of germinated legume seeds. J Agr Food Chem 48: 2082-2086. 

  12. Woo SM, Jeong YJ. 2006. Effect of germinated brown rice concentrates on free amino acid levels and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n Kimchi. Food Sci Biotechnol 15: 351-356. 

  13. Murata T, Akazawa T, Fukuchi S. 1968. Enzymatic mechanism of starch breakdown in germinating rice seeds. Plant Physiol 43: 1899-1905. 

  14. Brown AW, Shelp BJ. 1997. The metabolism and functions of γ-aminobutyric acid (GABA). Plant Physiol 115: 1-5. 

  15. Kim HY, Hwang IG, Joung EM, Kim TM, Kim DJ, Park DS, Lee JS, Jeong HS. 2010.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germinated-Korean rough rice extract on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25-330. 

  16. Kim HY, Hwang IG, Kim TM, Kim DJ, Park DS, Kim JH, Lee JS, Jeong HS. 2010.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germinated rough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07-1112. 

  17. Lee YR, Hwang IG, Woo KS, Kim HY, Park DS, Kim JH, Kim YB, Lee JS, Jeong HS. 2011. Hypoglycemic effects of germinated rough rice extrac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Food Sci Nutr 16: 272-277. 

  18. Lee SH, Lee YR, Hawang IG, Woo KS, Kim KH, Kim KJ, Jeong HS.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rough rice tea according to roasting temperature, time and leaching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 386-391. 

  19. Kim HY, Hwang IG, Woo KS, Kim KH, Kim KJ, Lee CK, Lee JS, Jeong HS. 2010. Chemical components changes of winter cereal crops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00-1704. 

  20. Daniel DG, Saari C, Don WS, Judith MO. 1993. Diabetes increase excretion of urinary malonaldehyde conjugates in rats. Lipid 28: 663-666 

  21. Zachania M. 1983. Effects of brown rice and soybean dietary fiber on the control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Am J Clin Nutr 38: 388-393 

  22. Orland MJ, Permutt MA. 1987. Quantitative analysis of pancreatic proinsulin mRNA in genetically diabetic (db/db) mice. Diabetes 36: 341-347 

  23. Lee SM, Bustamante S, Flores C, Bezerra J, Goda T, Koldov-sky O. 1987. Chronic effects of an $\alpha$ -glucosidase inhibitor (Bay o 1248) on intestinal disaccharidase activity in normal and diabetic mice. J Pharmacol Exp Ther 240: 132-137. 

  24. Park SA, Kim MJ, Jang JY, Choi MS, Yeo J, Lee MK. 2006. Effect of genistein and daidzein on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C57-BL/KsJ-db/db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159-1165. 

  25. Kim HY, Hwang IG, Woo KS, Kim KH, Kim KJ, Lee CK, Lee JS, Jeong HS. 2010. Chemical components changes of winter cereal crops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00-1704. 

  26. Koh JB. 1998. Effect of raw soy flour (yellow and black) on serum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13-318. 

  27. Stancoven A, McGuire DK. 2007. Preventing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glucose control and beyond. Am J Cardiol 99: 5H-11H. 

  28. Gerich JE. 2003. Clinical significance, pathogenesis, and manage-ment of postprandial hyperglycemia. Arch Intern Med 163: 1306-1316. 

  29. Hanefeld M, Temelkova KT. 2002. Control of postprandial hyperglycemia-an essential part of good diabete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Nutr Metab Cardiovasc Dis 12: 98-107. 

  30. Jung UJ, Lee MK, Jeon KS, Choi MS. 2004. The hypoglycermic effect of hesperidin and naringin are partely mediated by glucose regulating enzymes in C57BL/KsJdb/ db mice. J Nutr 134: 2499-2503. 

  31. Park KJ, Hong SE, Do MD, Hyun CK. 2002. Stimulation of insulin secretion by silk fibroin hydrolysate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 and db/db mice. Redox Rep 7: 290-293. 

  32. Kim MJ, Ahn JH, Choi KH, Lee YH, Woo GJ, Hong EK, Ghun YS. 2006.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oil on blood glucose and serum insulin levels in db/db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21-327. 

  33. Han CK, Kim SS, Choi SY, Park JH. Lee BH. 2009. Effects of rice added with mulberry leaves and fruit on blood glucose,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36-1341. 

  34. Rahbar S. 1968. An abnormal hemoglobin in red cells of diabetics. Clin Chim Acta 22: 296-298. 

  35. Nathan DM, Singer DE, Godine JE, Harrington CH, Perlmuter LC. 1986 Retinopathy in older type II diabetics. Association with glucose control. Diabetes 35: 797-801. 

  36. Fonseca V. 2006. The role of basal insulin therap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sulin 1: 51-60. 

  37. Lee HT, Park SY, Kim RY, Kwon HY, Shin US. 2007. Analysis of roal antidiabetic agents prescribing in the outpatients of community hospital. J Korean Soc of Health- Syst Pharm 24: 17-26. 

  38. Kim SH, Kang JS, Lee SJ, Chung YJ. 2008. Antidiabetic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by puffing proces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701-707. 

  39. Yang JH, Won HJ, Park HY, Nam MH, Lee HS, Lee JK, Kim JT, Lee KW. 2010. Anti-diabetic activities of Kocat- D1 in 3T3-L1 adipocytes and C57BL/KsJ-db/db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92-6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