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황버섯, 상황버섯균사체배양쌀 추출물의 비만 및 당뇨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and Rice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on Obesity and Diabet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7, 2013년, pp.1029 - 1035  

김해섭 ((주)해뜰날) ,  유제헌 ((주)해뜰날) ,  조영철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 ,  이영재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 ,  박인배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 ,  박정욱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 ,  정명아 (전라남도 천연자원연구원) ,  김영숙 (전라남도 천연자원연구원) ,  김선오 (전라남도 천연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PL)과 상황버섯균사체를 접종시켜 20일간 배양한 상황버섯균사체배양쌀 추출물(PLM)의 항당뇨와 항비만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방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화유도 후 8일째에 Oil Red O 염색을 통해 세포 내 형성된 lipid droplet을 isopropanol에 용출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PL 3, 30, 100, $300{\mu}g/mL$에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PLM은 농도 의존적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CETP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PL $300{\mu}g/mL$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PLM은 $100{\mu}g/mL$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며, PLM $300{\mu}g/mL$에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인슐린에 의한 세포내 신호전달에 있어서 인슐린의 효과를 저해하는 PTP1B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PL은 10, 30, $100{\mu}g/mL$에서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의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며 PL $1,000{\mu}g/mL$에 있어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PLM은 대조군에 비하여 PLM $1{\mu}g/mL$에서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의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며 PLM 3, 10, 30, 100, 300, $1,000{\mu}g/mL$에 있어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고지방식이에 PL과 PLM을 28일간 경구투여 하였을 때 총콜레스테롤은 HFD군에 비해 PL, PLM군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고(P<0.05), 혈청의 중성지방(triglyceride) 농도는 HFD군에 비해 PL군, PLM군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청의 HDL-cholesterol은 HFD처리군보다 시료처리군에서 증가를 보였으며, PLM처리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1). LDL-cholesterol은 HFD군에 비해 PL군, PLM군에서 감소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상황버섯과 상황버섯균사체 배양쌀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며 PL과 PLM이 혈청 지질 조정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항비만, 항당뇨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식품소재로서의 개발에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bility of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PL) and rice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PLM) to inhibit obesity and diabetes. The efficacy of PL and PLM were evaluated using Oil Red O staining,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CETP) levels, prote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PL)과 상황버섯균사체를 접종시켜 20일간 배양한 상황버섯균사체배양쌀 추출물(PLM)의 항당뇨와 항비만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방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화유도 후 8일째에 Oil Red O 염색을 통해 세포 내 형성된 lipid droplet을 isopropanol에 용출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PL 3, 30, 100, 300 μg/mL에서 P<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만과 당뇨병의 발병 기전 및 원인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상황버섯과 상황버섯균사체배양쌀 80% ethanol 추출물인 PL과 PLM을 대상으로 지금까지 연구된 생리활성 이외에 항당뇨와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추출물을 탐색하고, 이를 당뇨와 비만에 예방 혹은 치료 기능이 있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 개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T3-L1이란 무엇인가? 지질대사는 주로 간과 지방조직에서 일어나고 지방조직에서는 조직을 구성하는 지방세포에 의해 조절되며, 지방세포가 대사 장애로 인하여 과다하게 분화되거나 에너지가 과잉 공급되면 비만으로 발전하게 된다. 3T3-L1은 지방 전구세포로서 지방세포를 분자생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이며, 현재에도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세포주이다(4,5).
PTP1B 활성 저해효과에 대해 설명하라. 3은 PTP1B 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PL 은 대조군에 비하여 PL을 농도별(1, 3, 10, 30, 100, 300μg/mL)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3, 10, 11, 14, 12, 18%의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PL 3, 10, 30 μg/mL 처리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한 PTP1B의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Fig. 3A). PLM 또한 1, 3, 10, 30, 100, 30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에 의존적으로 7, 8, 18, 21, 26, 40% 저해효과를 보였고, PLM 을 1 μg/mL 처리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의 유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3, 10, 30, 100, 30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Fig. 3B).
상황버섯의 효능은 무엇인가? 버섯은 전 세계적으로 약용 및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생리기능 조절 작용과 항암 활성이 알려져 있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소나무 비늘버섯과 진흙버섯속에 속하는 백색부후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면역 활성의 증강을 통해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1). 버섯유래의 고분자 다당류들의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 등의 약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특이적 구조를 갖는 β-glucan성 다당류로 알려져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Despres JP, Lemieux I. 2006.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Nature 444: 881-887. 

  2. Jornayvaz FR, Samuel VT, Shulman GI. 2010. The role of muscle insulin resistance in the pathogenesis of atherogenic dyslipidemia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nnu Rev Nutr 30: 273-290. 

  3. Kannel WB, Cupples LA, Ramaswami R, Stokes J 3rd, Kreger BE, Higgins M. 1991. Regional obesit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Framingham study. J Clin Epidemiol 44: 183-190. 

  4. Flier JS, Maratos-Flier E. 1998. Obesity and the hypothalamus: novel peptides for new pathways. Cell 92: 437-440. 

  5. Otto TC, Lane MD. 2005. Adipose development: from stem cell to adipocyte. Crit Rev Biochem Mol Biol 40: 229-242. 

  6. Duntas LH. 2002. Thyroid disease and lipids. Tyroid 12:287-293. 

  7. Johnson TO, Ermolieff J, Jirousek MR. 2002.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for diabetes. Nat Rev Drug Discov 1: 696-709. 

  8. Cook WS, Unger RH. 2002.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a potential leptin resistance factor of obesity. Dev Cell 2: 385-387. 

  9. Elchebly M, Payette P, Michaliszyn E, Cromlish W, Collins S, Loy AL, Normandin D, Cheng A, Himms-Hagen J, Chan CC, Ramachandran C, Gresser MJ, Tremblay ML, Kennedy BP. 1999. Increased insulin sensitivity and obesity resistance in mice lacking th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1B gene. Science 283: 1544-1548. 

  10.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th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11. Ren G, Liu XY, Zhu HK, Yang SZ, Fu CX. 2006. Evaluation of cytotoxic activities of some medicinal polypore fungi from China. Fitoterapia 77: 408-410. 

  12. Lee JW, Bang KW. 2001. Biological activity of Phellinus spp. Food Industry and Nutrition 6(1): 25-33. 

  13. Rubin CS, Hirsch A, Fung C, Rosen OM. 1978. Development of hormone receptors and hormonal responsiveness in vitro. Insulin receptors and insulin sensitivity in the preadipocyte and adipocyte forms of 3T3-L1 cells. J Biol Chem 253:7570-7578. 

  14. Kim JH, Son IS, Kim JS, Kim KH, Kwon CS. 2008. Lipase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and the powder of Phellinus linte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4-1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