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융복합 학문의 시대적 흐름- 음악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Trend of the Convergence Stud in Arts & Culture Education - Focused on Music Technolog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3, 2012년, pp.102 - 113  

김은진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  임병노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초록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려는 노력은 사회 문화 전반 분야뿐만이 아닌 일반 교육계와 문화, 예술교육에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가장 큰 변화의 하나는 다른 영역간의 통합과 연계라는 추세가 문화와 예술분야에도 영향을 주면서, 문화와 예술이 통합을 이룬 문화예술 교육을 탄생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새로운 시대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교육 전 영역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문화 예술교육에도 테크놀로지의 활용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악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알아보았다. 음악 테크놀로지의 활용은 다른 교과간의 통합적 접근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문화예술교육 외에 다양한 학문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음악 테크노로지의 활용은 현재 문화예술 교육 분야의 독특성, 전문성, 고유성을 반영해줄 만한 교수학습방법의 학습도구로서 다양한 대상과 상황에서 적용하여 실천적 사례를 쌓음으로서 문화예술 교육 분야를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ort to generate new values in this age of digital technology characterized by rapid changes in information and knowledge demands transformations not only in the sociocultural and educational spheres but also specifically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One of the greatest trans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면, 문화예술교육은 어떠한가?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교육과 문화교육을 포용하는 교육으로서 예술교육이나 문화교육보다 폭넓은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어서 두 개념을 포용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요약하면, 문화교육이란 우리의 삶 속에서 접하고 있는 문화의 가치를 인식하고, 교육을 통하여 문화적 감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문화적 리터러시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문화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문화생활 안에서 보다 창조적이며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문화교육이 추구하는 바이다.
  • 이에 예술교육과 문화교육의 개념을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을 검토하고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테크놀로지를 중점으로 하여 문화예술교육과 테크놀로지, 음악교육과 테크놀로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문화예술교육에서 음악 테크노로지의 활용 범위를 토대로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앞서 넓은 범위에서 문화예술교육과 테크놀로지 관계를 보았으며, 여기서는 범위를 좁혀 음악교육에서 테크놀로지의 관련성이나 영향력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음악을 창작하는 것과 음악적 사고의 발달·향상에 있어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사용이 도움이 된다고[45] 보았기 때문이다.
  • 여러 나라의 학습자들이 모여 무용, 음악, 연극, 시각 예술, 음악 테크놀로지 등을 배우는 과정이다. 이 워크샵의 목표는, 학습자가 창의적으로 새로운 무용작품, 영상작품, 음악작품을 제작하며 발표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과정 속에서 예술뿐만이 아니라 디지털 및 멀티미디어 테크놀로지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학습자는 사회에 진출하여 문화예술의 평생활동과 연계하여 삶을 즐겁고 풍요롭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을 규명하기위해 우선 예술교육과 문화교육의 개념을 구분하여 논하고자 한다. 이에 예술교육과 문화교육의 개념을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을 검토하고 분석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 하에서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을 규명하기위해 우선 예술교육과 문화교육의 개념을 구분하여 논하고자 한다. 이에 예술교육과 문화교육의 개념을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을 검토하고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테크놀로지를 중점으로 하여 문화예술교육과 테크놀로지, 음악교육과 테크놀로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문화예술교육에서 음악 테크노로지의 활용 범위를 토대로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음악 전공자와 음악 교사들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관심이다. 현재까지 음악 테크놀로지는 음악학과 안에서도 전문적으로만 다루는 학습자들의 전유물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합적 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 현재 국내외적으로 초·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예술교육을 보면, 통합적 예술교육을 지향한다[60]. 통합적 예술교육이란 예술을 읽기, 수학, 과학, 사회 과목과 같은 다른 영역과 연계하는 것을 의미한다[56]. 따라서 이를 일컬어 ‘통합예술교육(integrated art education)’ 또는 ‘간학문 예술교육(interdisciplinary art education)’이라 칭하고 있다.
예술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예술교육의 목적은 미적 욕구를 충족하고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꾀하며, 예술적인 인간을 형성하는 것[8][12][37]이라고 볼 때, 예술교육에서의 학습자는 예술 활동 내에서 교사가 미리 설정해 놓은 정해진 가치에 따라 주입식 교육을 받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적욕구를 자연스럽게 발산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예술교육에 있어서, 학습자는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신만의 기법으로 자유롭게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교육받아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예술에는 획일화된 답이 없다. 따라서 예술교육에 있어서 학습자는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신만의 기법으로 자유롭게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교육 받아야 한다[26][33][3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강인애, 김은진, 서봉현,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통합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교육 사례", 음악교육공학, 제10집, pp.55-79, 2010. 

  2. 김은진, 강인애, "대학 교양과목 수업에서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MTBL)이 감성의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감성과학, 제14권, 제4호, pp.513-524, 2011. 

  3. 김문환, 문화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국, 1999. 

  4. 김미윤,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비판적 고찰", 청소년문화포럼, 제12호, pp.159-179, 2005. 

  5.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6 문화예술교육 정책백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6. 민경훈,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방과 후 학교'를 위한 통합형 음악 교육의 수업안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189-211, 2007. 

  7. 박병기, "교양강좌를 이용한 대학생 창의성 교육의 효과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2호, pp.69-81, 2004. 

  8. 박은희,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9. 손민정, "대중음악의 음악교육학적.음악학적 접근- 대중음악의 대학교과를 중심으로", 음악이론연구, 제14호, pp.41-59, 2009. 

  10. 오지향, 김선미, "통합적 접근에 의한 대학 교양 음악 수업 지도방안연구", 음악교육연구, 제36호, pp.167-203, 2009. 

  11. 윤재석, "온라인 예술교육 실태와 효과에 관한 연구: 순수음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2. 이동연, 예술교육을 넘어서, 서울: 한길아트, 2008a. 

  13. 이동연, "문화예술교육, 그 이념과 가치", 문화예술교육 4차 포럼, pp.5-13, 2008b. 

  14. 이에스더, "한국음악 수업에서의 테크놀로지 활용의 필요성 인식과 자기기반에 관한 연구", 음악과 문화, 제7호, pp.93-111, 2002. 

  15. 이에스더, 이재무, "음악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활용 교수.학습 자 료 개발", 중등교육연구, 제5권, 제1호, pp.489-508, 2004. 

  16. 이혜경, "통합적 교양 과목 개발을 위한 창의적 예술 교육의 쓰임새 ("몸으로 배우는" 체험학습 교양과목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모드니 예술, 제2호, pp.139-145, 2009. 

  17. 임학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파트너십 구축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문화 예술교육사업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7 권, 제3호, pp.37-48, 2006. 

  18. 장기범, "디지털 시대에 걸맞는 음악 수업", 에듀넷, 제12호, 2001. 

  19. 장희순, "대학 교양음악 과정의 개선 필요성에 대한 연구: 대학별 현황 및 학생들의 인식도에 대한 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0. 정갑영, "초등생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 

  21. 정진옥, "대학의 교양음악 교육실태 조사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2. 한순미,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제7권 제3호, pp.1-30, 2006. 

  23. 황길남,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만화, 애니메이션 교육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제4권, 제1호, pp.95-111, 2006. 

  24. 황연주, 정연희, "문화예술교육의 미술교육적 논의", 미술교육논총, 제19권, 제1호, pp.1-28, 2005. 

  25. Arts Education Partnership, The arts and education: New opportunities for research, Washington, DC: Arts Education Partnership, 2004. 

  26. Bamford. A,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서울: 한길아트, 2007. 

  27. W. I. Bauer, "Gender differences and the computer self-efficacy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Journal of Technology in Music Learning, Vol.2, No.1, pp.9-15, 2003. 

  28. W. I. Bauer, S. Reese, and P. A. McAllister, "Transforming music teaching via technology: The ro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Vol.51, No.4, pp.289-301, 2003. 

  29. C. Boehm, The discipline that never was: Current development in music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in Britain. Journal of Music Technology and Education, Vol,1, No.1, pp.7-21, 2007. 

  30. J. C. Brooks and M. Brooks, In search of understanding: The case for constructivist classroom, Alexe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9. 

  31. A. R. Brown, "Music, media and making: Humanising digital madia in music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Vol.33, pp.10-17, 1999. 

  32. A. R. Brwon and S. Dillon, "Networked improvisational musical environments: Learning through onling collaborative music making," In J. Finney and P. Burnard (Eds.), Music Educ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London: Continuum, pp.95-106, 2009. 

  33. P. Burnard, "Reframing creativity and technology: Promoting pedagogic change in music education," Journal of Music, Technology and Education, Vol.1, No.1, pp.37-55, 2007. 

  34. N. Butler, "Digital media tools: healing the disconnect in music education," Journal for Music-in-Education, Vol.1, pp.146-152, 2007. 

  35. M. Ciskszentmihalyi,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Collins, 1996. 

  36. L. Cooper, "The gender factor: Teaching composition in music technology lessons to boys and girls in year 9," In J. Finney and P. Burnard (Eds.), Music Educ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London: Continuum, pp.30-40, 2009. 

  37. G. Cosenza, "Play me a picture, paint me a song: Integrating music learning with visual art," General Music Today, Vol.19(winter), pp.7-11, 2006. 

  38. J. E. Dicks and B. Le Blance, "Using drama for learning to foster positive attitudes and increase motivation: Global simulation in french second lange classes," Journal for Learning through the Arts, Vol.5, No.1, 2009. 

  39. G. M. D. S. Ferreira, "Crossing borders: Issues in music technology education," Journal of Music, Technology and Education, Vol.1, No.1, pp.23-35, 2007. 

  40. J. Finney, "Music education as identity project in a world of electronic desires," In J. Finney and P. Burnard (Eds.), Music Educ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London: Continuum, pp.9-20, 2009. 

  41. L. V. Gadsen, "The arts and education: Knowledge generation, pedagogy, and the discourse of learning,"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Vol.32, pp.29-61, 2008. 

  42. D. C. Gregory, "Boxes with fires: Wisely integrating learning technologies into the art classroom," Art Education, Vol.62, No.3, pp.47-54, 2009. 

  43. R. Keesing, 현대문화인류학, 서울: 현음사, 1981. 

  44. H. M. Kliebard, The struggle for the american curriculum, 1893-1958 (3rd ed.), New York: Rougledge Falmer, 2004. 

  45. M. McCabe, "Computers in music education: Amplifying musicality," Computer Music Journal, Vol.32, No.3, pp.105-108, 2008. 

  46. L. Mellor, "Creativity, originality, identity: Investigating computer-based composition in the secondary school," Music Education Research, Vol.10, No.4, pp.451-472, 2008. 

  47. M. ilbrandt, J. Felts, B. Richards, and N. Abghari, Teaching to learn: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student, Lanham, MD: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04. 

  48. R. Moor, Elements of computer music, New Jersey: Prentice Hall, 1990. 

  49. M. Nelken, "Chanson in clay: "The sounds of our language are intimate to us, they enter our ears, our bodies. the meanings are decoded with our minds," School Arts, Vol.103, No.6, pp.40-41, 2004. 

  50. G. D. Peters, "Teacher training and high technology," Music Educators Journal, Vol.70, No.5, pp.35-39, 1984. 

  51. S. Reese and A. Davis, "The systems approach to music technology," Music Educators Journal, pp.24-28, 1998(7). 

  52. E. Rhee, The incorporation of technology into music education in korea: Mixed method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nt State University, 2001. 

  53. S. A. Ruthmann, "Strategies for supporting music learning through on-line collaborative technologies," In J. Finney and P. Burnard (Eds.), Music Education with Digital TechnologyLondon: Continuum, pp.131-141 2009. 

  54. R. Sandel, "Using form+theme+context (FTC) for rebalancing 21st-century art education," Art Education, Vol.50, No.3, pp.287-299, 2009. 

  55. F. A. Seddon, "Music e-learning environments: Young people, composing and the internet," In J. Finney and P. Burnard (Eds.), Music Educ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London: Continuum, pp.107-116, 2009. 

  56. Sroufe, The arts and education: New opportunities for research, Washington, DC: Arts Education Partnership, 2004. 

  57. R. E. Sternberg, "Arts at the core: How six districts integrate arts education into the curriculum," American School Board Journal, Vol.193, No.6, pp.44-47, 2006. 

  58. P. G, Taylor and II, S. Carpenter, "Computer hypertextual "uncovering" in art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Vol.14, No.1, pp.25-45, 2005. 

  59. L. S. Vygotsky and A. E. Kozulin,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MA: M. I. T. Press, 1986. 

  60. http://aep-arts.org/publications/info.htm?publication_id33 

  61. http://www.firstmusiccontact.com/factsheets/ 

  62. http://www.marcprensky.com/writing/Prensky%20-%20Digital%20Natives,%20Digital%20Immigrants%20-%20Part1.pdf 

  63. http://www.marcprensky.com/writing/Prensky%20-%20Digital%20Natives,%20Digita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