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막이완기법에 의한 유연성 및 혈장 카테콜라민의 변화
Changes of Flexibility and Plasma Catecholamine by Myofascial Release Approach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3, 2012년, pp.214 - 221  

김종순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문동철 (김해대학교 물리치료과) ,  장경수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일부 연구자에 의해 근막의 자율신경지배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근막이완술의 효과에 대한 신경 생리학적 설명과 근거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근막이완술에 의해 자율신경계의 흥분이 변화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20대 피검자 30명을 15명씩 무작위로 근막이완술군(MG)과 위약대조군(PCG)로 배치하였다. 근막이완술군으로 배정된 피검자들에게는 치료대에 바로 누운 자세에서 두개 기저부 이완기법(cranial base release)을 5분간 적용하였고 위약대조군으로 배정된 피검자들은 같은 자세와 절차를 거치지만 실제 근막이완술을 적용하지 않는 위약 치료를 적용하였다. 근육의 유연성은 경부의 관절가동범위로 측정하였으며 자율신경계의 변화는 심박수, 혈압 그리고 에피네프린노르에피네프린의 수치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막이완술군에서 신전과 측방굴곡의 가동범위 변화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심박수와 혈압, 그리고 에피네프린의 변화율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노르에피네프린의 변화율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근막이완술이 자율신경계의 흥분을 변화 시킬 수 있다는 근거는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some researchers reported that myofascia was innervated by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However, there is no neurophysiological explanation and evidence for the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MFR).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excitability of the autono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교감신경계의 자극에 의해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가 증가하기 때문에[24] 자율신경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혈중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근막이완술의 효과가 교감신경의 억제에 의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간접적 방법으로 심박수와 혈압의 변화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근막이완술을 적용한 실험군과 위약대조군 모두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본 연구에서는 근막이완술의 효과에 대한 자율신경계의 관여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크게 기능적 요소와 자율신경계 관련 요소를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기능적 요소로는 경부의 관절가동범위를 분석하였으며 자율신경 관련 요소로는 혈압, 심박수, 에피네프린(epinephr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근막통증후군의 치료 접근에 많이 이용되는 근막이완술의 치료 가능 기전으로서 자율신경계 흥분 변화의 관여 여부를 경부 유연성 개선 여부와 혈장 카테콜라민의 변화 그리고 심박수와 혈압의 변화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임상에서 적용하는 근막이완술이 근육의 유연성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를 가지는지의 여부와 이러한 유연성의 개선이 자율신경계의 흥분 변조와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자율신경의 흥분 변화를 반영하는 생화학적 지표인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을 분석하고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는 대표적인 기관인 심장작용에 따른 혈압과 심박수의 변화와 이완 여부를 판별 할 수 있는 관절가동범위를 분석하여 근막이완기법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경부의 관절가동범위는 신전, 좌, 우 측굴에서 근막이완술을 적용한 실험군이 위약대조군에 비해 약 8∼10% 정도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D. G. Simons, J. G. Travell, and L. S. Simons,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Williams & Wilkins, 1999. 

  2. 김종문, "근막통증증후군의 일차의료적접근", 가정의학회지, 제22권, 제9호, pp.1315-1320, 2001. 

  3. http://www.myofascialrelease.com 

  4. L. Twomey and J. Taylor, "Flexion, creep, dysfunction and hysteresis in the lumbar vertebral column," Spine, Vol.7, No.2, pp.116-122, 1982 

  5. J. T. Cottingham, Healing through touch-A history and a review of the physiological evidence, Boulder Co. 1985. 

  6. J. Staubesand and Y. Li, "Zum Feinbau der Fascia cruris mit besonderer Berucksichtigung epi- und intrafaszialer Nerven," Manuelle Medizin. Vol.34, pp.196-200, 1996. 

  7. L. Yahia, P. Pigeon, and E. A. DesRosiers, "Viscoelastic properties of the human lumbodorsal fascia," J Biomed Eng, Vol.15, No.5, pp.425-429, 1993. 

  8. J. Staubesand and Y. Li, "Begriff und Substrat der Faziensklerose bei chronisch-venoser," Insuffizienz, Phlebologie, Vol.26, pp.72-79, 1997. 

  9. J. Staubesand, "La structure fine de l'aponevrose jambiere," Phlebologie, Vol.50, pp.105-113, 1997. 

  10. K. L. Huguenin, "Myofascial trigger points: the current evidence," Phys Ther in Sport, Vol.5, No.1, pp.2-12, 2004. 

  11. D. R. Hubbard and G. M. Berkoff, "Myofascial trigger points show spontaneous needle EMG activity," Spine (Phila Pa 1976), Vol.18, No.13, pp.1803-1907, 1993. 

  12. J. T. Chen, S. M. Chen, T. S. Kuan, K. C. Chung, and C. Z. Hong, "Phentolamine effect on the spontaneous electrical activity of active loci in a myofascial trigger spot of rabbit skeletal muscle," Arch Phys Med Rehabil, Vol.79, No.7, pp.790-794, 1998. 

  13. 홍대종, 최기섭, 박시복, 이상건, "견관절 주위근의 스트레칭후 동통유발점 압통역치의 변화",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2권, 제6호, pp.1298-1304, 1998. 

  14. 홍대종, 최기섭, 박시복, 김영호, "초저온 냉기를 이용한 한냉치료후 동통유발점 압통역치의 변화",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34-139, 1999. 

  15. A. M. Castro-Sanchez, G. A. Mataran- Penarrocha, M. Arroyo-Morales, M. Saavedra- Hernandez, C. Fernandez-Sola, and C. Moreno- Lorenzo,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 techniques on pain, physical function, and postural stability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Vol.25, No.9, pp.800-813, 2011. 

  16. E. E. Cubick, V. Y. Quezada, A. D. Schumer, and C. M. Davis, "Sustained release myofascial release as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complications of rheumatoid arthritis and collagenous colitis: a case report," Int J Ther Massage Bodywork, Vol.4, No.3, pp.1-9, 2011. 

  17. J. H. Lee and S, M. Lee, "The immediate effects of 830-nm low-level laser therapy on the myofascial trigger point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in visual display terminal workers: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7, No.2, pp.59-63, 2011. 

  18. 김종문, 정순열, "적외선 체열촬영을 이용한 통증 유발점의 치료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1 권, 제3호, pp.500-510, 1997. 

  19. 김상현, 정순열, 정진상, "적외선 체열촬영기를 이용한 통증 유발점의 Lidocaine 주사와 Dry Needling의 치료 비교",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2 권, 제4호 pp.921-927, 1998. 

  20. 김정수, 김인아, 이수진, 김영규, 박시복, 고재우, 송재철, "어깨 근막통 증후군에서 어깨 관절가동 범위에 대한 분석",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7권, 제 4호, pp.333-342, 2005. 

  21. R. Grieve, J. Clark, E. Pearson, S. Bullock, C. Boyer, and A. Jarrett, "The immediate effect of soleus trigger point pressure release on restricted ankle joint dorsiflexion: A pilot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 Bodyw Mov Ther, Vol.15, No.1, pp.42-49, 2011. 

  22. W. P. Hanten and S. D. Chandler,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 leg pull and sagittal plane isometric contract-relax techniques on passive straight-leg raise angle," J Orthop Sports Phys Ther, Vol.20, No.3, pp.138-144, 1994. 

  23. M. Arroyo-Morales, N. Olea, M. Martinez M, C. Moreno-Lorenzo, L. Diaz-Rodriguez, and A. Hidalgo-Lozano,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 after high-intensity exercis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 Manipulative Physiol Ther, Vol.31, No.3, pp.217-223, 2008. 

  24. I. S. Fox, Human physiology, McGraw-Hill, 2002. 

  25. A. Walton, "Efficacy of myofascial release techniques in the treatment of primary Raynaud's phenomenon," J Bodyw Mov Ther, Vol.12, No.3, pp.274-280, 2008. 

  26. 조정진, "직무스트레스와 심혈관계 질환", 가정의학회지, 제23권, 제7호, pp.841-854,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