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지체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보이는 Noonan 증후군 1예
A Case Report of Noonan Syndrome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3 no.1, 2012년, pp.31 - 35  

김원우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심세훈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onan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short stature, typical facial dysmorphology, and congenital heart defects. The main facial features of Noonan syndrome are hypertelorism with down-slanting palpebral fissures, ptosis, and low-set posteriorly-rotated ears with a thickened helix. The cardiovascula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는 Noonan 증후군에 대한 보고 사례가 적고 신경발달학적 이상을 보고한 예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MR)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를 동반한 Noonan 증후군을 가진 10세 남아의 치료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oonan 증후군은 무엇인가? Noonan 증후군(Noonan syndrome, NS)은 저신장과 특징적인 얼굴 양상, 선천성 심장기형 등의 다양한 표현 양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NS는 1883년 Kobylinski가 물갈퀴목(Webbed neck)이 있는 20세 남자 환자를 보고한 이래로 지금까지 300례 이상이 보고되었다.
NS의 진단 기준은 무엇인가? NS의 진단은 일차적으로 임상적 증상들을 바탕으로 내려지며 Van der Burgt 등10) 은 선천적 그리고 형태학적 표현형들을 점수화하여 NS의 진단 기준을 만들었다(Table 1). NS에서는 전형적인 얼굴의 생김새와 더불어 저신장, 폐동맥판 협착이나 비대심장근육병증 등과 같은 다양한 심장 질환, 흉부 기형과 같은 골격계 이상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추가적인 표현형으로는 잠복고환, 림프계 이형성증, 혈액학적 이상, 낮은 지능 등이 있다. 위 증례의 환자의 경우에는 염색체 검사 결과는 정상이 었지만 특징적인 얼굴 모습을 보이고 흉부가 넓어 젖꼭지 사이가 넓고 퍼져 있는 모양을 보였으며 정신지체와 잠복고환 등의 병력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NS의 진단을 내릴 수 있었다.
NS 환자들의 특징적인 얼굴 모습은 무엇이 있는가? 1)의 missense mutation이 NS 환자의 절반에서 나타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5,6) NS 환자들의 특징적인 얼굴 모습으로는 넓은 이마, 두눈먼거리증, 눈꺼풀처짐, 아래로 처진 눈꺼풀틈새, 높은 구개, 뒤로 돌아간 처진 귀 등이 있으며 그 외에 물갈퀴목, 낮은 두발선, 외반주, 흉부 기형, 잠복 고환과 사춘기 지연, 지능 저하 및 청력장애 등이 다양하게 관찰된다.3,7)심장 기형은 약 85% 환자에서 관찰되며 폐동맥판 협착과 비대심장근육병증이 가장 많고 심방심실중격결손, 대동맥 축착, 동맥관 개존증 등도 동반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Noonan JA, Ehmke DA. Associated noncardiac malformation in childre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J Pediatr 1963;63:468. 

  2. Opitz JM, Summitt RL, Sarto GE. Noonan's syndrome in girls: a genocopy of the Ullrich-Turner syndrome. J Pediatr 1965;67:968. 

  3. Allanson JE. Noonan syndrome. J Med Genet 1987;24:9-13. 

  4. Jamieson CR, van der Burgt I, Brady AF, van Reen M, Elsawi MM, Hol F, et al. Mapping a gene for Noonan syndrome to the long arm of chromosome 12. Nat Genet 1994;8:357-360. 

  5. Tartaglia M, Mehler EL, Goldberg R, Zampino G, Brunner HG, Kremer H, et al. Mutations in PTPN11, encoding th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SHP-2, cause Noonan syndrome. Nat Genet 2001; 29:465-468. 

  6. Tartaglia M, Kalidas K, Shaw A, Song X, Musat DL, van der Burgt I, et al. PTPN11 mutations in Noonan syndrome: molecular spectrum,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and phenotypic heterogeneity. Am J Hum Genet 2002;70:1555-1563. 

  7. Opitz JM. The Noonan syndrome. Am J Med Genet 1985;21:515-518. 

  8. Kitchens CS, Alexander JA. Partial deficiency of coagulation factor XI as a newly recognized feature of Noonan syndrome. J Pediatr 1983;102:224-227. 

  9. Money J, Kalus ME Jr. Noonan's syndrome. IQ and specific disabilities. Am J Dis Child 1979;133:846-850. 

  10. van der Burgt I, Berends E, Lommen E, van Beersum S, Hamel B, Mariman E. Clinical and molecular studies in a large Dutch family with Noonan syndrome. Am J Med Genet 1994;53:187-191. 

  11. Allanson JE. Noonan syndrome. In: Cassidy SB, Allanson JE, editors. Management of genetic syndromes. 2nd edition. New York: Wiley-Liss;2005. p.385-397. 

  12. Wingbermuehle E, Egger J, van der Burgt I, Verhoeven W. Neuro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spects of Noonan syndrome. Horm Res 2009;72 Suppl 2:15-23. 

  13. van der Burgt I, Thoonen G, Roosenboom N, Assman-Hulsmans C, Gabreels F, Otten B, et al. Patterns of cognitive functioning in schoolaged children with Noonan syndrome associated with variability in phenotypic expression. J Pediatr 1999;135:707-713. 

  14. Lee DA, Portnoy S, Hill P, Gillberg C, Patton MA. Psychological profile of children with Noonan syndrome. Dev Med Child Neurol 2005;47:35-38. 

  15. Shaw AC, Kalidas K, Crosby AH, Jeffery S, Patton MA. The natural history of Noonan syndrome: a long-term follow-up study. Arch Dis Child 2007;92:128-132. 

  16. Troyer AK, Joschko M. Cognitiv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Noonan syndrome : two case reports. Child Neuropsychology 1997; 3:199-205. 

  17. Sharland M, Burch M, McKenna WM, Paton MA. A clinical study of Noonan syndrome. Arch Dis Child 1992;67:178-183. 

  18. Horiguchi T, Takeshita K. Neuropsychological developmental change in a case with Noonan syndrome: longitudinal assessment. Brain Dev 2003;25:291-293. 

  19. Blondis TA. Motor disorders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 Clin North Am 1999;46:899-913, vi-vii. 

  20. Mulligan S. An analysis of score pattern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isorders on the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Am J Occup Ther 1996;50:647-654. 

  21. Sarimski K. Developmental and behavioural phenotype in Noonan syndrome? Genet Couns 2000;11:383-390. 

  22. Verhoeven WM, Hendrikx JL, MDoorakkers MC, Egger JI, Van der Burgt I, Tuinier S. Alexithymia in Noonan syndrome. Genet Couns 2004;15:47-52. 

  23. Dunn DW, Austin JK, Harezlak J, Ambrosius WT. ADHD and epilepsy in childhood. Dev Med Child Neurol 2003;45:50-54. 

  24. Bauchner H. ADHD: A new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rch Dis Child 2000;83:63. 

  25. Torres AR, Whitney J, Gonzalez-Heydrich J.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pediatric patients with epilepsy: review of pharmacological treatment. Epilepsy Behav 2008;12:217-233. 

  26. Wernicke JF, Holdridge KC, Jin L, Edison T, Zhang S, Bangs ME, et al. Seizure risk in pati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reated with atomoxetine. Dev Med Child Neurol 2007;49: 498-502. 

  27. Hernandez A, Barragan P. Efficacy of atomoxetine treatment in children with ADHD and epilepsy. Epilepsia 2005;46:7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