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가구 분포 및 밀집지역 유형 분석 : 부산광역시 사례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Highly Density Area Pattern of One-Person Household : Pusan Metropolitan's Case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교통공학, 도로공학, 시공관리, 정보기술, 지역 및 도시계획, 철도공학,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공학, v.32 no.6D, 2012년, pp.655 - 662  

최열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신종훈 (부산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박원전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우리나라의 인구 가구구조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점차 대도시에서는 1인 가구의 변화양상이 뚜렷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시 1인가구 분포 특성 및 밀집지역의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엇보다 ArcGis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서는 군집분석 중 와드(Ward)연결법을 통해 유형별 밀집지역을 분류해보고 이어서 그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역세권형을 살펴보면 주로 도심지인 서면과 남포동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형은 향후 1인가구를 위한 주거계획에서 중요시되어야 하는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지구중심지형을 살펴보면 주로 지하철역과 인접하여 있으며 상대적으로 양호한 주거시설과 환경을 갖추고 있다. 셋째, 대학인접지형을 살펴보면 주로 대학생을 비롯하여 젊은 직장인이 원룸 빌라 등에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은 소규모의 근린생활시설이 분포되어 있으며 월세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넷째, 공장인접지형을 살펴보면 각종 공장이 밀집된 지역으로 내 외국인 근로자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역세권과는 거리가 있는 지역이다. 마지막으로 기숙사형을 살펴보면 도심지와는 거리가 있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곳이다. 주로 가족과 떨어져 있는 학생과 직장인들이 거주하며 생활편익시설의 부족과 교통접근성이 떨어져 불편을 겪고 있는 지역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the pattern of compacted area 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one-person household. Through ArcGis, we collect the basic data and classify the compact area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 employing Ward method out of cluster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 이루어진 연구도 서울중심의 1인가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1인가구의 현황과 주거특성 연구에 치우친 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1인가구의 입지적 측면을 강조하여 1인가구의 분포적 특성과 밀집지역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향후 도시 및 지역 계획에서 관리적 측면 그리고 토지이용의 제도적·정책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과거 정책적 배려대상에서 소홀히 취급되었던 1인가구의 주거실태 및 선호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 기존 선행연구 및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 본 연구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기존연구에서 다소 소홀한 1인가구의 공간적 분포 및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군집분석을 통해 유형별 밀집지역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하여 향후 도시 및 지역 계획에서 관리적 측면 그리고 토지이용의 제도적·정책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1인가구 주거환경평가를 통해 주거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각종 통계자료와 부산에 거주하는 1인가구 대상으로 한 ArcGis 분포분석 결과 각 구별의 개별적인 분포특징과 전반적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가설 설정

  • 김혜영 외(2007)는 미혼 1인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성, 가족의식 및 가족관계,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준비, 유형, 독신성향 및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무엇보다도 1인가구를 평범한 삶의 형태로 받아들이는 사회적 토양이 전제가 되어야한다고 역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시의 1인가구 비율은 어떤가? 3)증가한 것이다. 1인가구 비율은 1995년 10.7%, 2000년 13.8%, 2005년 18.8%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증가율은 전체가구 증가율보다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주거란 무엇이라고 말하나? 주거는 삶의 보금자리이며 우리의 생활을 담는 그릇이라고 말한다. 주거는 개인의 인격형성과 가족의 단란 그리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주거의 형태는 그 속에 들어가 살 거주자의 정신과 마음을 포함하여 삶에 가장 적합하게 고안되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과거와 달리 사람들은 도시형생활주택을 선택하는 데 무엇을 고려하는가? 그러나 도시형생활주택은 공급에만 치우친 나머지 건설기준에 완화되어 전용률이 높아졌으나 관리사무소나 조경시설 등 부대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주차장이 부족하여 주거환경은 악화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단순히 주택의 수준에 의하여 거주지를 선택한 과거와는 달리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은 주택 뿐 아니라 입지 및 근린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데 이에 대한 반영이 미흡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전 충분한 검토가 되어야 하나 현실은 정책을 제시하는 데만 급급할 뿐 그에 대한 문제점 대처는 사후약방문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재형(2008) 서울시 1인가구의 거주지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2007) 비혼 1인가구의 가족 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 배화옥(1993) 우리나라 단독가구실태에 관한 소고, 한국인구학회지, 한국인구학회 16(2), pp125-139. 

  4. 변미리.신상영.조권중(2008) 서울시 1인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5. 이창효.이승일(2010) 서울시 1인가구의 밀집지역 분석과 주거환경평가, 서울도시연구, 제11권 제2호, pp. 69-84. 

  6. 최열(1999) 도시 내 주거이동 결정요인과 희망 주거지역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4권 제5호, pp. 19-30. 

  7. 허현경(1998) 1-2인 가구를 위한 주택특성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황미리(2004) 1인가구 주택계획을 위한 거주자 주요구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Faesen, W. B. (2002) Present and Preferred housing of one-person households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Housing and Built Environment, Vol. 17, No. 3, pp. 337-250. 

  10. Glanville, K., Maconachie, M., Sutton, C., and Chandler, J. (2005) Solo living in Devon. Plymouth: School of Sociology, Politics and Law. 

  11. Hall, R. and Ogden, P. (2003) Living alone in inner London: trends among the population of working age.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35, pp. 871-888. 

  12. Harvey, J. and Houston, D. (2005) Research into the single room rent regulations, London: DWP. 

  13. Kharicha, K., Iliffe, S., Harari, D., Swift, C., Gillmann, G., and Stuck, A. (2007) Health risk appraisal in older people 1: Are order people living in single person households an 'at-risk' group?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Vol. 57, pp. 271-276. 

  14. Wasoff, F. and Jamieson, L. (2005) Solo living across the adult life course. In: McKie, L. and Cunningham-Burly, S. (eds) Families in society: boundaries and relationships. Bristol: Policy Press. 

  15. Wulff, M. (2001) Growth and Change in One Person Households: Implications for the Housing Market, Urban Policy and Research, Vol. 19, No. 4, pp. 467-4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