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 가구의 인구.경제.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장패턴과 공간분포
Growth Patter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One-person Households by Socio-Economic Demographic Characteristicsc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6 no.4, 2011년, pp.480 - 500  

이희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노승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최은영 (통계개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난 10년(1995-2005년)동안 급증하고 있는 1인가구의 인구 경제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장패턴을 기술하고, 1인가구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1인가구의 증가는 젊은 층의 결혼 지연과 독신, 중년층의 이혼율 증가와 노령화에 따른 독거노인의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1인가구의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 교육수준에 따라 상당히 차별적인 1인가구의 성장 패턴을 보이고 있다. 1인가구의 연령, 학력, 주택소유 및 주택유형을 기준으로 하여 이들의 공간분포 패턴을 비교해보면 매우 대조적이고 불균등하게 나타나고 있다. 교육수준이 높고 자가 아파트에 거주하는 젊은 싱글족은 소수의 대도시에 집중해있는 반면에 교육수준이 낮고 단독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은 주로 농촌에 거주하고 있다. 또한 고학력의 젊은 연령층의 경우 경제적 상황에 따른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광역시나 대도시에는 아파트를 소유하면서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삶을 살고 있는 그룹과 월세로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그룹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1인가구들도 상당히 이질적인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어떤 그룹에 속하고 있는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 집중분포되어 있는가에 따라서 해당 지자체가 직면하게 되는 경제 사회적 문제는 상당히 다를 것이며, 이에 따른 사회복지정책도 차별화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rapid growth of the one-person households in terms of the socio-economic demographic perspectives during the period of 1995-2005 and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based on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s. The increase in the divorce 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1인가구 증가추세는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우리나라의 1인가구 증가추세를 보면 1970년 전체 가구의 3.7%를 차지하던 것이 1985년에는 6.9%, 1995년에는 12.7%, 2005년에는 20%로 크게 증가하면서 2000년대 들어와 1인 가구에 대한 관심사가 상당히 커지기 시작하였다. 1인가구 증가율은 통계청에서 추계한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증가하여 2010년 잠정 집계된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1인가구는 약 404만가구로 전체 가구의 23.
1인가구의 증가의 원인으로는 무엇이 작용하였는가? 본 연구는 지난 10년(1995-2005년)동안 급증하고 있는 1인가구의 인구 경제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장패턴을 기술하고, 1인가구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1인가구의 증가는 젊은 층의 결혼 지연과 독신, 중년층의 이혼율 증가와 노령화에 따른 독거노인의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1인가구의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 교육수준에 따라 상당히 차별적인 1인가구의 성장 패턴을 보이고 있다.
1인가구의 연령·교육수준·주택환경 유형별 공간분포 패턴을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던 본 논문에서 특히나 더욱 초점을 두었던 부분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둔 것은 1인가구의 연령·교육수준·주택환경 유형별 공간분포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비교적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고 자발적으로 독신으로 지내는 골드 미스·미스터 그룹,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혼자 사는 젊은 연령층 그룹 그리고 경제적인 면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격리되어 지내는 독거노인 그룹 등 1인가구의 다양한 특성별 공간분포 패턴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won, J. A., Lee, Y. J., and Choi, H. K., 2007, The Prospect of Housing Demand and Supply for One-person households, Korea housing institute, Seoul. 

  2. Kim, H. Y., 2007, Sense of Family and Living Conditions of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Seoul. 

  3. Banks, L., Haynes, P. and Hill, M., 2009, Living in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the risk of isolation in later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Later Life, 4(1), 55-86. 

  4. Bennelt, J. and Dixon, S., 2006,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Social Policy: Looking Forwards, York: Joseph Rowntree Foundation. 

  5. Beland, F., 1987, Living arrangement preference among elderly people, Gerontologist, 27(6), 797-802 

  6. Byun, M. r., Shin, S. Y. and Cho, K. J., 2008, Single person household and urban policy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7. Chandler, J., Williams, M., Maconachie, M., Collet, T.and Dodgeon, B., 2004, Living alone: its place in household formation and change, Sociological Research Online, 9(3), http://www.socresonline.org.uk/9/3/chandler.html 

  8. Cha, K. W., 2006, Economic structure of male oneperson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1), 253-269(in Korean). 

  9. Cho, J. H. and Kim, J. W., 2010,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ousing demand of singleperson households,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is association, 16(4), 33-52(in Korean). 

  10. Cho, M. E., 2002, A study of housing design guidelines for the single household,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6), 219-227(in Korean). 

  11. Glick, P., 1994, Living alone during middle adulthood, Sociological Perspectives, 37(3), 445-457. 

  12. Gram-Hanssen, K., Scherg, R. and Christensen, R., 2009, One-person households: a growing challenge for sustainablity and housing policy, Paper presented at the ENHR 2009 conference in Prague, Workshop 7: Challenges for Housing and Urban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Perspective of Rapid Global Change. 

  13. Hall, R, Odgen, P. and Hill, C., 1997, The pattern and structure of one-person households in England Wales and French, International Journal of Population Geography, 3(2), 161-181. 

  14. Hall., R. and Ogden, P., 2003, The rise of living alone in inner London trends among the population of working age, Environment and Planning A, 35(5), 871-888. 

  15. Haurin, J., Haurin, D., Hendershortt, P. and Bourassa, S., 1997, Home or alone: the costs of independent living for youth, Social Science Research, 26, 135-152. 

  16. Kaufman, J., 1994, One person households in Europe, Population, 49(4-5), 935-938. 

  17. Kendig, H. and McCallum, J., 1986, Greying Australia: Future Impacts of Population Ageing, Migration, Committee, National Population Council,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Canberra. 

  18. Kim, O. Y., and Moon, Y. K., 2009, Housing analysis of one person household,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7(2), 37-53(in Korean). 

  19. Kim, Y. H. and Chae, J. S., 2005, The financial status of single household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1), 85-103(in Korean). 

  20. Koesoebjono, S., 1984, Trends of one-person households in Netherlands, 1960-1981: a demographic analysis, Population and Family in the Low Countries, IV, Voorburg, Netherlands. 101-133. 

  21. Kramarow, E., 1995, The elderly who love alone in the United States: historical perspectives on household change, Demography, 32(3), 335-352. 

  22. Lee, Y. J., and Kim, S. M., 2004, The economic status and an analysis of the expenditure of the single elderly household of men an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12), 93-106(in Korean). 

  23. Ogden, P. and Hall, R., 2000, Households, reurbanization and the rise of living alone in the principal French cities, 1975-90, Urban Studies, 37(2), 367-390. 

  24. Park, J. H., 2007, A study on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one person household in Seoul, Master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25. Quintano, C. and D'Agostino, A., 2006, Studying inequality in income distribu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four developed countries, Review of Income and Wealth, 52(4), 525-546. 

  26. Shim, Y.,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conomic life of single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6), 197-208(in Korean). 

  27. Shin, E. J., and Ahn, K. H., 2010,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residential location choic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across income level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5(4), 69-79(in Korean). 

  28. Shin, S. Y., 2010,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5(4), 81-95(in Korean). 

  29. Song, Y. J., 2007, Characteristics of the one-person households of the elderly during widowhood,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8(1): 147-160(in Korean). 

  30. Statistics Korea, 2009, Social Survey(Welfare.Culture and Leisure.Income and Consumption. Labor.Social Participation). 

  31. Sung, J. M. and Lee, Y. J., 2001, The economic status and inequality of the single elderly household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2), 111-130(in Korean). 

  32. Wall, R., 1989, Leaving homes and living alone: an historical perspective, Population Studies, 43(3), 369-389. 

  33. Williams, J., 2007, Innovative solutions for averting a potential resource crisis: the case of one-person households in England and Wales, Environment,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9, 325-354. 

  34. Witte, J. and Lahmann, 1988,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one-person households in the United States and West Germany, Sociology and Social Research, 73(1), 31-42. 

  35. Wulff, M., 2001, Growth and change in one person households: implications for the housing market, Urban Policy and Research, 19(4), 467-489. 

  36. Young, C., 1987, Young People Leaving Home in Australia: The Trend Towards Independence, Department of Demograph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Canberra. 

  37. Yuh, Y. K., 2003,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derly couple and elderly singl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5), 1-12(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