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가구의 시공간적 분포 분석 - 부산시를 사례로 -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alysis of One-Person Household - The Case of Busan City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2, 2014년, pp.59 - 71  

유창주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남광우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나라는 총 인구 감소 속에서도 1인가구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인 가구의 증가는 사회적, 제도적인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1인가구의 증가로 인하여 주택수요의 변화뿐만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 독거노인가구 등 생활 취약계층을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사회 경제적 대응을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1인가구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1인가구의 증가지역, 고밀지역, 다수지역 등을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2000년, 2005년, 2010년 각 년도별 시계열적 변화에 따른 공간적 분포에 초점을 두어 주택특성을 고려한 1인가구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대상지를 선정하고 정책적 효율성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밀집지역 선정을 위하여 부산의 6066개의 집계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젊은층의 1인가구는 대학가, 오피스시설, 역세권 주변에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중장년층의 1인가구는 부산의 원도심 지역과 산복도로 상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들을 종합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산의 1인가구 밀집지는 4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1인가구의 주택수요 증가 대응방안이나 소형주택공급정책 측면의 업무를 지원하는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 present, Korean one-person household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spite of the reduction of total population. The increasement of one-person household has become a social and institutional issue. It is necessary to response socially and economically to not only changes of housing deman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되었던 소규모 표본조사 자료보다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센서스(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더욱 미세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의 1인가구 분포와 유형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 주택수요 특성 관점에서의 1인가구 분포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부산시를 대상으로 2000년, 2005년, 2010년 5년 단위의 시계열적, 공간상 1인가구 분포를 파악하고 1인가구의 다수지역, 고밀지역, 증가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부산시의 1인가구 유형화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주택수요 특성 관점에서 1인가구의 주거지 현황과 공간적 분포 특성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1인가구의 주택수요 증가 대응방안이나 소형주택공급정책 측면의 업무를 지원하는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 본 연구는 부산시의 1인가구를 대상으로 집계구단위의 센서스 자료를 활용하여 1인가구의 시공간적 분포 분석을 통하여 공간적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단순히 주택수요의 변화를 읽어내는 것 이상의 사회적 준비 또는 대응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 1인가구 밀집지역의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변수들 간의 내적구조를 살펴 변수를 단순화하는 작업을 실시하여 각각의 특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1인가구 밀집지역의 유형화를 통해 유사 유형에 속한 대상지별 특성을 살피기 위한 군집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1인가구 밀집지역은 표 6과 같이 2010년 부산시의 일반가구 대비 1인 가구 비율인 23.
  •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1인가구의 분포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택수요 특성 관점에서의 1인가구 분포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부산시를 대상으로 2000년, 2005년, 2010년 5년 단위의 시계열적, 공간상 1인가구 분포를 파악하고 1인가구의 다수지역, 고밀지역, 증가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 ,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 1인가구 밀집지역의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변수들 간의 내적구조를 살펴 변수를 단순화하는 작업을 실시하여 각각의 특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1인가구 밀집지역의 유형화를 통해 유사 유형에 속한 대상지별 특성을 살피기 위한 군집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 가구 증가율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4%로 네 가구당 한 가구는 1인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는 특히 수도권 지역과 지방대도시의 1인 가구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저소득, 미취업, 결혼지연에 따른 1인가구, 독거노인, 이혼, 사별 등 비자발적인 요인과 골드미스·골드미스터, 라이프 스타일 추구로 인한 자발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부산의 가구구조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1인가구가 사회적, 제도적 관심사로 부각되면서 1인가구 관련 주택 제도들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어떠한 제도들인가? 앞에서 제시한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부산의 가구구조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소규모 독립가구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1인가구가 사회적, 제도적 관심사로 부각되면서 1인가구 관련 주택 제도들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는데, 주거 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곳에 신속하고 저렴하게 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주택건설 기준을 적용하지 않거나 완화한 도시형 생활주택(2009년 도입)이나 주택 외의 건축물과 그 부속 토지를 주거시설로 이용 할 수 있는 준주택이 이에 해당된다.
2010년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8%씩 증가하여 부산시 전체 가구 중 1인가구는 290,902가구이다. 전체가구 중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기준 23.4%로 네 가구당 한 가구는 1인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는 특히 수도권 지역과 지방대도시의 1인 가구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저소득, 미취업, 결혼지연에 따른 1인가구, 독거노인, 이혼, 사별 등 비자발적인 요인과 골드미스·골드미스터, 라이프 스타일 추구로 인한 자발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n, S.R., S.H. Kim and S.J. Kim. 2014. A study on hydrologic clustering for standard watersheds of Korea water resources unit map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1):91-106 (안소라, 김상호, 김성준. 2014. 다변량 통계분석 기법을 이용한 전국 표준유역 대상 수문학적 군집화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1):91-106). 

  2. Bennett, J. and Dixon, M. 2006.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Social Policy : Looking Forwards. Joseph Rowntree Foundation. 

  3. Byeon, M.R. 2009. Present status of one household in Seoul and demand for city policy. Winter Symposium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KAPA) 16pp (변미리. 2009. 서울의 1인가구 현황과 도시 정책 수요.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16쪽). 

  4. Cha, K.W. 2006. Economic structure of male one-oerson households : comparison of age and marital status.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1):253-269 (차경욱. 2006. 남성 일인가구의 경제구조 분석 : 연령 및 혼인상태에 따른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253-269). 

  5. Choi, Y.M. and J. Nam. 2008. An analysis on the elements of housing choice by household attributes : focusing on the features of variation from 1996 to 2006.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3(3):195-210 (최유미, 남진. 2008. 서울시 가구특성별 주거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1996년부터 2006년까지 변화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3(3):195 -210). 

  6. Jang, Y.H. 2011. An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n the housing size of one person household. Master Thesis, Univ. of SeoKyeong, Seoul, Korea (장영호. 2011. 1인가구의 거주면적에 대한 영향 인자 분석.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Ji, K.H., S.Y. Shin, J.A. Kwon, H.R. Kim and D.H. Lee. 2010. Implication in city planning of demand increase for single person household housing. Urban Information Service 10(4):3-15 (지규현, 신상영, 권주안, 김학렬, 이동환. 2010. 1인가구 주택수요 증가의 도시계획적 함의. 도시정보지 10(4):3-15). 

  8. Koo, C.M. 1999. A study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census and GIS for urban analysis : modification of digital maps and establishment of census trac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27-44 (구자문. 1999. 도시분석을 위한 인구주택센서스와 GIS의 연계활용방안 연구 : 수치지도의 보완과 센서스트랙의 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2):27-44). 

  9. Lee, C.H. and S.I. Lee. 2010. Analysis of single household areas and evaluation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11(2):69-84 (이창효, 이승일. 2010. 서울시 1인 가구의 밀집지역 분석과 주거환경 평가, 서울도시연구 11(2):69-84). 

  10. Lee, J.S and J.S. Yang. 2013.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pattern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3):181-193 (이재수, 양재섭. 2013. 서울의 1인 가구 특성과 거주 밀집지역 분석을 통한 주택정책 방향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8(3):181-193). 

  11. Lee, J.Y. 2011. Housing policy direction for Ul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analysis of 2010 total survey for population and housing results: centered in household traits. Ulsan Development Institute, Issue Report 37 (이주영. 2011.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분석을 통한 울산광역시 주택정책 방향 : 가구특성을 중심으로. 울산발전연구원, 이슈리포트 제37호). 

  12. Palmer, G. 2006. Briefing On the Growth in One Person Households : Trends, Causes and Issues Arising. Joseph Rowntree Foundation. 

  13. Shin, S.Y. 2010.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 the case of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5(4):81-95 (신상영. 2010. 1인가구 주거지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사례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5(4):81-95). 

  14. Won, T.Y. and S.W. Jeong. 2001. Statistics Research Analysis. SPSS Academy, Korea Information Industry pp.405-429 (원태연, 정성원. 2001. 통계조사분석. SPSS 아카데미, 고려정보산업. 405-429쪽).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