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NS를 활용한 스마트 재난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Social Network Service 원문보기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v.16 no.4 = no.55, 2012년, pp.717 - 722  

강희조 (목원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한 재난관리체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자연재난과 교통사고 범죄 같은 사회적 재난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고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한 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일어날지 예상할 수 없는 재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적절한 위기의식과 재난 초기의 올바른 선택과 대응일 것이다. 본 논문은 향후 국내 재난안전 부문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외의 재난안전 분야에서의 성공적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유비무환의 자세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재난관리체계를 도입한다면 피해의 최소화와 신속한 재해복구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aster management system can prepare enough for a social disaster. In addition, it is measures to reduce damage. When, where and how to prepare for a disaster will happen we can not expect an appropriate sense of crisis, disaster response and is the right choice early. In this paper, the next nat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국내 재난안전 부문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외의 재난안전 분야에서의 성공적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즉, 다양한 배경 및 다양한 능력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 의해 일 능률 및 배움의 향상을 이루고, 편안한 웨어러블 센서 및 컴퓨터에 의한 개인적 센싱 및 인지능력의 증대를 가져오며, 헬스케어의 혁명적 변화가 발생하여 오래 살고, 더 건강하게 되며, 스트레스, 생물학적 위협, 노화에 내성이 증가하고, 신체적 정신적 장애의 극복이 가능해 짐에 따라 두뇌와 두뇌 상호작용, 사람과 기계, 통신 및 인터페이스 기술, 인지과학 등을 통해 사람, 사물, 환경의 융합이 가능해짐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이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고도의 지능형 맞춤형 스마트 사회를 실현하게 될 것이다[3].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국내 재난안전 부문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외의 재난안전 분야에서의 성공적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맵 기반의 재해정보시스템에 접속함으로써 재난정보의 전파 및 수신 속도를 향상시켰다. 즉, 선진국의 스마트 재난관리체계는 신속하고 능동적인 재난 정보의 전파를 통해 대응력을 높이고 발생되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또한 재난복구에서는 긴급 구조 및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효과적으로 이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정보통신기술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난안전 분야에서 활용하는 것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향후 방안을 도출하였다. 우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난안전 분야에 이용하려면 최초 계획에서부터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은 각 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계획과 소통전략을 수립해야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징인 쌍방향 소통, 협력적 네트워크가 가능하도록 재난안전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무엇보다도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공신력 있는 정보통신 및 보안 평가 관련 팀을 구성해 정보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래사회는 무엇을 추구하는가? 미래사회는 인간적 능력, 사회적성, 국가적 생산성, 인간의 삶의 질 극대화를 추구하게 된다고 한다[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긴급재난정보 전달체계 서비스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긴급재난정보 전달체계 서비스 개념도를 살펴보면 그림 1과 같다. 재난 상황 발생 시 시민들은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소셜미디어서비스에 상황 정보를 게시하고, 이를 접한 시민은 다시 정보를 확산시켜 널리 알리게 된다. 그리고 정부 차원에서도 소셜미디어서비스를 수시로 모니터링하며 재난상황 정보 발견 시 이를 재난 발생 관할 소방서에 즉각 전달하는 동시에 유관기관에도 함께 정보를 전달하고 필요에 따라서 업무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재난정보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되며 이를 재가공하여 소셜미디어서비스로 재난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 재난 관리란? 스마트 재난 관리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최신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으로 재난관리 예방, 대비, 대응, 복구 업무 처리 및 대국민 재난정보 서비스가 가능한 체계를 말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촉발된 스마트 혁명은 이제 친숙한 일상이 된 지 오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강희조, 정보통신기술(ICT)를 기반으로한 스마트 재난방재, 재난포커스, pp. 48-49, 2010년 9월. 

  2. 강희조, ICT를 활용한 스마트 위기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행학회논문지, 제14권 6호 pp. 851-858, 2010년 12월. 

  3. 소방방재청, 스마트 재난관리 추진계획 발표, 2011년 7월. 

  4. 이원태, 정부연, "소셜플랫폼의 사회적 영향력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p. 104, 2011년 12월. 

  5. Global Disaster Relief: http://www.facebook.com/DisasterRelief. 

  6. 한영미, 서현범, '모바일과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스마트 시대의 재난재해 대응 선진 사례 분석', IT&Society, vol. 7, 한국정보화진흥원, pp. 1-22, 2011년 11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