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원-충주지역 수막재배용 지하수 사용량 및 배출량 분석
Analysis of Groundwater Use and Discharge in Water Curtain Cultivation Areas: Case Study of the Cheongweon and Chungju Areas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2 no.4, 2012년, pp.387 - 398  

문상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하규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김용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윤필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초록

국내 수막재배지는 시설 증대로 인한 지하수 취수량 감소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연구는 이들 지역 중 청원-충주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 이용량 및 배출량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수막재배지에서의 지하수 이용량을 추정하였다. 대표 관정들의 모터사양과 1일 지하수 토출 능력과의 관계, 1일 최저 기온 $0^{\circ}C$ 이하의 기록 일수, 최저 기온 변화에 따른 모터 가동 상황 등을 토대로 하여, 청원지역에서 2011년~2012년 겨울철 수막재배에 이용된 지하수 이용량을 추정하면 1 ha 당 $53,138m^3$이 된다. 이에 의한 면적 대비 국내 수막재배지(10,746 ha)의 지하수 이용 총량은 약 5.7억 $m^3$이며, 이는 국내 농업용수 지하수 이용량 16.9억 $m^3$의 33.7%에 해당된다. 2012년 2월 9일부터 22일까지 면적 4 ha의 청원지역 배수로에서 측정한 1일 지하수 배출량은 $2,079{\sim}2,628m^3$ 범위(평균 $2,341m^3$)로서, 수막재배 면적 1 ha 당 1일 평균 지하수 배출량이 $585m^3$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막재배 일수 94일을 적용하면, 청원지역에서 2011년~2012년 겨울철에 수막재배에 이용된 지하수 이용량은 $54,990m^3/ha$이다. 이에 의한 면적 대비 국내 수막재배지의 지하수 이용 총량은 약 5.9억 $m^3$이며, 이는 전체 농업용수 지하수 이용량의 약 34.9%에 해당된다. 충주지역에서는 수막재배지 1 ha 당 1일 지하수 배출량이 $805m^3$ 미만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지역에서의 2011년~2012년 겨울철 수막재배 일수 108일을 적용하면, 면적 대비 국내 수막재배지의 지하수 이용량은 전체 농업용수 지하수 이용량의 55% 미만일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agricultural areas that employ water curtain cultivation (WCC) have recently suffered extensive groundwater shortage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acilities.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daily groundwater use and discharge rates in the Cheongweon and Chungju pil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충남지역에서 대표적 딸기, 상추 수막 재배지이면서 지하수위 저하로 수막재배 여건이 악화되어가고 있는 청원군과 충주시를 대상으로 지하수 이용량 및 배출량을 측정하고 계산하였다. 연구지역 내 대표 관정들에 대한 지하수 이용량 실측, 수막재배 지역에 설치된 모터 유형에 따른 지하수 이용량 계산, 배수로에서의 지하수 배출량 측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지하수 이용량 자료를 추출하였으며, 이들 자료들을 상호 비교 검토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수막재배지역에서의 합리적인 지하수 이용량 산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관정에 설치된 모터 유형 및 사양에 대한 현황 파악은 청원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기간 중 수막재배를 위해 가동 중이던 관정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모터의 유형과 지하수 관정의 단위 시간당 지하수 토출량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를 이용한 수막재배란 무엇인가? 지하수를 이용한 수막재배는 온실 및 비닐하우스 시설 내에 설치된 간이하우스 또는 커튼 표면에 지하수를 골고루 살수함으로써 얇은 수막(water curtain)을 형성하여 겨울철 야간에 보온 및 단열 효과를 높이는 재배 방식이다. 수막재배 기술이 국내에 도입된 것은 1984년 으로 알려져 있다.
수막재배 기술이 국내에 도입된 연도는? 지하수를 이용한 수막재배는 온실 및 비닐하우스 시설 내에 설치된 간이하우스 또는 커튼 표면에 지하수를 골고루 살수함으로써 얇은 수막(water curtain)을 형성하여 겨울철 야간에 보온 및 단열 효과를 높이는 재배 방식이다. 수막재배 기술이 국내에 도입된 것은 1984년 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국내에 급속하게 보급이 확산되어 1991년에는 1,100 ha, 2006년에는 10,746 ha의 시 설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이하 RDA), 2007).
연구지역 내 지하수 이용량을 적정하게 산출하기 위하여 무엇을 이용하였는가? 연구지역 내 지하수 이용량을 적정하게 산출하기 위하여 3가지 서로 다른 방법을 이용하였다. 첫째, 연구지역 내 대표 관정들을 선정하고 이들 대표 관정들을 대상으로 지하수 이용량을 실측하였다. 둘째, 배수로 중 대표 배출구를 선정하여 사용 후 배출되는 지하수 배출량을 측정하고, 면적 대비 전체 지역의 지하수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셋째, 대표 관정들과 기타 관정들의 모터 사 양을 비교함으로써 기타 관정들에 대한 지하수 이용량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막재배지 전체의 지하수 이용량을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3가지 방법들을 비교 검토하고, 연구지역 전체의 지하수 이용량 추정 값을 비교함으로써 연구지역의 지하수 이용량 추정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전국 규모의 수막재배지에 적용해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nzhaf, S., Krein, A., and Scheytt, T., 2011, Investigative approaches to determine exchange processes in the hyporheic zone of a low permeability riverbank, Hydrogeology Journal, 19, 591-601. 

  2. Cho, B. -W., Yun, U., Lee, B. -D. and Ko, K. -S., 2012,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angjeon-ri PCWC area, Nonsan-city, with an emphasis on water level variation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2, 195-205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3. Chungcheong Daily News, http://www.ccdn.co.kr/, 2012-04-16 (reporter Lee, W.C. In Korean). 

  4. Chungcheong Today, http://www.cctoday.co.kr/, 2010- 11-10 (reporter Kim, H.J. In Korean). 

  5. Giap, T. V., 2003, Use of radon-222 as tracer to estimate groundwater infiltration velocity in a river bank area,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2, 12-17. 

  6. Hamm, S. -Y., Cheong J. -Y., Ryu, S. M., Kim M. J. and Kim H. -S., 2002,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nk storage area in Daesan-myeon, Changwon City, Korea, Jouran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8, 595-610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7.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09, Integrated technologies in securing and applying groundwater resources to cope with earth environmental changes, GP2009-009-01-2009 (1), 379p (In Korean). 

  8.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10, Integrated technologies in securing and applying groundwater resources to cope with earth environmental changes, GP2009-009-01-2010 (2), 347p (In Korean). 

  9.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11, Integrated technologies in securing and applying groundwater resources to cope with earth environmental changes, GP2009-009-01-2011 (3), 559p (In Korean).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2, http://www.kma.go.kr, 2012-10-10 (In Korean). 

  11. Lee, J. -H., Hamm, S. -Y., Lee, C. -M., Lee, J. -J., Kim, H. -S. and Kim, G. -B., 2012, Numerical simulation of groundwater system change in a riverside area due to the construction of an artificial structur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2, 263-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CT), 2007, Report on the general plan of groundwater management: 2007-2011, 404p (In Korean). 

  13. OhmyNews, http://www.ohmynews.com, 2004-11-18 (reporter Kim, H.J. In Korea).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7, Techniques in water curtain cultivation of vinyl house, 88p (In Korean). 

  15. Winter, T. C., 1999, Relation of streams, lakes, and wet lands to groundwater flow systems, Hydrogeology Journal, 7, 28-45. 

  16. Winter, T. C., Harvey, J. W., Franke, O. L. and Alley, W. M., 1998, Ground and surface water in a single resource, USGS Circ. 1139, 79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