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측 자료에 기반한 우리나라 지하수의 용도별 이용량 추정 방법
Groundwater-use Estimation Method Based on Field Monitoring Data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3 no.4, 2013년, pp.467 - 476  

김지욱 (한국수자원공사 지하수지반사업팀) ,  전형필 (국토해양부 수자원정책과) ,  이찬진 (한국수자원공사 지하수지반사업팀) ,  김남주 ((주)지오엔지니어링) ,  김규범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근래 들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표수 개발 여건은 불리해지고 있으며, 또한 양질의 수자원에 대한 욕구는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지하수 개발 정책을 도모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개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지하수 개발가능량과 지하수 이용량 파악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양질의 지하수 이용량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전국(5개 도의 32개 시군)을 대상으로 수년간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통계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지하수 이용량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생활용 지하수의 경우 전국을 도시지역, 도농복합지역, 농촌지역으로 구분하고, 지하수 용도를 가정용, 공동주택용, 간이상수도용, 학교용, 일반용 등 5가지로 분류하였다. 농업용 지하수의 경우 전국을 강수량에 따라 평균 강수량지역, 평균 강수량 미만지역, 평균 강수량 초과지역으로 구분하고, 지하수 용도를 전작용, 답작용, 원예용, 축산용-육우, 축산용-양돈, 축산용-양계로 분류하였다. 이로부터 모니터링 자료에 대한 군집분석회귀분석을 통해 지역별-용도별 지하수 이용량 추정식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준을 적용하여 국가 지하수 이용량 통계의 신뢰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increas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quality of surface water becoming inadequate for water supply, the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a groundwater development policy to satisfy the demand for clean water. To drive this policy effectively, it is essential to guarantee the accu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하수 이용량은 사용 용도와 지역 특성 뿐만 아니라 상수도 보급률, 관정의 시설제원, 생활양식, 농업용의 경우 재배작물의 종류, 농지의 면적 등 수많은 요인에 의해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획일적으로 특정 기준에 따라 이용량을 산정할 경우 필연적으로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으나 현실적으로 모든 지하수 이용량을 직접 측정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 보다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본시설에 대한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직접 이용량 측정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이용량 추정기법을 개발, 제시함으로써 국가 지하수 이용량 통계의 신뢰도를 제고하고 궁극적으로 지하수 활용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집분석이란 무엇인가? 지하수 이용량 모니터링을 실시한 지하수 시설 중 이상값을 제외하고 선별된 6,664개 지하수 시설을 대상으로 지하수 이용특성에 따라 군집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각 군집별로 지하수 이용량 산정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은 각 개체의 유사성을 측정하여 유사성이 높은 집단을 분류하고 같은 군집에 속하는 개체들의 유사성과 다른 군집의 개체 간의 상이성을 규명하는 다변량 통계분석 방법으로 대상을 분류하는 명확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거나 기준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특성을 지닌 자료들을 분류하는데 사용된다. 군집분석에 사용되는 자료는 등간척도 또는 비율척도로 측정된 거리값이다.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비표준 회귀계수와 표준 회귀계수는 어디서 사용되나? 회귀분석을 통해 회귀계수(regression coefficient)가 도출되는데, 회귀계수에는 비표준 회귀계수와 표준 회귀계수가 있다. 비표준 회귀계수(un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는 독립변수의 원 값(여기서는 급수인구, 양수능력, 가축사육두수 등)을 가지고 종속변수의 값(여기서는 지하수 이용량)을 예측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표준 회귀계수(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는 개별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하거나 독립변수 간의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하거나 독립변수 간의 영향력 비교에 사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표준 회귀계수를 이용하여 지하수 이용량 추정식을 도출하였다.
대표적인 군집분석의 종류로는 무엇이 있는가? 대표적인 군집분석의 종류는 1) 계층적 군집분석, 2) K-means 군집분석, 3) Fuzzy 군집분석, 4) EM 알고리즘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비계층적 군집화 방법(non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중의 하나인 Kmeans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각 유형별 변수들의 대표값을 구하고 군집의 경계를 구분하였다. K-means 군집분석은 개체를 대상으로 K개의 군집으로 구분한 뒤 군집 내 각 변수의 중심점을 계산하고 이 중심점과 개체간의 거리를 반복적으로 계산하여 최단거리를 찾아내는 방법으로 이러한 과정은 모든 개체들이 최종적으로 군집화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im, J. W., 2012, Characteristics of water level change from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Korea: Geostatistical interpreta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groundwater management, Ph. D. Thesis, Korea University, 3p (in Korean). 

  2. Korea Environmental Institute (KEI), 2007, Policies for the Rational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Seoul, 90p (in Korean). 

  3.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CT), 2006, Guideline for Groundwater Administrative Service, Seoul, 4-9 (in Korean). 

  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MLTM), 2011,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Seoul, 18p (in Korean). 

  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MLTM), 2012, Master Plan for Groundwater, 4p (in Korean). 

  6.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MLTM)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water), 2011, Analysis of Groundwater Use Survey, 34p (in Korean). 

  7.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MLTM)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water), 2012, Groundwater Annual Report, 9p (in Korean). 

  8. OECD, 2008, OECD Environmental Data: Compendium 2006-2008, 8-9. 

  9. Park, J. S. and Yoon, Y. S., 2002, Science of Statistics, Dasan Press, 201p (in Korean). 

  10. Park, W. B., Koh, G. W., Kim, B. S., Moon, D. C., and Yang, S. K., 2004, Estimation of agricultural groundwater withdrawal and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use in Jeju island, Proceedings of KoSSGE 2004 Spring Conference, 110-113 (in Korean). 

  11. Woo, N. C., Joe, M. J., and Kim, N. J., 1994,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for groundwater us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4(3), 297-309 (in Korean). 

  12. Zecster, I. S. and Everett, L. G., 2006, Ground Water Resources of the World and Their Use, NGWA Press, OH, USA, 13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