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 공개에 따른 지역별 항생제 처방률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전국 시군구 의원을 중심으로 -
The factors influencing variation by local areas in antibiotics prescription rate according to the public reporting 원문보기

보건행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22 no.3 = no.70, 2012년, pp.427 - 450  

천유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기관평가인증원) ,  김창엽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variation by local areas of antibiotics prescription rate in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URI) according to the public reporting. Methods : We us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which the clinics claimed for URI (Korean Standar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항생제는 우리나라에서 의약분업 도입 후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어왔던 약제로 지역사회 항생제 사용 관리와 관련하여 처방률 공개라는 정책 개입은 우리나라에서 독특하게 벌어진 상황이며(김수경 등, 2010) 지역별로 공개 효과를 분석하는 것은 지역 간 또는 지역 내 항생제 처방률의 변이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 공개에 따른 지역별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 지역별 공개 효과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 공개의 목적은? 정보 공개의 목적은 소비자의 의료기관 선택에 필요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료분야의 효율적인 시장 기능을 촉진하고, 공급자들에게 벤치마킹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공급자의 진료 및 처방 행태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계기를 제공하며, 정부와 구매자들에게 의료체계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수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Berwick 등, 2003).
의료분야에서 정보 공개(public reporting of quality information)는? 의료분야에서 정보 공개(public reporting of quality information)는 의료공급자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정보를 공개하는 것으로 보건의료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Naylor 등, 2002). 정보 공개는 미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고, 영국도 국가 의료시스템(NHS)의 질 향상 수단으로 적극 추진하고 있다(Marshall 등, 2003)
최종 분석 대상은 공개 후 2007년 1분기까지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 평가를 받은 의원을 포함한 전국의 242개 시군구 지역이었던 이유는? 연구 대상은 외래에서 공개 시기인 2006년 1분기(2006년 2월 9일)를 기준으로 공개 전 1년(2005년 1분기~4분기)부터 공개 후 1년(2006년 2분기~2007년 1분기)까지 “급성상기도감염”(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코드 J00~J06, 주 상병)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 평가 결과가 모두 있는 의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폐업기관, 서면 청구기관, 의약 분업 예외기관, 급성상기도감염 청구건수가 100건 미만인 기관, 진료과목 중 정신과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따라서 최종 분석 대상은 공개 후 2007년 1분기까지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 평가를 받은 의원을 포함한 전국의 242개 시군구 지역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식품의약품안전청. 항생제 적정 사용을 위한 항생제 처방률 국민홍보방안 최종 보고서, 2008.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도자료. 의원 항생제? 주사제 처방률 지역별로 달라. 2009년 3월 24일자. 

  3. 고수경, 신순애, 김기영, 김창엽. 제왕절개 분만율 공표 후 요양기관의 분만행태 변화. 보건행정학회지 2001; 11(3): 121-150. 

  4. 김남순, 장숙랑, 장선미. 급성 상기도질환에서 일차의료의사의 항생제처방에 영향을 주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2005 ;38(1 :1-8. 

  5. 김성철, 박용철, 김보금, 남두현. 울산 지역 소아청소년과 및 이비인후과에서의 항생제 처방 형태. 한국임상약학회지 2010; 20(2): 145-150. 

  6. 김수경, 김희은, 백미숙, 이숙향.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 공개 효과 분석. 한국임상약학회지 2010; 20(3): 242-247. 

  7. 김윤, 이상일, 권순만, 강민아, 최상은, 은상준. 요양급여적정성평가 효과분석 모형개발 연구 최종 보고서. 서울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 연구소; 2009. 

  8. 남정모, 이선희, 조우현. 지역간 의료이용 변이지표의 통계학적 분포와 검정에 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1999; 32(1): 80-87. 

  9. 박기동. 급성호흡기 감염증 처방의 변이-의원 외래의 청구 건당 처방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0. 박실비아, 문옥륜, 강영호. 일부 다빈도 질환에서 개원의의 의약품 처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행정학회지 1998; 8(2): 166-90. 

  11. 보건복지부 보험연금정책본부 보험급여평가팀. 항생제 처방률 공개 이후 항생제 처방률 12.5%(의원급) 감소 보험약제비 55억원 절감효과 있어. 2006년 8월 31일자. 

  12. 어광수 어광수, 변재준, 신호철, 김철환, 이재호 등. 가정의학과 개원의의 호흡기 감염 환자에 대한 항생제 사용양상. 가정의학회지 2000;21(7): 901-913. 

  13. 우경숙. 소비자의 항생제관련 인지도 조사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14. 이영성, 김명기, 김용익, 신영수, 이환종, 안형식. 개원의의 소아 급성 호흡기질환에 대한 항생제 처방 양상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연구 1991; 17(2): 3-19. 

  15. 이의경. 항생제 내성 발생요인에 관한 상관성 연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16. 장원모, 은상준, 사공필용, 이채은, 오무경, 오주환 등. 고관절 부분 치환술 시술정보 공개에 따른 재입원율, 입원일수 및 진료비의 변화. 예방의학회지 2010; 43(6): 523-534. 

  17. 전대성, 정광호. 정보공개의 효과분석 : 서울시 종합병원, 병원, 의원의 감기항생제 처방률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보; 20(2): 109-142. 

  18. 정광호, 전대성, 김홍석. 정보공개제도가 항생제 처방에 미친 영향 : 서울시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2008; 46(1): 123-150. 

  19. 조창익, 임재영, 이수연. 병원시장지역 내 경쟁 정도가 의원급 의료기관의 항생제 처방률에 미치는 영향, 나라경제 2008; 30(2): 129-155. 

  20. Albrich W, Monnet D, Harbarth S. Antibiotic selection pressure and resistance in Streptococcus pneumoniae and Streptococcus pyogenes. Emerg Infect Dis 2004; 10(3): 514-7. 

  21. ACP-ASIM. Summary of Guidelines for the Appropriate Use of Antibiotics. APUA Newsletter 2001; 19(2). 

  22. Akkerman A, van der Wouden J, Kuyvenhoven M, Dieleman J, Verheij T. Antibiotic prescribing fo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Dutch primary care in relation to patient age and clinical entities. J Antimicrob Chemother 2004 Dec; 54(6): 1116-21. 

  23. Berwick D, James B, Coye M. Connections between quality measurement and improvement. Med care 2003; Jan 41(supl 1): I30-I38. 

  24. Cantrell R, Young A, Martin B. Antibiotic prescribing in ambulatory care settings for adults with colds,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and bronchitis. Clin Ther. 2002 Jan; 24(1): 170-82. 

  25. Fung C, Lim Y, Mattke S, Damberg C, Shekelle P. Systematic review : the evidence that publishing patient care performance data improves quality of care. Ann Intern Med. 2008 Jan 15; 148(2): 111-23. 

  26. Hemenway D, Fallon D. Testing for physician-induced demand with hypothetical cases. Med Care. 1985 Apr; 23(4): 344-9. 

  27. Henricson K, Melander E, Molstad S, Ranstam J, Hanson BS, Rametsteiner G, et al. Intra-urban variation of antibiotic utilization in children: influence of socio-economic factors. Eur J Clin Pharmacol. 1998 Oct; 54(8): 653-7. 

  28. Jung K, The impact of information disclosure on quality of care in HMO markets. Int J Qual Health Care. 2010 Dec; 22(6): 461-8. 

  29. Majeed A, Moser K. Age-and sex-specific antibiotic prescribing patterns in general practice in England and Wales in 1996. Br J Gen Pract. 1999 Sep; 49(446): 735-6. 

  30. Marshall M, Shekelle P, Leatherman S, Brook R. The public release of performance data : what do we expect to gain? A review of the evidence. JAMA. 2000 Apr 12; 283(14): 1866-74. 

  31. Marshall M, Shekelle P, Davies H, Smith P. Public reporting on quality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Health Aff (Millwood). 2003 May-Jun;22(3):134-48. 

  32. Naylor CD, Iron K, Handa K. Measuring Health System Performance: Problems and unities in the era of assessment and accountability. In: Smith P, editors. Measuring Up: Improving Health system Performance in OECD Countries.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 Development; 2002. p. 13-31. 

  33. Siddiqi S, Hamid S, Rafique G, Chaudhry SA, Ali N, Shahab S, et al. Prescription practices of public and private health care providers in Attock District of Pakistan. Int J Health Plann Manage. 2002 Jan-Mar; 17(1): 23-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