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쑥속(국화과)의 화분학적 연구
A palynological study of the genus Artemisia L. (Asteraceae) in Kore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2 no.1, 2012년, pp.24 - 39  

박명순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정규영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초록

한국산 쑥속(Artemisia L.) 31분류군을 대상으로 화분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화분의 분류학적 형질을 평가하고 분류군간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산 쑥속의 화분 형태와 크기는 분류군간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화분 표면의 과립 존재와 밀집 정도, 자상돌기 기부의 연결 여부 등에서 다소 차이가 있어 속내 분류군간 식별 및 일부 근연분류군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쑥속 화분의 진화경향성은 과립상의 돌기가 거의 분포하지 않는 평활형인 표면과 자상돌기 사이의 기부가 연결된 형태로부터 1) 표면에 과립상의 돌기가 다소 분포하는 과립형과 자상돌기 사이의 기부가 연결된 형태로 분화되었으며, 2) 이로부터 표면에 과립상의 돌기가 다소 분포하는 과립형과 기부는 확장하지 않아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포하는 형태로 분화되었고, 3) 이로부터 표면에 과립상이 밀집하여 심하게 주름진 과립 밀생형이 파생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화분학적 특징은 외부형태와 지리적 분포, 체세포염색체 수 등의 형질과 더불어 근연관계인 제비쑥 그룹(제비쑥, 섬쑥, 실제비쑥, 갯제비쑥)과 더위지기 그룹(더위지기, 털산쑥, 흰산쑥)의 유연관계를 잘 반영해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lynological study of 31 taxa of Korean Artemisia L.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ir taxonomic characteristic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axa. The size and shape of the pollen are not used as characteristics to classify the taxa of Korean Artemisia L., but the granule di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산 쑥속 식물을 대상으로 화분의 형태 및 미세구조를 관찰·측정하여, 속내, 종 간 혹은 종하분류군 사이에 식별형질로서의 분류학적 가치를 파악하며, 일부 분류군에 대해서는 외부형태와 지리적 분포 등을 비교하여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 본 분류군들의 분화경향성은 지리적분포와 외부형태, 세포학적, 화분학적 형질을 고려해볼 때, 유사한 분포역을 갖는 2배체인 털산쑥과 흰산쑥이 한반도와 극동지역, 일본으로 이동하면서, 생육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잎 양면에 털이 탈락하고, 다배체현상에 의한 6배체인 더위지기로의 분화를 유추할 수 있다. 또한, 화분의 표벽형태에서 털산쑥, 흰산쑥의 자상돌기의 기부가 연결된 형태로 관찰되며, 더위지기는 자상돌기의 기부가 단절된 형태로 관찰되어 이들의 유연관계를 뒷받침해 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쑥속이란 무엇인가? 쑥속(Artemisia L.)은 국화과(Asteraceae), 국화족 (Anthemideae) 내에 속하는 가장 큰 속이다(Heywood and Humphries, 1977; Bremer and Humphries, 1993). 본 속은 전세계적으로 종과 종하분류군을 포함하여 500여 분류군 이상이 주로 북반구의 중·고위도 온대성 기후지역에 넓게 분포하며, 일부 분류군이 한대성 기후지역과 건조지역, 남반구지역에 각각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umphries, 1993).
쑥속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은 국화과(Asteraceae), 국화족 (Anthemideae) 내에 속하는 가장 큰 속이다(Heywood and Humphries, 1977; Bremer and Humphries, 1993). 본 속은 전세계적으로 종과 종하분류군을 포함하여 500여 분류군 이상이 주로 북반구의 중·고위도 온대성 기후지역에 넓게 분포하며, 일부 분류군이 한대성 기후지역과 건조지역, 남반구지역에 각각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umphries, 1993).
한국산 쑥속의 분류의 시작은? 한국산 쑥속의 분류는 Palibin (1898)에 의해 A. annua, A. capillaris, A. keiskeana, A. scoparia, A. vulgaris의 5분류 군이 기재된 것을 시작으로 Nakai (1911)에 의해 중앙 양 성화의 임성 유무, 화탁 털의 유무 등의 형질에 의해Dracunculus절, Abrotanum절, Absinthium절의 3절 21분류 군이 기재되었고, Nakai (1952)에 의해 38분류군이 기재 되었다. Park (1974)은 중앙 양성화의 임성 유무, 화탁 털의 유무 등으로 Dracunculus절과 Abrotanum절로 나누어 28분류군을 기재하였으며, 쑥속의 분류에 있어서 근엽과 꽃이 있어야 하지만, 주로 건조표본에 의한 연구로서 잘 못된 결론을 내린 경우가 많다고 지적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esser, W. S. 1829. Synopsis Absinthiorum. Bull. Soc. Imp. Naturalistes Moscou. 1: 219-265. 

  2. Besser, W. S. 1832. Tentamen de Abrotanis seu de sectione da Artemisiarum L. Bull. Soc. Imp. Naturalistes Moscou. 3: 1-92. 

  3. Besser, W. S. 1834. De Seriphidis seu de sectione IIIa Artemisiarum L. Bull. Soc. Imp. Naturalistes Moscou. 7: 1-46. 

  4. Besser, W. S. 1835. Dracunculi seu de sectione IVa et ultima Artemisiarum L. Bull. Soc. Imp. Naturalistes Moscou. 8: 1-95. 

  5. Bremer, K. and C. J. Humphries. 1993. Generic Monograph of the Asteraceae- Anthemideae. Bull. Nat. Hist. Mus. London (Bot.) 23: 71-177. 

  6. Candolle, A. P. de. 1837. Prodromo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tabilis, pars VI. Treuttel et Wurtz, Paris. Pp. 92-127. 

  7. Cassini, A. H. G. 1817. Apercu des genres formes par M. Cassini dans la famille des Synantherees. Troisieme fascicule. Bulletin Scientifique, par la Societe Philomatique de Paris. 3: 31-34. 

  8. Chang, N. G. 1986. Illustrated Flora and Fauna of Korea. Vol. 29. Flowering Plants (Pollen). Hyangmoonsa Publ. Co., Seoul. Pp. 11-899 (in Korean). 

  9. Erdtman, G. 1971. Pollen Morphology and Plant Taxonomy (Angiosperm). Hafner Publish. Co. New York. Pp. 3-553. 

  10. Hayat, M. Q., M. Ashraf, M. A. Khan, T. Mahmood, M. Ahmad and S. Jabeen. 2009. Phylogeny of Artemisia L.: Recent developments. Afr. J. Biotechnol. 8: 11. 2423-2428. 

  11. Hayat, M. Q., M. Ashraf, M. A. Khan, G. Yasmin, N. Shaheen and S. Jabeen. 2010. Palynological study of the genus Artemisia (Asteraceae).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s. P. J. Bot. 42(2): 751-763. 

  12. Heywood, V. H. and C. J. Humphries. 1977. Anthemideae-Systematic review. In The Biology and Chemistry of the Compositae. Heywood, V. H., C. J. Humphries and B. L. Turner. (eds.). Academic Press, London. Pp. 851-898. 

  13. Im, R. J. 1999. Flora Coreana (7).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Korea. Pp. 150-182 (in Korean). 

  14. Jiang, L., Q. Wang, L. Ye and Y. R. Lin. 2005. Pollen Morphology of Artemisia L. and its systematic significance. Wuhan University, J. Nat. Sci. 10(2): 448-454. 

  15. Kaul, M. K. and S. K. Bakshi. 1984. Studies on the genus Artemsia L. in north-west Himalaya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Kashmir. Folia Geobot. Phytotax. 19: 299-316. 

  16. Martin, J., M. Torrell and J. Valles. 2001. Palynological features as a systematic marker in Artemisia s.l. and related genera (Asteraceae, Anthemideae): implications for subtribe Artemisiinae delimitation. Plant Biology 4: 372-378. 

  17. McArthur, E. D. 1979. Sagebrush systematics and evolution. In Sagebrush Ecosystem Symposium. Anonymous (ed.). Logan, Utah State University. Pp. 14-22. 

  18. McArthur, E. D., C. L. Pope and D. C. Freeman. 1981. Chromosome studies of subgenus Tridentateae of Artemisia: evidence for autopolyploidy. Amer. J. Bot. 68: 589-605. 

  19. Nakai, T. 1911. Flora Koreana II. J. Coll. Sci. Imp. Univ. Tokyo 2: 27-33. 

  20.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Mus. Tokyo 31: 112-113. 

  21. Lee, J. H. 2009.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Artemisia in Korea to develop medicinal resources. PhD Thesis. Department of Biology, Kyungsung Univ. Busan, Korea. Pp. 1-233 (in Korean). 

  22.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755-761 (in Korean). 

  23.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082-1098 (in Korean). 

  24. Lessing, C. F. 1832. Synopsis generum Compositarum. Sumtibus Dunckeri et Humblotii: Berlin. Pp. 263-264. 

  25. Ling, Y. R. 1991. The old world Seriphidium (Compostae). Bull. Bot. Lab. N. E. Forest. Inst. (Harbin) 11: 1-40. 

  26. Ling, Y. R. 1992. The old world Artemisia (Compostae). Bull. Bot. Lab. N. E. Forest. Inst. (Harbin) 12: 1-108. 

  27. Ling, Y. R. 1995a. The new world Artemisia L. In Advances in Compostae Systematics. Hind, D. J. N., C. Jeffrey and G. V. Pope (eds.). Roy. Bot. Gard. Kew. Pp. 255-281. 

  28. Ling, Y. R. 1995b. The new world Seriphidium (Besser) Fourr. L. In Advances in Compostae Systematics. Hind D. J. N, C. Jeffrey and G. V. Pope (eds.). Roy. Bot. Gard. Kew. Pp. 283-291. 

  29. Linnaeus, C. 1753. Species Plantarum. Holmiae, Stockholm. 2: 845-850. 

  30. Pak, J. H. 2007. Artemisia.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n Editorial Committee (ed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013-1022. 

  31. Palibin, J. 1898. Conspectus Florae Koreae . Acta. Hort. Petrop. 17: 115-116. 

  32. Park, M. K. 1974. Key to the Herbaceous plants in Korea. Jeongeumsa. Pp. 487-491 (in Korean). 

  33. Park, M. S., J. Jang and G. Y. Chung. 2009. A taxonomic study of Korean Artemisia L. using somatic chromosome numbers. Korean J. Pl. Taxon. 39(4): 247-253. 

  34. Persson, K. 1974. Biosystematic studies in the Artemisia maritima complex in Europe. Opera Bot. (Lund) 35: 1-188. 

  35. Podlech, D. 1986. Compositae-Artemisia. In, Flora Iranica. Rechinger, K. H. (ed.). Graz, Academische Druck Verlagsansalt: Pp. 159-225. 

  36. Poljakov, P. P. 1961a. Materials and systematics, the genus Artemisia L. Trudy Inst. Bot. Alma-Ata. 11: 134-177. 

  37. Poljakov, P. P. 1961b. Genus Artemisia L. In Flora of SSSR. (Izv. Akad. Naul SSSR, ser. Biol.) Shishkin, B. K. and E. G. Bobrov (eds.). Leningrad, Nauka. 25: 425-631. 

  38. Radford, A. E., W. C. Dickinson, J. R. Massey and C. R. Bell. 1974. Vascular Plant Systematics. Harper & Row, New York. Pp. 1-891. 

  39. Rouy, G. C. 1903. Artemisia. Flore de France, tome 8. Asnieres-Paris-Rochefort. Pp. 278-300. 

  40. Torrell, M., N. Garcia-Jacas, A. Susanna and J. Valles. 1999. Infrageneric Phylogeny of the genus Artemisia L. (Asteraceae, Anthemidae)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Taxon 48: 721-736. 

  41. Tournefort, J. P. 1700. Institutiones rei herbariae. I. E Typographia Regia: Paris. Pp. 457-460. 

  42. Tutin, T. G., K. Persson and W. Gutermann. 1976. Artemisia L. In Flora Europaea. Tutin, T. G., V. H. Heywood, N. A. Burges, D. M. Moore, D. H. Valentine, S. M. Walters and D. A. Webb (e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178-186. 

  43. Volkova, S. A. and E. V. Boyko. 1985. Chromosome numbers in some species of the family Asteraceae from the southernpart of the Soviet Far East. Bot. Zhurn. 70(7): 1000-1001. 

  44. Wang, W. M. 2004.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Artemisia (Asteraceae) in the geological past. Bot. J. Linn. Soc. 145: 331-336. 

  45. Watson, L. E., P. L. Bates, T. M. Evans, M. M. Unwin and J. R. Estes. 2002. Molecular Phylogeny of subtribe Artemisiinae (Asteraceae), including Artemisia and its allied and segregate genera. BMC Evol. Biol. 2: 17-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