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FRP 보강근의 성능 및 제작 효율화 방안
Enhancements in Performance and Manufacturing Efficiencies of GFRP Rebar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16 no.1, 2012년, pp.110 - 119  

유영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프라구조연구실) ,  김장호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박영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프라구조연구실) ,  박지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건축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고부식 환경에 놓여 있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부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뛰어난 내부식성을 가진 섬유복합체(Fiber Reinforced Polymer, FRP)로 제작된 보강근이 주목받고 있다. 유리섬유복합체로 제작된 보강근이 상용화된 상태이나 가격, 철근보다 낮은 탄성계수, 취성파괴 특성 등의 이유로 사용 실적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 중 하나는 유리섬유복합체 보강근의 성능을 고도화하는 것이다. 성능 고도화를 통해 강도 대비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인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주어진 재료와 조건 하에서 보강근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효율성 향상을 통한 고인장 성능 유리섬유복합체 보강근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성재료와 제작방법 등 유리섬유복합체 보강근의 인장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강근의 주재료인 유리섬유의 성능을 기존 제품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보강근을 제작하였으며, 다양한 변수에 대한 인장시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개선 방안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reinforcing rebar with non-corrosive property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replacement to steel reinforcing rebar due to its enhanced durability and non-corrosive characteristics. Currently, a limited number of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 (GFRP) are sold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할 수 있는 GFRP 보강근의 고성능화 및 성능 효율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주어진 재료와 조건 하에서 보강근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 GFRP 보강근이 높은 인장성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 이와 더불어 성형금형은 섬유다발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인장기(puller)의 당김력과 이에 저항하는 힘으로 인해 강화섬유에는 소정의 프리텐션(pre-tension)이 도입되어 섬유의 배열상태가 호전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공정에 의해 제작된 보강근에 대해 인장성능과 부착성능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험결과는 다음 절에 서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정해진 조건하에서 공정 및 사용된 재료의 성능 발현 효율화를 통해 GFRP 보강근의 인장성능을 고성능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료측면에서 수지와 충전제 종류가 인장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제작측면에서 제작시 섬유의 배열상태와 개선된 제작공정으로 생산된 보강근의 인장강도와 부착강도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부식 환경에 놓여 있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부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뛰어난 내부식성을 가진 것은? 최근 고부식 환경에 놓여 있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부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뛰어난 내부식성을 가진 섬유복합체(Fiber Reinforced Polymer, FRP)로 제작된 보강근이 주목받고 있다. 유리섬유복합체로 제작된 보강근이 상용화된 상태이나 가격, 철근보다 낮은 탄성계수, 취성파괴 특성 등의 이유로 사용 실적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유리섬유복합체로 제작된 보강근이 상용화된 상태이나 가격, 철근보다 낮은 탄성계수, 취성파괴 특성 등의 이유로 사용 실적은 많지 않은 것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 중 하나는? 유리섬유복합체로 제작된 보강근이 상용화된 상태이나 가격, 철근보다 낮은 탄성계수, 취성파괴 특성 등의 이유로 사용 실적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 중 하나는 유리섬유복합체 보강근의 성능을 고도화하는 것이다. 성능 고도화를 통해 강도 대비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인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RP의 장점은? 그러나 현재까지도 FRP는 건설 구조물에 소극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주부재로 적용된 사례는 많지 않다. 높은 비강도, 뛰어난 내부식성, 비자기성 등 많은 장점을 가졌음에도 FRP가 건설 부재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한 원인으로는 FRP가 강재에 비해 고가인 점과 소성거동을 보이는 강재와는 달리 FRP는 취성적으로 파괴되고 탄성계수가 1/4정도(유리섬유의 경우)로 낮은 재료특성 등을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서대원, 한범석, 신성우, "FRP bar를 주근으로 사용한 콘크리트 휨부재의 압축측 콘크리트 구속에 따른 거동", 구조물진단학회지, 제12권 3호, 2008, pp.110-118. 

  2. 문도영, 오홍섭, "알카리저항 초단유리섬유를 리브에 사용한 유리섬유 보강근의 내구성능", 구조물진단학회지, 제15권 1호, 2011, pp.281-287. 

  3. 오홍섭, 심종성, 강태성, "GFRP Rebar로 보강된 콘크리트 보의 피로 휨?부착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구조물진단학회지, 제12권 1호, 2008, pp.101-108. 

  4. 최윤철, 박금성, 최현기, 최창식, "GFRP 보강근으로 겹이음된 콘크리트 보의 보강비에 따른 거동특성", 구조물진단학회지, 제15권 1호, 2011, pp.67-76. 

  5. Ahmadi, M.S., Johari, M.S., Sadighi, M. and Esfandeh, M., "An experimental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GFRP braid-pultruded composite rods", eXPRESS Polymer Letters, vol. 3, No. 9, 2009, pp.560-568. 

  6.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Guide Test Methods for Fiber-Reinforced-Polymers (FRPs) for Reinforcing or Strengthening Concrete Structures, ACI 440.3R-04, Committee 440, 2004. 

  7.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ructural Concrete Reinforced with FRP Bars, ACI 440.1R-06, Committee 440, 2006. 

  8. Bank, L.C., Gentry, T.R., Thompson, B.P. and Russell, J.S., "A model specification for FRP composites f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7, 2003, pp.405-437. 

  9. CSA Standard, Design and Construction of Building Components with Fibre-Reinforced Polymers,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S806-02, 2002. 

  10. Cui, Y. and Tao, J., "A new type of ductile composite reinforcing bar with high tensile elastic modulus for use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36, 2009, pp.672-675. 

  11. Daniel, I.M. and Ishai, O., Engineering Mechanics of Composite Materials,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pp.72-85. 

  12. Djamaluddin, R., Hino, S. and Yamaguchi, K., "Innovative Approach in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of CFRP rods with U-anchor for Concrete Structures",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in Bridges and Structures (ACMB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Calgary, Alberta, Canada, 2004. 

  13. Ghiorse, S.R., "Effect of void conten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depoxy laminates", SAMPE Quarterly, vol. 24, No. 2, 1993, pp.54-59. 

  14. ISIS Canada, Design Manual 3: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s with fiber reinforced polymers, The Canadian Network of Centers of Excellence on Intelligent Sensing for Innovative Structures, 2001. 

  15. Jones, K.D., DiBenedetto, A.T., "Fiber fracture in hybrid composite systems",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vol. 51, No. 1, 1994, pp.53-62. 

  16. Kalamkarov, A.L., Georgiades, A.V., MacDonald, D.O. and Fitzgerald, S.B., "Pultruded fibre reinforced polymer reinforcements with embedded fibre optic sensors",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27, 2000, pp.972-984. 

  17. Keesler, R.J. and Power, R.G., Corrosion of Epoxy Coated Rebars-Keys Segmental Bridge-Monroe County, Report No. 88-8A, Florida Dept. of Transportation, Materials Office, Corrosion Research Laboratories, Gainesville, Fla., 1998. 

  18. Matthys, S., "Structural Behavior and Design of Concrete Members Strengthened with Externally Bonded FRP Reinforcement", Ph.D Thesis, Magnel Laboratory for Concrete research, Department of Structural Engineering, Ghent University, 2000. 

  19. Micelli, F. and Nanni, A., "Tensile characterization of FRP rods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Mechanics of Composite Materials, vol. 39, No. 4, 2003, pp.293-304. 

  20. Nkurunziza, G., Debaiky, A., Cousin, P. and Benmokrane, B., "Durability of GFRP bar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Progress in Structural Engineering and Materials, vol. 7, 2005, pp.194-209. 

  21. Phillips, L.N., Design with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Springer-Verlag, 1989. 

  22. Shih, C.H., Liu, Q. and Lee, L.J., "Vacuum-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using tackified fiber preforms", Polymer Composites, vol. 22, No. 6, 2001, pp.721-729. 

  23. Weber, A., "BOND PROPERTIES OF A NEWLY DEVELOPED COMPOSITE REBAR,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Bond Behaviour of FRP in Structures (BBFS 2005)", eds. Chen and Teng, 2005. 

  24. Yoshida, H., "Influence of voids on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vol. 3, No. 2, 1993, pp.113-122. 

  25. You, Y.J., Park, Y.H., Park, J.S. and Kim, K.H., "DEVELOPMENT OF FRP REBAR FOR CONCRETE STRUCTURES IN KOREA",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ber Reinforced Polymer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s (FRPRCS-8), University of Patras, Patras, Greece, 2007. 

  26. http://www.concrete.org/students/AslanFRPRebar.pdf 

  27. http://www.concrete.org/students/Pultrall-V-Rod-Technical -Data-Sheet-for-2009-Competition.pdf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