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간을 고려한 야간시간대의 열섬특성 분석
Analysis of Heat Island Characteristics Considering Urban Space at Nighttime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5 no.1, 2012년, pp.133 - 143  

송봉근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창원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도시공간을 고려한 야간시간대의 도시열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1,000 축척의 토지이용도 및 토지피복도와 DTM, 그리고 ASTER 위성영상에서 추출된 야간시간대의 지표온도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야간시간대는 건물이 밀집되어있는 단독주거지역이 상업지역이나 공공시설지역보다 열섬강도가 높았고, 이것은 에너지소비에 의한 인공열 방출이 열섬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점 때문에 공업지역에서는 건물은 가동시간에 따라 온도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한편, 도시녹지지역과 하천지역은 도시열섬을 완화하는 냉각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열섬강도가 높은 지역에 녹지 및 수변공간의 조성으로 열섬강도를 낮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야간시간대의 도시열섬을 완화하는데 있어 개발계획 수립시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해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 island considering urban space at nighttime. We used to analyze landuse and landcover data of 1:1,000 scale, DTM, and surface temperature extracted ASTER image satellite of nighttime.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h...

주제어

참고문헌 (26)

  1. 송봉근. 2011. 도시기후 및 대기질 개선을 위한 통합적 공간환경평가 및 계획기법의 개발.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38쪽. 

  2. 송봉근, 박경훈. 2011. 도시기후 형성 요소를 고려한 공간유형 분류-창원시를 대상으로-. 환경영향평가 20(3):1-10. 

  3. 윤일희 역. 2003. 미기상학개론, 제2판. 시그마프레스. 428쪽. 

  4.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2010.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42-154. 

  5. 창원시. 2009. 창원시 환경지도 제작 및 GIS구축 연구보고서. 

  6. 창원시. 2010. 창원시 2010년 통계연보. 

  7. Akbari, H. and S. Konopacki. 2005. Calculating energy-saving potentials of heat-island reduction strategies. Energy Policy 33:721-756. 

  8. Buyantuyev, A. and J. Wu. 2010. Urban heat islands and landscape heterogeneity:linking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surface temperatures to land-cover and socioeconomic patterns. Landscape Ecology 25:17-33. 

  9. Giridharan, R., S.S.Y. Lau and S. Ganesan. 2005. Nocturnal heat island effect in urban residential developments of Hong Kong. Energy and Buildings 37:964-971. 

  10. Givoni, B. 1998. Climate Considerations in Building and Urban Design. Wiley. USA. 

  11. Kato, S. and Y. Yamaguchi. 2007. Estimation of storage heat flux in an urban area using ASTER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0:1-17. 

  12. Li, J., C. Song, L. Cao, F. Zhu, X. Meng and J. Wu. 2011. Impacts of landscape structure on surface urban heat island; A case study of Shanghai, Chin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3249-3263. 

  13. Mirzaei, P.A. and F. Haghighat. 2010. Approaches to study urban heat island-abilities and limitations. Building and Environment 45:2192-2201. 

  14. Oke, T.R. 1976. The distinction between canopy and boundary-layer urban heat island. Atmospheric 14:268-277. 

  15. Oke, T.R. 1981. Canyon geometry and the urban heat island : comparison of scale model and field observations. Journal of Climatology 1:237-254. 

  16. Oke, T.R. 1987. Boundary Layer Climate. Methuen. USA. 

  17. Oke, T.R. 2006. Initial guidance to obtain representative meteorological observation at urban sites, Instruments an observing methods report 81.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pp.9-11. 

  18. Oliveira, S., H. Andrade and T. Vaz. 2011. The cooling effect of green spaces as a contribution to the mitigation of urban heat: a case study in Lisbon. Building and Environment 46:2186-2194. 

  19. Saaroni, H., E. Ben-Dor, A. Bitan and O. Potchter. 2000. Spatial distribution and microscal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heat island in Tel-Aviv, Israel.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8:1-18. 

  20. Scherer, D. 1999. Improved concepts and methods i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urban climate for optimizing urban planning processes. Atmospheric Environment 33:4185-4193. 

  21. Stewart, I., and T.R. Oke. 2009. Newly developed "Thermal climate zones" for defining and measuring urban heat island magnitude in the canopy layer, The Timothy R Oke Symposium.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nnual Meeting, Phoenix, AZ. 

  22. Voogt, J.A. 2002. Urban heat island, In I. Douglas. Causes and consequences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 3:660-666. 

  23. Voogt, J.A. and T.R. Oke. 2003. Thermal remote sensing of urban climat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6:370-384. 

  24. Wienert, U. and W. Kuttler. 2001.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ependence of urban heat island intensity on latitude. in: Fourth Symposium on Urban Environment. 

  25. Wong, N.H. and C. Yu. 2005. Study of green area and urban heat island in a tropical city. Habitat Internatioanl 29:547-558. 

  26. Yamamoto, Y. 2006. Measures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s. QUARTERLY REVIEW 18:65-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