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주변 물리적 환경이 보행안전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Eff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round Elementary Schools on Children's Walking Safety - A Case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Changwon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5 no.2, 2012년, pp.150 - 160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변지혜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20개 초등학교 주변 물리적 환경과 보행안전 및 교통사고 위험도와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장조사는 가로 수준의 객관적, 주관적 보행환경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고, GIS 기법은 근린생활권 수준의 토지이용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다. 보행안전 및 교통사고 위험도에 관련된 자료는 18개 초등학교의 5~6학년 6,38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상관분석에 따르면, 가로 수준의 보도 위 영구적 장애물, 차량 진 출입구, 조명시설, 교통안전표지, 그리고 근린생활권 수준의 단독주택 및 도로면적율 등은 보행안전 또는 교통사고 위험도와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는 안전한 통학로와 보행친화적인 건강한 커뮤니티를 조성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walking safety or risk of traffic accident and the physical environments around 20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Changwon-si, Gyeongsangnam-do.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street-level objective and subjective ...

주제어

참고문헌 (29)

  1. 경기개발연구원. 2005. 경기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효율화 방안. 연구보고서. 

  2. 김상원, 정관섭, 원제무, 정지훈. 2009. 어린이보호구역 투자효율성 증진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 정책분석평가학회보지 19(2):177-202. 

  3. 김승남, 안건혁. 2010. 초등학생의 통학수단 선택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고찰: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주변 근린에 대한 형태학 기반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1(3):93-112. 

  4. 김태연. 2009. 도시 가로의 물리적 구성요소와 보행환경 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노현숙, 김현주, 황재훈. 2004. 청주시 초등학교 주변의 보행환경 특성. 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04-11:223-233. 

  6. 도로교통공단. 2011. OECD회원국 교통사고 비교 2011. 연구보고서. 

  7. 박경훈, 박종환, 정성관, 유주한. 2007. 걷기활동 증진을 위한 보행환경 평가지표의 개발. 한국환경과학회지 16(11):1231-1238. 

  8. 박경훈, 이우성, 변지혜. 2010. GIS기법을 이용한 근린주구 보행환경평가: 창원시를 사례 지역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78-90. 

  9. 박소현, 최이명, 서한림. 2008a. 도시 주거지의 물리적 보행환경요소 지표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4(1):161-172. 

  10. 박소현, 최이명, 서한림. 2008b. 주거지 물리적 보행환경의 특성차이에 관한 연구: 가회, 성산, 시흥, 상계, 개포, 행당 지역을 사례로. 대한건축학회지 24(2):215-226. 

  11. 변지혜. 2012. 안전한 통학로 조성을 위한 보행환경평가 및 행동패턴분석.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변지혜, 박경훈, 최상록. 2010. 물리적 보행환경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7(6):57-65. 

  13. 신진용, 최창길. 2008. 초등학교 통학에 따른 접근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8-12:49-54. 

  14. 안희욱. 2009. 어린이보호구역내 통학로의 보행환경에 관한 연구: 구미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경환, 안건혁. 2008. 지역 주민의 보행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환경 특성에 관한 실증 분석: 서울시 12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지 24(6):293-302. 

  16. 이우성. 2010.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지우석. 2009. 보행환경수준의 평가방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27(2):7-14. 

  18. 창원시. 2009. 창원시 환경지도 제작 및 GIS 구축 최종보고서. 

  19. Boarmet, M.G., C. Anderson, K. Day and T. McMillan. 2005. Evaluation of the California safe routes to school legislation: urban form changes and children's active transportation to school.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2S2):134-140. 

  20. Clifron, K.J., A.D. Livi and D. Rodriguez. 2007.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audit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0(1-2):95-110. 

  21. Landis, S.R. and G.G. Koch.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33(1):159-174. 

  22. Lin, J.J. and H.T. Chang. 2009. Built environment effects on children's school travel in taipai: independence and travel mode. Urban Studies 47(4):867-889. 

  23. McDonald, N.C. 2007. Active transportation to school: trends among U.S. schoolchildren, 1969-2001.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2(6):509-516. 

  24. McMillan, T.E. 2003. Walking and Urban Form: Modeling and Testing Parental Decisions about Children's Travel.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25. Pikora, T.J., B. Giles-Corti, M.W. Knuiman, F.C. Bull, K. Jamrozik and R.J. Donovan. 2006.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correlated with walking near home: using SPAC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8(4):708-714. 

  26. Timperio, A., K. Ball, J. Salmon, R. Roberts, B. Giles-Corti, D. Simmons, L. A. Baur, and D. Crawford. 2006. Personal, family, social,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active commuting to school.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0(1):45-51. 

  27. Wen, L.M., D. Fry, C. Rissel, H. Dirkis, A. Balafas and D. Merom.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 being driven to school: implications for walk to school program. Health Education Research 23(2):325-334. 

  28. Yeung, J., S. Wearing and A.P. Hills. 2008. Child transport practices and perceived barriers in active commuting to school.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42(6):895-900. 

  29. Zhu, X. and C. Lee. 2008. Walkability and Safety around elementary schools: economic and ethnic disparitie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ecine 34(4):282-2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