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기법을 이용한 근린주구 보행환경평가 -창원시를 사례지역으로-
An Evaluation of the Neighborhood Walking Environment Using GIS Method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3 no.4, 2010년, pp.78 - 90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우성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변지혜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창원시를 대상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걷기와 자전거 타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보행환경 평가지표와 Mobile GIS를 활용한 현장에서의 보행환경 DB 구축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문헌연구를 통하여 총 20개의 보행환경 평가항목을 선정한 후 항목별 평가점수 부여방식을 정립하였고, Mobile GIS 기법을 활용하여 각 조사항목의 DB를 효과적으로 구축하였다. 그 결과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보행환경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창원광장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구역의 종합점수가 42점 이상으로 다른 구역에 비해 양호한 보행환경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단독 및 연립주택 중심의 주거지역에서는 보행환경이 상대적으로 매우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보행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지역과 주요 목적지인 공원, 쇼핑시설, 학교 등에 접근할 수 있는 구간을 전략적으로 설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행환경개선 지역 또는 구간이 결정되면, 현장조사 결과 및 지역주민의 보행환경 인식조사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할 보행환경 요소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일상생활 속에서 시민들의 신체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행환경계획 및 설계, 그리고 유지 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의사결정지원수단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tried to suggest a method of DB construction in the field using evaluation variables and Mobile GIS focusing on Changwon City as a leading study to encourage walking and biking in everyday life. First, twenty evaluation variables of WEs(walking environments) were selected through the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에서 운동 및 산책, 출·퇴근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쾌적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걷거나, 자전거를 탈 수 있는 도시환경의 조성과 재정비를 위한 보행환경의 평가 및 DB 구축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상생활 속에서 주요 통행수단으로의 걷기활동이 이루어지는 근린주구(neighborhood) 내에서,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요소의 추출과 이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방법론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경상남도 창원시 도심의 근린주구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ikora et al.(2002)는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들을 측정하기 위해, 무엇을 개발 하였는가? 특히, Pikora et al.(2002)은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들을 측정하기 위하여각 분야의 전문가 자문 및 문헌 연구를 통해 SPACES(Systematic Pedestrian and Cycling Environmental Scan)라는 설문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설문조사에 참여한 1,803명의 각 거주지를 중심으로 400m 반경 내의 보행로를 선정한 후, 그 공간에 대한 환경정보를 SPACES와 GIS도구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Ackerson(2005)은 토지이용 유형, 거리와 교차로의 밀도 및 특성, 그리고 통학로의 공간적 분포를 GIS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함으로써 가로규모와 근린주구규모의 보행 적절성 및 안전성 분석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Mobile GIS 기법을 활용하여 사례지역의 보행환경 조사항목별 DB를 구축하고, 그 결과로 보행환경의 종합적인 평가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으로 Mobile GIS 기법을 활용하여 사례지역의 보행환경 조사항목별 DB를 효과적으로 구축하였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보행환경의 종합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창원광장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구역(zone 12∼25)이 종합점수 42점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양호한 보행환경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이들 구역의 보행공간은 보도의 폭이 매우 넓고 녹지대가 풍부하게 조성되어 있으며 가로휴게시설이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용지 호수에 인접한 일부 구간(zone 3∼6)에서도양호한 보행환경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독 및 연립주택 중심의 주거지역 (zone 10, 11, 27, 28)에서는 보행환경이 상대적으로 매우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차도와 분리된 보도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불법 주차된 차량, 협소한 보도 폭, 투기된 쓰레기 등으로 인하여 보행환경이 쾌적하지 못한 상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걷기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보행환경 요소로 추출한, 14개 항목은 무엇인가? 창원시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하여 걷기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보행환경 요소로서 14개 항목, 즉 포장재료, 경사도, 관리상태, 보도 폭, 차량속도, 차량통행량, 매연·소음, 장애요소, 휴게시설, 자연풍경, 녹음의 양, 횡단시설, 조명시설, 차도분리를 추출한 후, 14개 항목에 대한 20개 세부 평가항목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Mobile GIS 기법을 활용하여 사례지역의 보행환경 조사항목별 DB를 효과적으로 구축하였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보행환경의 종합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경기개발연구원. 2008. 보행환경 만족도 연구. 21-54쪽. 

  2. 국토연구원. 2006. 근린주구 보행활성화를 위한 보행친화적 환경요소의 계량화: 주거지역의 보행친화도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15-38쪽. 

  3. 김영욱, 신행우. 2007. 토지이용에 따른 보행 특성에 관한 연구: Space Syntax를 활용한 보행네트워크 분석과 보행량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 8(3):83-94. 

  4. 김용수, 김수봉, 강신용, 권기찬, 임원현, 조용기. 1997. 도시 Amenity 증진을 위한 가로공간 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1):121-130. 

  5. 김정열. 1998.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가로시설물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가로시설물 디자인의 컨셉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공예학과 석사학위논문. 1-101쪽. 

  6. 김태호, 이기영, 박제진. 2009. 보행자의 인식 서비스수준에 대한 요인분석. 서울도시연구 10(2):161-173. 

  7. 박경훈, 박종완, 정성관, 유주한. 2007. 걷기활동 증진을 위한 보행환경 평가지표의 개발. 한국환경과학회지 16(11):1231-1238. 

  8. 박소현, 최이명, 서한림. 2008. 도시 주거지의 물리적 보행환경요소 지표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1):161-172. 

  9. 박소현, 최이명, 서한림, 김준형. 2009. 주거지 보행환경 인지가 생활권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8):253-261. 

  10. 박종완. 2006. 걷기활동 증진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평가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5-61쪽. 

  11. 변지혜, 박경훈, 최상록. 2010. 물리적 보행환경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해시를 사례지역으로. 한국조경학회 37(6):57-65. 

  12. 심종혁. 2002. 가로환경의 만족도 분석을 통한 경관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김해시 가락로의 가로변건축물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50쪽. 

  13. 이상규. 2001. 도심 상업지역 가로 이용자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쪽. 

  14. 이상준. 2001. 광주광역시 보행환경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환경연구 6(1):11-21. 

  15. 이영환, 한삼건. 1999. 경주 구시가지 상업지역 가로경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2):745-750. 

  16. 이인성, 김현옥. 1998. 도시주거지 보행경로 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GIS를 이용한 보행환경 만족의 분석. 국토계획 33(5):117-129. 

  17. 최강림. 2008. 도시상업가로 보행환경의 현황분석과 개선방향 연구: 인천시 주요 상업가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4(12):237-248. 

  18. 탁형렬. 2002. 일산신도시 보행자 전용도로의 이용행태 및 만족도 평가.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68쪽. 

  19. Ackerson, K.J. 2005. A GIS Approach to Evaluating Streetscape and Neighborhood Walkability. Master Thesis, University of Oregon. 

  20. Cervero, R. and K. Kockelman. 1997.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2:199-219. 

  21. Clifton, K.J., A.D. Livi and D. Rodriguez. 2006.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audit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383:1-16. 

  22. Giles-Corti, B., A. Timperio, H. Cutt, T. Pikora, F. Bull, M. Knuiman, M. Bulsara, K. Van Niel and T. Shilton. 2006. Development of a reliable measure of walking within and outside the local neighbourhood: RESIDE's neighborhood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Preventive Medicine 42:455-459. 

  23. Lee, C. and A.V. Moudon. 2004. Physical activity and environment research in the health field: implication for urban and transportation planning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19(2):147-181. 

  24. Lee, C. 2004. Activity-Friendly Communities: Physical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Walking and Biking and Their Policy. Ph.D. Thesis, University of Washington. pp.51-127. 

  25. Moudon, A.V. and C. Lee. 2003. Walking and Bicycling: A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udit instrum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8(1):21-37. 

  26. Pikora, T., B. Giles-Corti, F. Bull, K. Jamrozik and R. Donovan. 2003. Developing a framework for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walking and cycling. Social Science & Medicine 56:1693-1703. 

  27. Pikora, T.J., F.C. Bull, K. Jamrozik, M. Knuiman, B. Giles-Corti and R.J. Donovan. 2002. Developing a reliable audit instrument to measure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3(3):187-194. 

  28. Saelens, B., J. Sallis, J. Black and D. Chen. 2003. Neighborhood-based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an environment scale e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1552-1558. 

  29. Tilt, J.H., T.M. Unfried and B. Roca. 2007. Using objective and subjective measures of neighborhood greenness and accessible destinations for understanding walking trips and BMI in Seattle, Washington.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1(4):371-3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