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시공간구조 유형별 초등학교 통학로 실태 및 안전도 영향규명 연구
An Investigation on Actual Condition and the Influence of Safety on Elementary School Road by Types of Urban Spatial Structure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8 no.5, 2013년, pp.71 - 77  

김태호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  김승현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  이수일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actual condition on attending school road of children and analyzing empir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on and the influence of safety on school road. Th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 1) Walking alone to go to school is the highest rates among Commuting M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적인 통학로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어린이들이 실제로 느끼는 정성적인 안전도(종속변수)를 기준으로 다양한 통학로 특성(토지이용, 가로망형태, 통학거리, 입지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분류된 유형을 토대로 어린이가 실제로 느끼는 통학로 안전도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스쿨존 사업이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을 증대시키는데 공헌하였지만, 사고증가추세로 볼 때 어린이 안전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쿨존 내부의 안전시설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현행 평가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한 실질적인 평가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현재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평가방법론의 문제점을 요약하면, 첫째, 모든 초등학교 통학로를 같은 조건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다.
  • 하지만, 다양한 입지 및 공간구조 특성을 개별적으로 유형화하여, 종합적인 분석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지 및 공간구조 특성을 종합하고, Data Mining(CART, CHAID)을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미한 입지 및 공간구조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학로를 이용하는 어린이들의 통학실태 및 안전도 인식특성을 파악하고, 초등학교 입지특성을 대변하는 도시공간구조 유형특성을 중심으로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 초등학교 및 어린이보호구역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어린이보호구역 주변의 효과분석(속도, 사고), 정량 평가지표, 전문가 시스템을 활용한 평가체계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 입지 및 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종합분석, 어린이 보호구역 주변특성을 고려하여 연구의 착안점을 정립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적인 통학로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어린이들이 실제로 느끼는 정성적인 안전도(종속변수)를 기준으로 다양한 통학로 특성(토지이용, 가로망형태, 통학거리, 입지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분류된 유형을 토대로 어린이가 실제로 느끼는 통학로 안전도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렇듯 토지이용과 도로위계를 제외하고는 일부 요소(지역특성, 통학거리)가 고려되지 못하고 있으며, 어린이의 안전도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초등학교 주변의 입지 및 공간구조를 규명하는 통계방법론 적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Data Mining(CHAID) 기법을 적용하여 유형 분류에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주변특성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 .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어린이보호구역의 간접영향권에 해당하는 지역도 연구범위에 포함하여 초등학교 주변을 종합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유형별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어린이보호구역관련 연구 및 사회적 요구사항을 검토하여, 본 연구의 착안점을 설정한다. 둘째, 설문조사 자료(Table 1) 관한 기초통계분석을 토대로 초등학교 주변의 통학로 실태를 파악한다.
  • 초등학교 및 어린이 보호구역을 중심으로 다룬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안전도를 종속변수로, 상관관계가 높은 독립변수를 활용하여 인과관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정성적인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6개 항목과 종합안전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보호구역은 언제부터 시행되고 전국에 얼마나 많이 있는가? 어린이보호구역(School Zone)은 1995년부터 어린이 교통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초등학교 인근에 설정되어 2011년 기준으로 전국 14,921개소에 이른다. 스쿨존 정비 사업은 2003~2007년까지 총 6,354억 원을 투입하여 스쿨존 개선 1단계 사업을 완료하였으며, 2008~2012년까지 총 7,000억 원을 투입하여 2단계 사업을 추진하였다.
스쿨존에서의 교통사고는 어떤 추세를 보이는가? 2배 많게 나타났다. 특히 스쿨존에서의 교통사고는 2009년 535건, 2010년 733건, 2011년 751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쿨존 사업이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을 증대시키는데 공헌하였지만, 사고증가추세로 볼 때 어린이 안전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스쿨존 내부의 안전시설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현행 평가시스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쿨존 내부의 안전시설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현행 평가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한 실질적인 평가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현재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평가방법론의 문제점을 요약하면, 첫째, 모든 초등학교 통학로를 같은 조건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스쿨존이 위치한 지역의 특성(토지이용, 가로망형태)이나 교통사고 발생 위험도(통학거리)에 대한 종합적 관점에서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통학로 주변의 단순 안전시설물 수준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실제 통행을 하고 있는 어린이가 느끼는 안전도(치안 포함)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T. H. Kim, Report of Actual Condition on Elementary School Road, Hyundai Insurance Research Center, 2013 

  2. K. J. Keum, "A Characterizes to Secure the Safety of Traffic in the School Zone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9, No. 3-1, 1999 

  3. S. M. Uhm, Study on Safety Countermeasures following Analysis the Actual Conditions of Traffic Accident School Zone, Hanbat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3 

  4. J. S. Seok, Operation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of School Zone of Incheon,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2004 

  5. C. M. Kim and J. E. Kim, "Efficiency of Improving Project on School Zone of Gyeonggi-do",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 No. 1, 2006 

  6. Y. S. Kim, J. J. Park, G. W. Park, S. Y. Park and J. H. Kim, "New Methodology about the Criteria for Appointing School Zon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6, No. 5, 2008 

  7. K. S. Lee, 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School Zone Laws, University of Seoul, Master's Thesis, 2007 

  8. D. Y. Jung, D. K. Kim and S. B. Lee, "An Evaluation of the Crash Reduction Effects of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s", Journal of Seoul Urban Studies, Vol. 9, No. 1, 2008 

  9. S. B. Lee , D. Y. Jung and D. K. Kim, "The Effects of a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on Crash Reduction Regarding Land Use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6, No. 3, 2008 

  10. M. S. Jang, J. Y. Park, M. J. Kim and D. J. Jung, "Improvement Measures for Traffic Safety at School Zone by Roadway and Accident Characteristics",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7, No. 45, 2010 

  11. J. Y. Park and D. K. Kim, "The Characteristics of Vehicle Speed Violation in School Zon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12, No. 2, 2010 

  12. H. W. Lee, D. H. Joo, C. S. Hyun, D. H. Kim, B. H. Park and C. K. Lee, "An Analysis of Effects of Travel Speed Using the Safety Facilities in the School Zones", Journal of Kore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1, No. 3, 2010 

  13. S. I. Lee, S. H. Kim, J. W. Kim and U. Huh, "A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Evaluation Criteria for Safety of School Zon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7, No. 1, 2012 

  14. S. J. Kang,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chool Zones based from the Analysis of Land Use and Road Function Characteristics", Kongju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3 

  15. Damian C.A. Collins, The Safe Journeys of an enterprising school : Negotiation landscape of opportunity and risk, 2001 

  16. Gates T. J., H. G. Hawkins and R.T. Ewart, Effectiveness of Rear-Facing Flashing beacon in School Speed Limit Sign Assemblies, Presented at the TRB 83rd Annual Meeting, 2004 

  17. NHTSA, Demonstration of Automated Speed Enforcement in School Zones in Portland, Oregon DOT Report No. DOT HS 810 764, 2006 

  18. Clifton K. J. and K. Fults, The Role of Environmental Attributes in Explaining Pedestrian Vehicular Crashes near Public School, Presented at the TRB 85th Annual Meeting, 2006 

  19. Nurul Hidayati, Ronhhui Liu and Frank Montgomery, The Impact of School Safety Zone and Roadside Activities on Speed Behaviour : the Indonesian Case, 15th meeting of the EURO Working Group on Transportation(EWGT 2012).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