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각자극에 따른 감각 및 감성적 미각정보 처리과정의 기능적 매핑 비교
Comparisons of functional brain mappings in sensory and affective aspects following taste stimulation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5 no.4, 2012년, pp.585 - 592  

이경희 (동서대학교 보건의료계열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음식물 섭취는 영양상태의 유지와 생존을 위해 필요하며, 미각은 가장 기본적인 감각 중의 하나이다. 맛을 느끼는 미각세포는 다섯 가지 기본 맛(단맛, 쓴맛, 짠맛, 신맛, 감칠맛)에 대해 반응한다. 그러나 뇌에서 맛감각의 처리과정과 미각피질의 조직화된 원리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뇌자도(MEG), 광영상(optical imaging)을 이용하여 미각 자극에 대한 뇌의 반응들을 영상화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뇌 활성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이들 뇌 영상 기법들은 서로 직접적인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지는 못하지만, 이러한 기법들은 상호 보완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들을 이용한 데이터들의 상호비교는 미각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뇌의 시간-공간적인 활성 패턴 변화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감각 및 감성적 측면에서의 미각 자극에 따른 뇌의 정보처리에 있어서 미각영역의 활성화에 관한 영상매핑에 대해 최근까지 밝혀진 결과들과 연구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미각 자극에 따른 뇌의 영상 변화를 관찰하여 구조해부학적 지도를 만드는 것은 매우 복잡한 미각의 신경회로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od is crucial for the nutrition and survival of humans. Taste system is one of the fundamental senses. Taste cells detect and respond to five basic taste modalities (sweet, bitter, salty, sour, and umami). However, the cortical processing of taste sensation is much less understood. Recently, th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러한 기법들을 통해 미각 자극에 따른 신경세포 네트워크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비만 또는 알코올 중독 등 섭식 장애에 따른 신경계의 기능 변화를 연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미각자극에 따른 감각 및 감성적 측면의 정보처리 과정에 대한 뇌 활성변화에 관하여 최근까지 밝혀진 결과들과 연구 동향을 개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각세포는 어떤 맛에 반응하는가? 음식물 섭취는 영양상태의 유지와 생존을 위해 필요하며, 미각은 가장 기본적인 감각 중의 하나이다. 맛을 느끼는 미각세포는 다섯 가지 기본 맛(단맛, 쓴맛, 짠맛, 신맛, 감칠맛)에 대해 반응한다. 그러나 뇌에서 맛감각의 처리과정과 미각피질의 조직화된 원리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신경세포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특징은? 인간은 외부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눈, 코, 귀, 혀, 피부의 다섯 가지 감각기관들이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는 신경세포 망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신경세포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약 110 mV의 pulse이고, pulse interval time은 보통 4 ms이다. pulse 폭은 1 ms 정도이며, 신호의 전달속도는 100 m/s 정도이다(Lodish et al., 1995).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은 어떤 방법인가? 뇌의 기능적 영상화(functional neuroimaging)란 뇌 활동 양상을 여러 형태의 영상화 기술로 기록하는 것으로, 현재 뇌의 활성화를 측정할 수 있는 실용화된 방법으로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이 대표적인 예이다. PET은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동위원소(18F 등)를 포함한 FDG (fluorodeoxyglucose)의 뇌 국소부위의 대사와 관계되는 혈류량 변화를 영상화하여 뇌의 활성도를 정량화하는 방법이며(Bailey et al., 2005), fMRI는 뇌의 BOLD(blood-oxygen-level-dependent)의 대조도를 이용하여 뇌의 혈류변화(HDR: hemodynamic response)를 영상화한 것으로(Ogaw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