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호흡 양상을 보이는 아동 및 청소년의 하순 두께 변화에 관한 연구
Thickness Changes of the Lower Lip in Mouth Breathing Children and Adolescent 원문보기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28 no.1, 2012년, pp.47 - 56  

정영호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치과 교정과) ,  이상민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 ,  양병호 (서울 Y교정치과) ,  박인영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치과 교정과) ,  이일홍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치과 교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입술은 사람의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구호흡자와 비호흡자의 입술두께를 비교하여 구호흡과 하순 두께 변화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8세~18세인 아동 및 청소년 436명을 대상으로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조사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를 구호흡 그룹과 비호흡 그룹으로만 나누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결과 구호흡 그룹의 하순/상순 비율은 $1.13{\pm}0.14$, 비호흡 그룹의 하순/상순 비율은 $1.02{\pm}0.14$로 나타났다. Skeletal class에 따라 구분한 그룹의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skeletal class I은 $1.05{\pm}0.09$, skeletal class II는 $1.20{\pm}0.12$, skeletal class III는 $0.97{\pm}0.11$로 나타났다. 호흡양상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비호흡을 하는 그룹보다 구호흡을 하는 그룹에서 하순/상순 비율이 더 큰 값을 나타내어 하순의 두께가 더 두꺼운 양상을 보였다. Skeletal class에 따라서 비교하였을 때는 skeletal class II 그룹에서 하순/상순 비율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내어 하순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양상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ttractive lips are important component of appealing faces,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mouth-breathing and thickness of lower lips in mouth-breathers and nasal-breathers. The subjects were 436 adolescent patients aged 8~18 years who took cephalometrics. The resul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구호흡을 하는 환자에서의 하순 두께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전신질환이 없고 발육상태가 양호한 8세~18세인 아동 및 남자 227명 여자 268을 대상으로 하여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상순과 하순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남녀별, 연령별 하순조직의 발육 양상을 조사함과 동시에 정상적으로 비호흡을 하는 환자(대조군)와 비기도 장애로 인해 구호흡을 하는 환자(실험군)의 상하순 두께의 비율을 비교함으로써 구호흡이 하순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남녀별, 연령별 구순조직의 발육 양상을 조사함과 동시에 호흡 양상에 따른 구순 조직, 특히 하순조직의 두께별 특징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호흡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한편 호흡습관은 교정적 영역에서 상당히 중요시되는 항목 중에 하나이다. 특히 구호흡은 혀, 볼 및 턱의 자세성 습관을 유발하여 교정적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호흡을 위해 구강내 공간확보가 중요하게 되어 혀의 위치가 낮아지게 되고, 교합이 보다 이개 됨으로써 볼조직이 신장되며, 입술이 이개되어 비호흡을 하는 사람과는 평상시 사용하는 입술의 근육의 양상이 달라지게 된다.
입술은 어떻기 구성되어 있는가? 입술은 얼굴 모양뿐 아니라 표정, 언어, 영양섭취를 위하여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구조물이다. 구륜근을 제외하고 6쌍의 근육들과 밖으로 드러나는 피부와 분비샘이 없는 점막부위 그리고 구강내로 드러나는 분비샘이 있는 점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호흡으로 초래되는 adenoid face, long face symdrome 안모 형태의 특징은 무엇인가? 구호흡은 악안면 근육의 활동변화로 안면성장에 영향을 주어 부정교합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구호흡으로 초래되는 안모형태는 adenoid face, long face symdrome 으로 명명 되었으며 그 특징으로 전안면고경과 하안면고경이 길고 상하 순이 떨어져 있으며 상하악골이 후퇴되고 인두의 폭경이 좁고 혀의 위치가 낮으며 구개가 깊고 좁아 구치부 반대교합이 빈발되며 상하악 전치가 설측경사되고 개교가 유발된다고 한다.18) Ricketts19)는 respiratory obstruction syndrome, Schendel20)등은 long face symdrome과 vertical maxillary excess라는 용어로 구호흡 환자의 안모 형태를 표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anas KV, Solow B. Early adult changes in the skeletal and soft tissue profile. Eur J Orthod 1979;2:1-12. 

  2. Burstone CJ. 0Lip posture and its significance in treatment planning. Am J Orthod 1967;53:262-84. 

  3. Subtenly JD. The soft tissue profile, growth and treatment changes. Angle Orthod 1992;31:105-11. 

  4. Bishara SE, Hession TJ, Peterson LC. Longitudinal soft tissue profile changes: A study of three analysis. Am J Orthod 1985;88:209-23. 

  5. Burstone CJ, James RB, Legan H et al. Cephalometrics for orthognathic surgery.J oral Surg 1978;36:269-77. 

  6. Moore JW. Variation of the sella-nasion plane and its effect on SNA and SNB. J Oral Surg 1976;34:24-6. 

  7. Asahina I, Sakakibara T, Miyashin M et al. Congenital midline sinus of the upper lip: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Cleft Palate Craniofac J 1997;34:83-5. 

  8. Barlow SM, Bradford PT. Comparison of perioral reflex modulation in the upper and lower lip. J Speech Hear Res 1996;39:55-75. 

  9. Ferrario VF, Sforza C, Schmitz JH et al.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lips: a 3-dimensional study from 6 years to adulthood using a geometric model. J Anat 2000;196: 415-23. 

  10. Frederick S. The perioral muscular phenomenon: Part I. Aust Orthod J 1991;12:3-9 

  11. Mamandras AH. Linear change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lips. Am J Orthod 1988;5: 405-10. 

  12. Nanda RS, Hanspeter M, Sunil K, Jolande G. Growth changes of the soft tissue profile. Angle Orthod 1990;60:177-90. 

  13. Pelton WJ, Elsasser WA. Studies of dentofacial morphology IV. Profile change among 6,829 white individuals according to age and sex. Angle Orthod 1955;25:109-207. 

  14. Subtenly JD. A longitudinal study of soft tissue facial structures and their profile characteristics, defined in the relation to underlying skeletal structure. Am J Orthod 1959;45:481-507. 

  15. Bowker WD, Meredith HV. A metric analysis of facial profile. Angle Orthod 1959;29:149-60. 

  16. Mauchamp O, Sassouni V. Growth and prediction of the skeletal and soft tissue profile. Am J Orthod 1973;64:83-94. 

  17. Kang HG.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f the bony structure and its profile. Korean J Orthod 1976;6:17-24. 

  18. Bresolin D, Shapiro PA, Shapiro GG et al. Mouth breathing in allergic children; its relationship to dentofacial morphology. Am J Orthod 1983;83:334-40. 

  19. Ricketts RM. Forum on the tonsil and adenoid problem in orthodontics. Questions and answer. Am J Orthod Dentofacail Orthop 1968;54:508-14. 

  20. Schendel SA, Eisenfeld J, Bell WH et al. The longface syndrome : vertical maxillary exess.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76;70:398-408. 

  21. Woodside DG, Linder-Aronson S. The channelization of upper and lower anterior face heights compared to population standard in males between 6 and 20 years. Europ J Orthod 1979;1:25-40. 

  22. Harvold EP, Vargervik K, Chierici G. Primate experiments on oral sensation and dental malocclusion.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73;63:494-508. 

  23. Miller AJ, Vargervik K, Chierici G. Experimentally induced neuromuscular changes during and after nasal airway obstruction. Am J Orthod 1984;85:385-92. 

  24. Kim SH, Sung JH. Electromyographic changes of orofacial muscles during experimentally induced mouth- breathing in rabbit. Journal of Oral Biology 1987;11:51-9. 

  25. Miller AJ, Vargervik K. Neuromuscular adaptation in experimentally induced oral respiration in the rhesus monkey(Macaca mulata). Arch Oral Biol 1980;25:579-89. 

  26. Harvold EP, Tomer BS, Vargervik K, Chierici G. Primate experiments on oral respiration. Am J Orthod 1981;119:359-72. 

  27. Downs WB. Analysis of dentofacial profile. Angle orthod. 1956;26:191-212. 

  28. Riedel RA. An analysis of dentofacial relationships. Am J Orthod 1957;43:103-19. 

  29. Wylie WL. The mandibular incisor-its role in facial esthetics. Angle Orthod 1955;25: 32-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