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화돌봄에서 개인 경험에 근거한 희망 중재를 향하여
Towards Hope Seeking Intervention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in Palliative Care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5 no.1, 2012년, pp.1 - 9  

김달숙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희망은 개인화된 유일하며 주관적이고 역동적인 경험이라는 가정 하에서 개인 경험에 근거한 희망 찾기 중재를 하는 데 도전해야할 문제점들을 토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자는 개인 경험에 근거한 희망을 향하여 가는 데 도전하여야 할 제한점과 요구되는 방안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판적인 분석과 토의가 포함된 문헌 고찰을 사용하였다. 결과: 도전 과제들은 1. 개념화 문제로 대표되는 것들로서 종종 희망이 다양한 속성을 가진 표준화된 단일 구조나 현실적인 희망만이 강조되는 단일 구조로 또는 한 문헌에서 두 가지 오리엔테이션(상대주의 대 단일주의)의 혼합 속에서 기술되거나 사용되었다. 2. 완화돌봄을 받고 있는 환자들에 의하여 고유하게 경험되는 다양한 희망의 패턴이나 경험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3. 개인 경험에 근거한 희망 중재와 그 방법에 대하여 다룬 문헌이 거의 없다. 결론: 개념화 문제는 오랫동안에 걸쳐서 관련 학문 학자와 전문가에 내재되어온 고정된 오리엔테이션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이 문제는 우리들의 고정된 생각의 변화와 고정된 생각으로부터의 해방을 요구한다. 두 번째 도전 과제는 효과적이고 적절한 개인 경험에 근거한 희망 중재에 사용될 수 있도록 완화 간호 세팅에 있는 환자들의 다양한 희망 경험에 대한 다문화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세 번째 도전 과제는 개인경험에 근거한 희망 중재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찾을 것을 요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challenges for hope seeking intervention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HSIBIE) in palliative care, assuming that hope is an individualized unique, subjective, and dynamic experience. Methods: Literature, including analysis and discussion, was review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책은 Health, Others, Purpose in life, 그리고 Engaging process (목표 확인하기, 목표 달성 위하여 행동 취하기, 자신의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는 감각, 그리고 과거, 현재, 미래의 희망 고취 전략 확인하기)의 요소와 각 요소를 확인하는 질문으로 구성되는 질적 표준 사정 모델을 소개하면서 그 동안 말기환자 희망 사정에서 채택되어왔으며 적용되어 왔던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이 책은 포괄적 개념화와 실증적으로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도구의 사용은 희망 과학에서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Beck의 Hopelessness scale, Herth의 Hope Index, Hinds의 Hopefulness Scale for Adolescent Scale, Miller의 Hope Scale, 그리고 Snyder의 Hope Scale 등을 말기 임종환자의 희망을 사정할 수 있는 좋은 도구로 소개하였다.
  • 목적: 본 연구는 희망은 개인화된 유일하며 주관적이고 역동적인 경험이라는 가정 하에서 개인 경험에 근거한 희망 찾기 중재를 하는 데 도전해야할 문제점들을 토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희망은 어떠한 현상인가?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희망은 인간의 삶을 지속하게 하며, 상황 변화에 적응할 수 있게 하고, 삶의 스트레스에 맞서게 하는 강력한 내적 힘으로 언급됨으로써 인간의 실존과 삶에 필수적인 현상으로 간주되어 왔다(1,2). 이러한 점에서 희망은 자신의 삶에 대한 사형 선고를 받고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말기환자에게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말기환자에게 희망 찾기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점에서 희망은 자신의 삶에 대한 사형 선고를 받고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말기환자에게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암의 악화와 함께 동반되는 불구, 통증, 증상의 발생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과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 속에서 복합적인 상실 및 실존에 대한 공포를 경험할 수 있는 말기환자에게(2,3) 희망은 어려운 상황에 굴복하지 않고 상황을 다루는 삶을 살 수 있게 하는 강력한 힘이다(4). 또한 희망은 말기환자들이 자신의 현실 상황을 뛰어 넘는 자신을 만나는 상태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어둠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할 수 있게 한다(3). 따라서 죽음을 앞두고 극심한 신체적 또는 심리ㆍ사회ㆍ영적 고통 속에서 마지막 삶을 살아내야 하는 말기환자에게 희망 찾기는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희망은 누구에게 더욱 강력하게 작용하는가? 이러한 점에서 희망은 자신의 삶에 대한 사형 선고를 받고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말기환자에게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암의 악화와 함께 동반되는 불구, 통증, 증상의 발생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과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 속에서 복합적인 상실 및 실존에 대한 공포를 경험할 수 있는 말기환자에게(2,3) 희망은 어려운 상황에 굴복하지 않고 상황을 다루는 삶을 살 수 있게 하는 강력한 힘이다(4). 또한 희망은 말기환자들이 자신의 현실 상황을 뛰어 넘는 자신을 만나는 상태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어둠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할 수 있게 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ylma J, Duggleby W, Cooper D, Molander G. Hope in palliative care: an integrative review. Palliat Support Care 2009;7:365-77. 

  2. Ersek M, Cotter VT. The meaning of hope in the dying. In: Ferrell B, Coyle N, eds. Oxford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3rd ed.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2010. p. 579-96. 

  3. Benzein E, Norberg A, Saveman BI. The meaning of the lived experience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 in palliative home care. Palliat Med 2001;15:117-26. 

  4. Thorne S, Oglov V, Armstrong EA, Hislop TG. Prognosticating futures and the human experience of Hope. Palliat Support Care 2007;5:227-39. 

  5. Yates P. Towards a reconceptualization of hope for patients with a diagnosis of cancer. J Adv Nurs 1993;18:701-6. 

  6. Kylma J, Vehvilainen-Julkunen K. Hope in nursing research: a meta-analysis of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foundations of research on hope. J Adv Nurs 1997;25:364-71. 

  7. Kim DS, Kim HS, Schwartz-Barcott D, Zucker D. The nature of hope in hospitalized chronically ill patients. Int J Nurs Stud 2006;43:547-56. 

  8. Necholaichuk CL, Bruera E. On the nature of hope in palliative care. J Palliat Care 1998;14:36-42. 

  9. Morse JM, Doberneck B. Delineating the concept of hope. Image J Nurs Sch 1995;27:277-85. 

  10. Herth KA, Cutcliffe JR. The concept of hope in nursing 6: reseach/education/policy/practice. Br J Nurs 2002;11:1404-11. 

  11. Kylma J, Vehvilainen-Julkunen K, Lahdevirta J. Dynamics of hope in HIV/AIDS affected people: an exploration of significant others' experiences. Res Theory Nurs Pract 2003;17:191-205. 

  12. Parse RR. Hope: an international human becoming perspective. Sudbury, Mass.;Toronto:Jones and Bartlett;c1999. 

  13. Kim DS, Kim KS, Park EM, Lee HJ. The types of hope in the hospitalized terminal cancer patients. Support Care Cancer 2011; 19 Suppl 2:S206. 

  14. Dufault K, Martocchio BC. Symposium on compassionate care and the dying experience. Hope: its spheres and dimensions. Nurs Clin North Am 1985;20:379-91. 

  15. Herth K.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hope. Sch Inq Nurs Pract 1991;5:39-51; discussion 53-6. 

  16. Kim DS, Lee SW.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hope for the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Nurs 1998;28:441-56. 

  17. Farran CJ, Herth KA, Popovich JM. Hope and hopelessness: critical clinical constructs. Thousand Oaks, Calif.: SAGE Publications; c1995. 

  18. Strada A. Preserving life at the end of life: shifting the temporal dimension of hope. Palliat Support Care 2008;6:187-8. 

  19. Snyder CR. Handbook of hope theory: theory, measures and applications. London:Academic Press;2000. 

  20. Wein S. Hope: concerning structure and function. Palliat Support Care 2004;2:229-30. 

  21. Eliott J, Olver I. The discursive properties of "Hope": a qualitative analysis of cancer patients' speech. Qual Health Res 2002;12:173-93. 

  22. Hollis V, Massey K, Jevne R. An introduction to the intentional use of hope. J Allied Health 2007;36:52-6. 

  23. Duggleby W, Wright K, Williams A, Degner L, Cammer A, Holtslander L. Developing a living with hope program for caregivers of family members with advanced cancer. J Palliat Care 2007;23:24-31. 

  24. Duggleby WD, Denger L, Williams A, Wright K, Cooper D, Popkin D, et al. Living with hope: initial evaluation of a psychosocial hope intervention for older palliative home care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2007;33:247-57. 

  25. Hawthorne DL, Yurkovich NJ. Hope at the end of life: making a case for hospice. Palliat Support Care 2004;2:415-7. 

  26. Nolan S. Hope beyond (redundant) hope: how chaplains work with dying patients. Palliat Med 2011;25:21-5. 

  27. Cheavens JS, Feldman DB, Gum A, Michael ST, Synder CR. Hope therapy in a community sample: a pilot investigation. Soc Indic Res 2006;77:61-78. 

  28. Levine R. Treating idealized hope and hopelessness. Int J Group Psychother 2007;57:297-317. 

  29. Narrative therapy[Internet]San Francisco, Calif.: Wikimedia Foundation, Inc.; 2011 [update 2011 Jan 21; cited 2011 May 12]. Available from: http://en.wikipedia.org/wiki/Narrative_therapy. 

  30. Antelius E. The meaning of the present: hope and foreclosure in narrations about people with severe brain damage. Med Anthropol Q 2007;21:324-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