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가정전문간호사가 실무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대처

Difficulties and Coping Experienced by Advanced Practice Nurses in Home Health Nursing Field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fficulties and coping that advanced practice nurses (APNs) experience in home health nursing fiel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APNs who had experience in home health nursing for over 5 yea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wo focus group interviews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2017.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Out of 10 sub-categories and 29 codes, 4 categories emerged: "crushed by the responsibilities as the only healthcare professional", "worn out by family who interfere with work", "anxiety about my safety being threatened" and "using self-learned know-hows". Conclusion: APNs face difficulties due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omes, the characteristics of chronically critically ill (CCI)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legal or systematical limitations when dealing with problems based on their personal competence. In order to ensure that professional nursing care is more readily provided to CCI patients through home health nursing services in local communities, it is imperative that support systems at the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levels be established in a systematic way to resolve the issues faced by APNs.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적 내용분석
질적 내용분석이란 무엇인가?
특정 현상을 경험한 참여자의 관점을 이해한 다는 질적 접근의 포괄적인 철학적 배경과 면담과 관찰을 통해 나온 자료는 연구자와 참여자간 상호작용에서 형성된다는 의사소통이론을 바탕에 두고[21], 참여자가 나타낸 언어, 행동, 태도, 실제 동기가 반영된 자료 자체에 초점을 두는 귀납적 분석방법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질적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특정 현상을 경험한 참여자의 관점을 이해한 다는 질적 접근의 포괄적인 철학적 배경과 면담과 관찰을 통해 나온 자료는 연구자와 참여자간 상호작용에서 형성된다는 의사소통이론을 바탕에 두고[21], 참여자가 나타낸 언어, 행동, 태도, 실제 동기가 반영된 자료 자체에 초점을 두는 귀납적 분석방법이다[20].

가정전문간호사들의 직무 스트레스
가정전문간호사들의 직무 스트레스가 상당히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가정이라는 환경은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없기 때문에 가정전문간호사가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도 있으며[5], 문제 발생 시 가정전문간호사 개인의 자질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어 책임에 대한 갈등을 겪거나 사고에 대한 부담을 갖는다

즉, 가정전문간호사는 가정을 방문해서 예상하고 준비했던 것과 다른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자신만의 임상적 판단과 기술로 대처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6]. 가정이라는 환경은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없기 때문에 가정전문간호사가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도 있으며[5], 문제 발생 시 가정전문간호사 개인의 자질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어 책임에 대한 갈등을 겪거나 사고에 대한 부담을 갖는다[7]. 이러한 점 때문에 가정전문간호사들의 직무 스트레스수준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6,8].

가정전문간호사
가정전문간호사의 업무는 무엇인가?
가정간호대상자 가정을 방문하여 일반간호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검체 채취 및 운반, 투약, 주사, 응급처치 등에 대 한 교육 및 훈련, 상담, 다른 보건의료기관으로의 건강관리에 관한 의뢰 등의 업무와 대상자 및 가족과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여 건강관리자, 지지자, 옹호자, 상담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중 가정간호는 병원의 장기입원을 완화시키고, 병상회 전율을 높여 병원입원에 대한 국민의 의료요구 충족과 의료비용 경감을 위한 목적으로 2001년에 도입되어[2], 2019년 기준 180곳의 의료기관에서 가정간호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7년 까지 6,484명의 가정전문간호사가 배출되었다[3]. 가정전문간호사는 가정간호대상자 가정을 방문하여 일반간호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검체 채취 및 운반, 투약, 주사, 응급처치 등에 대 한 교육 및 훈련, 상담, 다른 보건의료기관으로의 건강관리에 관한 의뢰 등의 업무와 대상자 및 가족과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여 건강관리자, 지지자, 옹호자, 상담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2]. 그 결과 환자들의 재입원, 응급실 이용, 30일 내 재입원, 건강비용 등이 감소되었고, 환자들의 신체적 기능과 삶의 질 또한 개선되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30)

  1.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ort of department of medical health policy 2010 -reinforcement of accessibility and option with scope enlargement for home health car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cited 2017 July 25]. Available from: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37175 
  2.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guide for hospital based home health car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cited 2017 July 25]. Available from:http://www.mohw.go.kr/react/al/sal01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101&CONT_SEQ237214&page1 
  3. 3. Korean Homehealthcare Nurses Association. The current state of home health nursing service agencies and home health nursing specialists [Internet]. Yongin: Korean homehealthcare nurses association. 2019 [cited 2019 September 26]. Available from: http://hcna.or.kr/sub2/2_8.php 
  4. 4. Yang A, Nam SY, Kim J, Kim H, Park HD, Jin DK, et al. A patient with propionic acidemia with a novel mutation who was successfully managed by home care based fluid therap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2016;16(1):52-56. 
  5. 5. Hong JS, Lee GE. Scale development of job stress for home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6):1097-1107. https://doi.org/10.4040/jkan.2004.34.6.1097 
  6. 6. Kim SJ, Yi MS, Eun Y, Ko MH, Kim JH, Kim DO, et al. Roleidentity of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1):103-113. https://doi.org/10.4040/jkan.2006.36.1.103 
  7. 7. Kim SY. A study on participation in clinical decision making by home health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6):892-902. https://doi.org/10.4040/jkan.2010.40.6.892 
  8. 8. Park MM, Han SJ. Relations of job satisfaction with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personal resources in home health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1):51-61.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51 
  9. 9. Yoon YM. Strategies for integrative linkage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in health center and visiting nursing servic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hospital-based home health nursing's view. Presented at: Policy forum by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7 September 2; Chung-Ang University,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Seoul, Korea. 
  10. 10. Oh EG, Lee HJ, Kim Y, Sung JH, Park YS, Yoo JY, et al. Current status of home visit programs: Activities and barriers of home care nursing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5):742-751. https://doi.org/10.4040/jkan.2015.45.5.742 
  11. 11. Lee IS. Integrative linkage model for Korean home health nursing. Presented at: Policy forum by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7 September 2; Chung-Ang University,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Seoul, Korea. 
  12. 12. Hwang MS, Lee SJ, Lim NY, Lee MK. Job descriptions of hospital based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in Korea by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1;18(1):48-57. 
  13. 13. Suh MJ, Kim SS, Shin KR, Kang HS, Kim KS, Park HR, et al. A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s of homecare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1):84-97. https://doi.org/10.4040/jkan.2000.30.1.84 
  14. 14. Ryu H, Jo H, Kim Y, Yoon Y, Song J, Lim JY, et al. Working conditions in home health care nursing: A survey of home care nurses in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7):1229-1237. https://doi.org/10.4040/jkan.2005.35.7.1229 
  15. 15. Choi SM, Lee MK.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ies in home health advanced practic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4;21(2):147-155. 
  16. 16. Kim HM. Professional autonomy of home health care nurse practitioners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2012. 52 p. 
  17. 17. Lee MK, Lee SH. The job stress for hospital-based home healthcare nurse special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Living Environment. 2008;15(4):539-547. 
  18. 18. Zori S, Kohn N, Gallo K, Friedman MI. Critical thinking of registered nurses in a fellowship program.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013;44(8):374-380. https://doi.org/10.3928/00220124-20130603-03 
  19. 19. Lee MS, Ko MH, Son HM, Kim JH, Kang SR, Oh SE, et al. Performing a qualitative research. 1st ed. Paju: Soomoonsa;2018. 352 p. 
  20. 20. Graneheim UH, Lundman B.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Nurse Education Today. 2004;24(2):105-112. https://doi.org/10.1016/j.nedt.2003.10.001 
  21. 21. Vaismoradi M, Turunen H, Bondas T.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Implications for conducting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Nursing & Health Sciences. 2013;15(3):398-405. https://doi.org/10.1111/nhs.12048 
  22. 22. Park HY, Hwang MS, Kim YH. Case-based learning through home care nursing specialists' critical reflection: Application with patients using home mechanical ventilator.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8;25(3):153-163. https://doi.org/10.22705/jkashcn.2018.25.3.153 
  23. 23. Bakalis NA, Watson R. Nurses decision-making in clinical practice. Nursing Standard. 2005;19(23):33-39. https://doi.org/10.7748/ns2005.02.19.23.33.c3805 
  24. 24. Son YE, Song HJ. 2018 A social worker' statistical yearbook. Research Report. Seoul: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2018 December. Report No.: 2018-10-045. 
  25. 25. Seo JY, Kim GS, Lee HK, Kim HY, Shin HS, Park JM. Correlates of social support, family function, and conditions of home care nursing in family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2;19(1):63-73. 
  26. 26. Lee IS, Lee KO, Kang HS, Park YH. Violent experiences and coping among home visiting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1):66-75. https://doi.org/10.4040/jkan.2012.42.1.66 
  27. 27. Kim HG, Nam HK. Violence victimization of visiting nurses and prevention strategies adopted by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7;24(3):243-254. https://doi.org/10.22705/jkashcn.2017.24.3.243 
  28. 28. Cha C. Workplace sexual violence against nurses and the role of professional association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8;61(6):342-347. https://doi.org/10.5124/jkma.2018.61.6.342 
  29. 29. Seol M, Shin YA, Lim GC, Leem C, Choi JH, Jeong JS. Current status and vitalizing strategie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7;14(1):37-44. https://doi.org/10.16952/pns.2017.14.1.37 
  30. 30. Kim YM, Geun HG, Cho HJ. The effects of personal coping resource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s on job stress among hospital-based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6;23(2):195-205.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Access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오픈액세스(OA) 유형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