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마의 재질별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Various Chopping Boards against Food-borne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1, 2012년, pp.114 - 120  

김지영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 연구센터) ,  이형재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 연구센터) ,  조정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 연구센터) ,  임현철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최경철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김두운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 연구센터) ,  박근형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 연구센터) ,  문제학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마다 반복되는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한 접근 방법으로써 시판품의 다양한 도마(항균처리 plastic 재질 3종, 항균처리 않은 plastic재질 1종, 나무재질(홍송, 고무나무, 편백나무, 박달나무, 대나무)를 대상으로 세균성 식중독의 주요한 원인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 S. Typhimurium, V. vulnificus, V. cholerae, V. parahaemolyticus 및 S. aureus의 6종 미생물에 대하여 저지환 시험과 real-time PCR을 이용한 정량법을 이용하여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Plastic 재질의 도마들은 E. coli O157:H7, S. Typhimurium, S. aureus의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항균력이 표시된 도마와 표시되어있지 않은 도마들 간의 항균력 차이는 크지 않았다. 나무 재질의 도마는 V. vulnificus에 대해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5종의 나무 재질의 도마들 중 대나무 도마는 E. coli O157:H7, S. Typhimurium, V. cholerae, V. vulnificus의 4종의 균에 대해 저지환 시험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real-time PCR로 정량한 결과에서는 S. aureus에 대해 생육억제력을 나타내어 5종의 식중독균에 대하여 가장 광범위한 항균력을 보였다. 이는 대나무에 함유된 polyphenol과 organic acid 등의 작용으로 추측된다. 항균력이 있다고 표시된 도마에서도 시험 대상 균들 중 일부에 대해서만 항균력이 나타났으며, 재질별로 항균력에 차이가 나타났던 결과들로부터 도마에 대한 위생상의 지나친 신뢰는 큰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조리의 최종관리자들에 의한 일상적인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hopping board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hree antibiotic plastics, a general plastic, and various woods (red pine, rubber tree, cypress, birch, and bamboo) using zone inhibition assay and real-time PCR. Wood chopp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도마의 재질에 따른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의 평가와 항균성 표시제품과 미표시 제품 간의 항균력 비교 연구는 거의 행해진 바 없는 실정이고, 현재 유통되는 항균처리 도마에 있어서도 사용한 항균제의 종류에 따른 항균효과 및 항균이 가능한 균의 종류 등에 대한 정확한 표시가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균들을 대상으로 플라스틱 및 나무 등의 재질이 다른 도마들 간의, 그리고 항균성이 표시된 플라스틱 제품들과 미표시된 플라스틱 제품들 간의 항균력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Different characters in same colum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Inhibition zone (mm) formed on a side of chopping board was measured.
  • 4)No inhibition zone was form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식중독으로 초래되는 사회·경제적 피해 현황은? 우리나라의 식중독 발생현황을 보면, 식중독 발생건수는 최근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으며, 건당 환자 수도 상승세를 보여 점차 식중독이 대형화되어가고 있다(2). 2005년에서 2009년까지 우리나라의 원인 병원균 평균 식중독 발생현황을 보면, 발생되는 60-70%가 세균성 식중독이 차지하고 있으며, 병원성대장균이 14.7%, 살모넬라균 13.5%, 황색포도상구균 10.3%, 장염비브리오 1.8%의 순서로 발생되었다(3). 또 발생장소의 경우 음식점 및 단체급식소가 차지하는 비율이 최근 5년 평균 75%이상이었으며, 평균 환자수도 71%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2001년에 보고된 “식품원인질병의 사회·경제적 손실비용의 측정모델개발과 식중독사고에 의한 손실 평가”에서는 식중독발생에 의한 총 사회·경제적 손실 비용을 1조 3,107억원으로 추정하였다(4).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세균성 식중독의 주요한 원인균 6가지는? 해마다 반복되는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한 접근 방법으로써 시판품의 다양한 도마(항균처리 plastic 재질 3종, 항균처리 않은 plastic재질 1종, 나무재질(홍송, 고무나무, 편백나무, 박달나무, 대나무)를 대상으로 세균성 식중독의 주요한 원인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 S. Typhimurium, V. vulnificus, V. cholerae, V. parahaemolyticus 및 S. aureus의 6종 미생물에 대하여 저지환 시험과 real-time PCR을 이용한 정량법을 이용하여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Plastic 재질의 도마들은 E.
본 연구에서 추측한 편백나무 도마가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은 이유 3가지는? 이처럼 항균활성이 강할 것으로 기대했던 편백나무 도마가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은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유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편백나무가 다양한 항균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나, 그 성분들이 본 실험에서 대상으로 한 미생물들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을 가능성, 둘째, 편백나무가 본 실험의 대상 미생물들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지만 도마 제작 과정을 통해 활성성분들이 제거·소실 되었거나 변형되었을 가능성, 셋째, 본 항균활성 평가를 행하기 위한 조작시, 멸균을 위해 도마를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도마에 함유된 성분들이 제거·소실 또는 변형되어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을 가능성 등이 있을 수 있다고 추측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JS. Safety management policy and policy issues for foodborne diseas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54: 14-22 (2009) 

  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nalysis on the trend of food-poisoning. Available from: http://kfda.go.kr/fm/index.do?nMenuCode67. Accessed July 5, 2011. 

  3. KFDA. Foodborne disease protection. Food Ind. 215: 33-37 (2010) 

  4. Shin HS, Lee SH, Kim JS, Kim JS, Han KH. Socioeconomic costs of food-borne disease using the cost-of-illness model: Applying the QALY method. J. Prev. Med. Public Health 43: 352-361 (2010) 

  5. Bae HJ, Lee JH, Oh SI. Effect of applying pretreatment methods before cooking for decreasing the microbiological hazard of cooked dried fish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Sci. Food Cookery Sci. 19: 555-561 (2003) 

  6. Yoo WC, Park HK, Kim KL.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prepared foods and raw materials of food service operations. Korean J. Dietary Culture 15: 123-137 (2000) 

  7. Park HK, Kim KL, Shin HW, Kye SH, Yoo WC.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 of coo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J. Fd. Hyg. Safety 15: 315-323 (2000) 

  8. Soh GS, Kim YS, Shin DH. A survey on the sanitary management in food survice institutions. J. Fd. Hyg. Safety 22: 63-75 (2007) 

  9. Bobeng BJ, David BD. HACCP models for quality control of entree production in hospital food service systems (I). J. Am. Diet. Assoc. 73: 524-529 (1978) 

  10. Kye SH, Moon HK.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of Korean soups prepared at Korean restaurants: Hazard analysis of Tang (galbitang, sullungtang, jangkuk). Korean J. Dietary Culture 10: 35-44 (1995) 

  11. Kye SH, Moon HK.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of Korean soups prepared at Korean restaurants: Naeng-myeun (cold noodles) and Pi-bim bab (mixed rice). Korean J. Dietary Culture 10: 167-174 (1995) 

  12. Park HK, Park BK, Shin HW, Park DW, Kim YS, Cho YH, Lee KH, Kang KJ, Jeon DH, Park KH, Ha S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sanitizer and disinfectants used in domestic food processing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42-1047 (2005) 

  13. Lee YS, Lee SH, Ryu K, Kim YS, Kim HI, Choi HC, Jeon DH, Lee YJ, Ha SD. Survey on practical use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on food utensils in institutional food service. J. Fd. Hyg. Safety 22: 338-346 (2007) 

  14. Kang HY, Lee SS, Choi IG. The antifungal activity of coniferous needle oil. J. Kor. For. En. 13: 71-77 (1993) 

  15. Whittaker RH, Feeny PP. Allelochemics: Chemical interactions between species. Science 171: 757-770 (1971) 

  16. Muller CH. Allelopathy as a factor in ecological process. Plant ecol. 18: 348-357 (1969) 

  17. Gocho S. Antibacterial action of aroma compounds in vapor state. J. Antibact. Antifung. Agents 19: 329-334 (1991) 

  18. Lorian V. Antibiotics in Antimicrobial in Liquid Media. Williams and Willkins, New York, NY, USA. p. 52 (1991) 

  19. Park MJ, Choi WS, Kang HY, Gwak KS, Lee GS, Jeung EB, Choi IG. Inhibitory effect of the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 J. Microbiol. 48: 496-501 (2010) 

  20. Rudman P. The causes of natural durability in timber-Part XI. the antifungal activity of hearwood extractives in wood substrate. Holzforschung 16: 74-77 (1962) 

  21. Rudman P. The causes of natural durability in timber-Part XI. Some tests on the fungi toxicity of wood extractives and related compounds. Holzforschung 17: 54-57 (1963) 

  22. Lee HO, Baek SH, Han DM. Antimicrobial effects of Chamaecyparis obtusa essential oil.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9: 253-257 (2001) 

  23. Inamori Y, Shinohar S, Tsujibo H, Okabe T, Morita Y, Sakagami Y, Kumeda Y, Ishida N. Antimicrobial activity and metalloprotease inhibition of hinokitiol-related compounds, the constituents of Thujopsis dodabrata S. and Z. dolabrata MAK. Biol. Pharm. Bull. 22: 990-993 (1999) 

  24. Arima Y, Nakai Y, Hayakawa R, Nishino T. Antibacterial effect of $\beta$ -thujaplicin on staphylococci isolated from atopic dermatitis: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number of viable bacterial cells and clinical improvement in an eczematous lesion of atopic dermatitis. J. Antimicrob. Chemoth. 51: 113-122 (2003) 

  25. Kayama S, Yamaguchi Y, Tanaka S, Motoyoshiya J. A new substance (yoshixol) with an interesting antibiotic mechanism from wood oil of Japanese traditional tree (Kiso-hinoki), Chamaecyparis obtusa. Gen. Pharmacol. 28: 797-804 (1997) 

  26. Akers HA, Abrego VA, Garland E. Thujaplicins from Thuja plicata as iron transport agents for Salmonella typhimerium. J. Bacteriol. 141: 164-168 (1980) 

  27. Ikagai H, Nakae T, Hara Y, Shimamura T. Bactericidal catechins damage the lipid bilayer. Biochim. Biophys. Acta 1147: 132-136 (1993) 

  28. Do JR, Kang SN, Kim KJ, Jo JH, Lee SW.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in the water extracts of medicinal plant. Food Sci. Biotechnol. 13: 640-645 (2004) 

  29. Farrell JJ, Doyle LJ, Addison RM, Reller LB, Hall GS, Trocop GW. Broad-range (pan) Salmonella and Salmonella serotype Typhi-specific real-time PCR assays. Am. J. Clin. Pathol. 123: 339-345 (2005) 

  30. Miller ND, Davidson PM, D'Souza DH. Real-time reverse-transcriptase PCR for Salmonella Typhimurium detection from lettuce and tomatoes. Food Sci. Technol. 44: 1088-1097 (2011) 

  31. Jothikumar N, Griffiths MW. Ri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with multiplex real-time PCR assays. Appl. Environ. Microb. 68: 3169-3171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