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상용 식품의 혈당지수 (Glycemic Index) 추정치를 활용한 한국 성인의 식사혈당지수 산출
Establishing a Table of Glycemic Index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and an Evaluation of the Dietary Glycemic Index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5 no.1, 2012년, pp.80 - 93  

송수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최하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사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  박정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  김보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  백희영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송윤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glycemic index (GI) has an effect on developing the risk for metabolic abnormalities such as diabetes, dyslipidemia, and obesity. As there are no reliable GI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using the dietary GI for Kore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외에서 발표된 GI 자료들을 참고하여 한국인 상용 식품에 대한 GI 값을 설정하고, 2007~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취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식사혈당지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최근의 GI 자료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상용 식품에 대한 GI 값을 설정하고, 이를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적용시켜봄으로써 우리나라 성인의 식사혈당지수를 산출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구축한 한국인 상용 식품에 대한 GI 자료를 한국인의 식사혈당지수와 대사성 질환과의 관련성 연구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구축한 GI 자료에 대한 보완 및 타당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당지수란? 탄수화물의 질적 섭취를 평가하기 위해서 혈당지수 (glycemic index, GI)를 지표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혈당지수란 특정 식품의 식후 혈당 반응 정도를 기준이 되는 식품에 대해 비교하여 수치화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같은 양의 탄수화물 식품을 섭취하더라도 서로 다른 속도로 소화, 흡수되기 때문에 인체 내에서의 혈당 반응은 식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식사혈당지수 실태와 대사성 질환과의 관련성 연구가 극히 드문 이유는? 그러나 우리나라는 식생활이 단백질이나 지방 위주인 서구 사람들의 식생활과는 달리 탄수화물 위주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사혈당지수 실태와 대사성 질환과의 관련성 연구가 극히 드문 실정이다. 이는 우리나라 상용 식품에 대한 GI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며, 그동안 한국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식사혈당지수를 평가한 몇 개의 논문에서는 제한적인 식품에 대해서만 혈당지수를 설정하였다.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Kim 등12) 의 연구에서는 식품섭취빈도조사지에 포함된 64개 식품에 대해서만 GI 값을 설정하였고, Chai 등13) 과 Kim 등14)의 연구에서는 2002년에 발표된 international table에 근거하여 GI 값을 설정하였으나 이는 공개되어 있지 않아 다른 연구에서 활용하기 어렵다.
인체 내에서의 혈당 반응이 식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탄수화물의 질적 섭취를 평가하기 위해서 혈당지수 (glycemic index, GI)를 지표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혈당지수란 특정 식품의 식후 혈당 반응 정도를 기준이 되는 식품에 대해 비교하여 수치화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같은 양의 탄수화물 식품을 섭취하더라도 서로 다른 속도로 소화, 흡수되기 때문에 인체 내에서의 혈당 반응은 식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4)최근의 여러 역학 연구들에서 식품의 GI 값을 이용하여 개인의 식사혈당지수 (dietary glycemic index, DGI)와 식사혈당 부하지수 (dietary glycemic load, DGL)를 산출하고 이와 대사성 질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는데, DGI는 섭취한 식품 내 탄수화물을 질적으로 평가하는 지수인 반면 DGL은 식사 중 탄수화물의 질적, 양적인 면을 모두 반영하는 지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Seoul; 2009 

  2. Gaesser GA. Carbohydrate quantity and quality in relation to body mass index. J Am Diet Assoc 2007; 107(10): 1768-1780 

  3. McKeown NM, Meigs JB, Liu S, Rogers G, Yoshida M, Saltzman E, Jacques PF. Dietary carbohydra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the Framingham offspring cohort. J Am Coll Nutr 2009; 28(2): 150-158 

  4.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rker H, Fielden H, Baldwin JM, Bowling AC, Newman HC, Jenkins AL, Goff DV. Glycemic index of foods: a physiological basis for carbohydrate exchange. Am J Clin Nutr 1981; 34(3): 362-366 

  5. Salmeron J, Ascherio A, Rimm EB, Colditz GA, Spiegelman D, Jenkins DJ, Stampfer MJ, Wing AL, Willett WC. Dietary fiber, glycemic load, and risk of NIDDM in men. Diabetes Care 1997; 20(4): 545-550 

  6. Murakami K, Sasaki S, Takahashi Y, Okubo H, Hosoi Y, Horiguchi H, Oguma E, Kayama F. Dietary glycemic index and load in relation to metabolic risk factors in Japanese female farmers with traditional dietary habits. Am J Clin Nutr 2006; 83(5): 1161- 1169 

  7. Gellar L, Nansel TR. High and low glycemic index mixed meals and blood glucose in youth with type 2 diabetes or impaired glucose tolerance. J Pediatr 2009; 154(3): 455-458 

  8. Schulze MB, Liu S, Rimm EB, Manson JE, Willett WC, Hu FB.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dietary fiber intak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younger and middle-aged women. Am J Clin Nutr 2004; 80(2): 348-356 

  9. Denova-Gutierrez E, Huitron-Bravo G, Talavera JO, Castan? on S, Gallegos-Carrillo K, Flores Y, Salmeron J. Dietary glycemic index, dietary glycemic load, blood lipids, and coronary heart disease. J Nutr Metab 2010. doi: 10.1155/2010/170680 

  10. Levitan EB, Cook NR, Stampfer MJ, Ridker PM, Rexrode KM, Buring JE, Manson JE, Liu S. Dietary glycemic index, dietary glycemic load, blood lipids, and C-reactive protein. Metabolism 2008; 57(3): 437-443 

  11. Stevenson EJ, Astbury NM, Simpson EJ, Taylor MA, Macdonald IA. Fat oxidation during exercise and satiety during recovery are increased following a low-glycemic index breakfast in sedentary women. J Nutr 2009; 139(5): 890-897 

  12. Kim K, Yun SH, Choi BY, Kim MK. Cross-s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carbohydrate, glycaemic index, glycaemic load and risk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Korean population. Br J Nutr 2008; 100(3): 576-584 

  13. Chai HJ, Hong H, Kim HS, Lee JS, Yu CH. Relationship between food intakes,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body weight among high school boys in Seoul. Korean J Nutr 2008; 41(7): 645- 657 

  14. Kim EK, Lee JS, Hong H, Yu CH. Association between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dietary carbohydrates and diabetes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Korean J Nutr 2009; 42(7): 622-630 

  15.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od composition table, 7th revision. Suwon; 2006 

  16. Atkinson FS, Foster-Powell K, Brand-Miller JC. International tables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8. Diabetes Care 2008; 31(12): 2281-2283 

  17. Foster-Powell K, Holt SH, Brand-Miller JC. International tab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2. Am J Clin Nutr 2002; 76(1): 5-56 

  18. Kim HY, Hong SG, Hwang SJ, Mok C, Park MH, Lee JY. Effect of saengshik on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subje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36(12): 1553-1559 

  19. Chen YJ, Sun FH, Wong SH, Huang YJ.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of selected Chinese traditional foods. World J Gastroenterol 2010; 16(12): 1512-1517 

  20. Murakami K, Sasaki S, Takahashi Y, Okubo H, Hirota N, Notsu A, Fukui M, Date C. Reproducibility and relative validity of dietary glycaemic index and load assessed with a self-administered diet-history questionnaire in Japanese adults. Br J Nutr 2008; 99(3): 639-648 

  21. Du H, van der A DL, van Bakel MM, van der Kallen CJ, Blaak EE, van Greevenbroek MM, Jansen EH, Nijpels G, Stehouwer CD, Dekker JM, Feskens EJ.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in relation to food and nutrient intake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a Dutch population. Am J Clin Nutr 2008; 87(3): 655-661 

  22. Nakashima M, Sakurai M, Nakamura K, Miura K, Yoshita K, Morikawa Y, Ishizaki M, Murakami K, Kido T, Naruse Y, Sasaki S, Nakagawa H. Dietary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blood lipid levels in middle-aged Japanese men and women. J Atheroscler Thromb 2010; 17(10): 1082-1095 

  23. Sahyoun NR, Anderson AL, Tylavsky FA, Lee JS, Sellmeyer DE, Harris TB; Health, Aging, and Body Composition Study. Dietary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in older adults. Am J Clin Nutr 2008; 87(1): 126-131 

  2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2010 

  25. Liese AD, Schulz M, Fang F, Wolever TM, D'Agostino RB Jr, Sparks KC, Mayer-Davis EJ. Dietary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carbohydrate and fiber intake, and measures of insulin sensitivity, secretion, and adiposity in the Insulin Resistance Atherosclerosis Study. Diabetes Care 2005; 28(12): 2832-2838 

  26. Hodge AM, English DR, O'Dea K, Giles GG. Glycemic index and dietary fiber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4; 27(11): 2701-27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