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수화물 간식류 식품 및 조리방법에 따른 혈당지수 및 혈당부하지수
Analysis and Evaluation of Glycemic Indices and Glycemic Loads of Frequently Consumed Carbohydrate-Rich Snacks according to Variety and Cooking Meth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 2015년, pp.14 - 23  

김도연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이한송이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최은영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임현정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인 다소비 탄수화물 간식류의 조리방법에 따른 혈당지수혈당부하지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에게 포도당과 탄수화물 간식을 조리방법을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당질부하량은 50 g 당질 함량으로 계산하였고, 식후 혈당과 혈청 인슐린 반응은 2시간에 걸쳐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옥수수죽, 찐옥수수, 찐감자, 군감자, 찐고구마, 군고구마는 고혈당지수에 해당하였고 강냉이, 고구마튀김, 군밤이 중 혈당지수에 해당되며, 감자튀김, 감자전, 군밤, 찐팥, 팥죽은 저혈당지수 수치에 해당하였다. 조리방법별로 비교했을 때 기름을 사용한 찐감자와 군감자의 혈당지수가 감자튀김과 감자전보다 높았고 군고구마의 혈당지수가 고구마튀김에 비해 높았으며, 찐팥의 혈당지수가 팥죽에 비해 낮았다. 식품별로 비교했을 때 찐 형태에서는 찐팥이 저 혈당지수, 찐밤이 중 혈당지수 간식에 해당하였고, 구운 형태로는 군밤이 저 혈당지수 식품에 속하였다. 죽 형태로는 팥죽이 저 혈당지수에 해당하였고, 튀긴 형태로는 감자전, 감자튀김 모두 저 혈당지수에 속하였지만 감자전만이 고구마튀김에 비해 낮았다. 혈당부하지수는 찐팥, 군밤, 찐밤, 팥죽, 군감자, 찐감자, 감자전, 감자튀김이 저 혈당부하지수, 고구마튀김, 강냉이, 찐옥수수가 중 혈당부하지수, 군고구마와 옥수수죽은 고 혈당부하지수 간식에 해당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탄수화물 간식류에 대한 혈당지수는 외국의 데이터를 많이 이용하고 있고 국내에서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므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섭취되고 있는 간식류를 대상으로 혈당지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름을 사용하여 조리된 간식류는 혈당지수가 낮더라도 만성질환예방을 위해 적당량 섭취를 권고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당뇨병의 식사요법에서 탄수화물 간식류는 무조건 제한하기보다는 적절한 조리방법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산출한 탄수화물 간식류의 혈당지수와 혈당부하 지수를 참고적인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탄수화물 간식류의 혈당지수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glycemic indices (GIs) and glycemic loads of carbohydrate-rich snacks in Korea according to variety and cooking method. The most popular carbohydrate snacks (corn, potatoes, sweet potatoes, chestnuts, and red bean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만 19~64세 성인 남녀의 섭취빈도가 높은 간식류 중 탄수화물 중심 식품을 선별하고 각 식품의 조리 및 가공방법에 따른 혈당지수와 혈당부하지수를 측정하여 한국인이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in a column are siginificantly different at P<0.05 vs. the referenc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당지수는 어떤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가? 이러한 혈당지수는 식품에 포함된 당질의 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지만 식품의 가공방법, 조리방법, 함께 먹는 음식,익은 정도, 저장기간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9,10). 하지만 현재 혈당지수 자료는 대부분 외국의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식품(11-13), 식단(14) 등에 대한 혈당지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국내 상용간식의 조리 및 가공방법에 따른 혈당지수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탄수화물 간식류의 조리방법별 혈당지수의 차이는 무엇과 관련 있는가? 식품의 조리방법별로 혈당지수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가열처리의 정도에 따라 입자호화도가 달라져 소화흡수의 속도의 차이와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소화된 탄수화물 식품은 곧 단당류로 분해되고 장으로 흡수되어 혈당을 증가시키고, 인슐린의 분비를 증가시켜 혈당을 정상수치로 낮추게 된다.
혈당부하지수는 무엇인가? 하지만 현재 혈당지수 자료는 대부분 외국의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식품(11-13), 식단(14) 등에 대한 혈당지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국내 상용간식의 조리 및 가공방법에 따른 혈당지수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혈당지수가 탄수화물 50 g을 함유한 식품 섭취 시 혈당이 변화된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값이라면, 혈당부하지수는 각 식품의 혈당지수에 그 식품의 일반적인 1회 섭취량을 반영하여 계산된 값이다(15). 이는 같은 고 혈당지수 식품이라도 실질적인 섭취량에 따라 혈당 증가 및 인슐린 분비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National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KHIDI, Osong, Korea. p 44-495. 

  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NS, Seoul, Korea. p 6. 

  3. Gilbertson HR, Thorburn AW, Brand-Miller JC, Chondros P, Werther GA. 2003. Effect of low-glycemic-index dietary advice on dietary quality and food choice i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Am J Clin Nutr 77: 83-90. 

  4. Rye JH, Yim JE, Suk WH, Lee H, Ahn HJ, Kim YS, Park CS, Choue R. 2012. Sugar composition and glycemic indices of frequently consumed fruits in Korea. Korean J Nutr 45: 192-200. 

  5.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rker H, Fielden H, Baldwin JM, Bowling AC, Newman HC, Jenkins AL, Goff DV. 1981. Glycemic index of foods: a physiological basis for carbohydrate exchange. Am J Clin Nutr 34: 362-366. 

  6. Atkinson FS, Foster-Powell K, Brand-Miller JC. 2008. International tables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8. Diabetes Care 31: 2281-2283. 

  7. Bjorck I, Granfeldt Y, Liljeberg H, Tovar J, Asp NG. 1994. Food properties affecting the digestion and absorption of carbohydrates. Am J Clin Nutr 59: 699S-705S. 

  8. Kim IJ. 2009. Glycemic index revisited. Korean Diabetes J 33: 261-266. 

  9. FAO. 1998. Carbohydrates in human nutrition: Report of a Joint FAO/WHO Expert Consultation. FAO Food Nutr Pap, Rome, Italy. Vol 66, p 1-140. 

  10. Jenkins DJ, Wolever TM, Jenkins AL. 1988. Starchy foods and glycemic index. Diabetes Care 11: 149-159. 

  11. Lee JS, Lee JS, Yang CB, Shin HK. 1997. Blood glucose response to some cereals and determination of their glycemic index to rice as the standard food. Korean J Nutr 30: 1170-1179. 

  12. Lee JS, Shin HK. 1998. Correlation between glycemic index and in vitro starch hydrolysis of cere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229-1235 

  13. Kim JI, Kong BW, Jung SH, Park SJ, Kwon TW, Kim JC. 2002.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to processed rice products in normal subjects. Nutraceuticals & Food 7: 174-178. 

  14. Yoon SK, Kim MA. 1998. Glycemic responses of Korean domestic meals and diabetic meals in normal subjects. Korean J Food & Nutr 11: 303-311 

  15. Foster-Powell K, Holt SH, Brand-Miller JC. 2002. International tables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2. Am J Clin Nutr 76: 5-56. 

  16. Brouns F, Bjorck I, Frayn KN, Gibbs AL, Lang V, Slama G, Wolever TM. 2005. Glycaemic index methodology. Nutr Res Rev 18: 145-171. 

  17. Wolever TM, Jenkins DJ, Josse RG. 1991. The glycemic index: methodology and clinical implications. Am J Clin Nutr 54: 846-854. 

  18. Behall KM, Scholfield DJ, Canary J. 1988. Effect of starch structure on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in adults. Am J Clin Nutr 47: 428-432. 

  19. RDA. 2011. Food Composition Table. 8th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Suwon, Korea. p 21-114. 

  20. RDA. 2009. Food Composition and Nutrition Table. 1st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 212-321. 

  21. Im SS, Kim MH, Sung CJ, Lee JH. 1991. The effect of cooking form of rice and barley on thd postprandial serum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in normal subject. J Korean Soc Food Nutr 20: 293-299. 

  22. Brand JC, Nicholson PL, Thorburn AW, Truswell AS. 1985. Food processing and the glycemic index. Am J Clin Nutr 42: 1192-1196. 

  23. Bahado-Singh PS, Riley CK, Wheatley AO, Lowe HI. 2011. Relationship between processing method and the glycemic indices of ten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cultivars commonly consumed in Jamaica. J Nutr Metab 2011: 584832. 

  24. Yang YX, Wang HW, Cui HM, Wang Y, Yu LD, Xiang SX, Zhou SY. 2006. Glycemic index of cereals and tubers produced in China. World J Gastroenterology 12: 3430-3433. 

  25. Lutsey PL, Steffen LM, Stevens J. 2008. Dietary intake and the develop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Circulation 117: 754-761. 

  26. Cui R, Oates C. 1999. The effect of amylose-lipid complex formation on enzyme susceptibility of sago starch. Food Chem 65: 417-425. 

  27. Holm J, Bjorck I, Ostrowska S, Eliasson AC, Asp NG, Larsson K, Lundquist I. 1983. Digestibility of amylose-lipid complexes in-vitro and in-vivo. Starch-Stake 35: 294-297. 

  28. Sugiyama M, Tang AC, Wakaki Y, Koyama W. 2003. Glycemic index of single and mixed meal foods among common Japanese foods with white rice as a reference food. Eur J Clin Nutr 57: 743-752. 

  29. Schulze MB, Liu S, Rimm EB, Manson JE, Willett WC, Hu FB. 2004.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dietary fiber intak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younger and middle- aged women. Am J Clin Nutr 80: 348-356. 

  30. Gaesser GA. 2007. Carbohydrate quantity and quality in relation to body mass index. J Am Diet Assoc 107: 1768-1780. 

  31. McKeown NM, Meigs JB, Liu S, Rogers G, Yoshida M, Saltzman E, Jacques PF. 2009. Dietary carbohydra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the Framingham offspring cohort. J Am Coll Nutr 28: 150-1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