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 및 음식의 다량영양소 구성 성분에 따른 혈당 반응 연구
Effects of macronutrients in mixed meals on postprandial glycemic response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1, 2018년, pp.31 - 39  

박미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상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심재은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성희 ((주)풀무원 풀무원기술원) ,  남기선 ((주)풀무원 풀무원기술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끼니에 섭취한 각 식품 및 음식의 영양성분 중 에너지에 기여하는 다량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과 식이섬유소가 혈당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총 62가지의 단일 또는 여러 가지 단일 식품으로 구성된 혼합 식사 섭취 후 2시간 동안의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곡 선하면적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증가하면 혈당곡선하면적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탄수화물 이외에 식품 및 음식에 함유된 지방, 식이섬유소 등의 함량도 혈당곡선하면적에 영향을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소의 영양성분이 혈당곡선하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탄수화물(${\beta}=37.18$, p < 0.0001)은 혈당곡선하면적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고, 지방 (${\beta}=-32.70$, p = 0.0054), 식이섬유소 (${\beta}=-32.01$, p = 0.0486)는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단백질 (${\beta}=-12.93$, p = 0.1657)은 혈당 반응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식품 및 음식의 영양성분 중 탄수화물 함량만이 아닌 지방, 식이섬유소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혈당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여 의미가 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arbohydrate, fat, protein, and fiber contents on glycemic responses in a single food item or meal. Methods: Glycemic responses were measured in 30 healthy young adults (17 males and 13 females) with various test foods, including rice, egg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대 건강한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각 식품의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식이섬유소가 혈당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량 영양소와 식이섬유소를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는 단일 또는 혼합 식품을 섭취한 결과 탄수화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혈당곡선하면적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끼니에 섭취한 각 식품 및 음식의 영양성분 중 에너지에 기여하는 다량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과 식이섬유소가 혈당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총 62가지의 단일 또는 여러 가지 단일 식품으로 구성된 혼합 식사 섭취 후 2시간 동안의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곡선하면적을 계산하였다.
  • 단일식품이 아닌 혼합식사의 혈당반응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는데 기존의 혈당 반응 연구는 식사 중심보다는 탄수화물 급원식품에 치중되어 있어 실제 섭취 시 나타나는 혼합식사의 혈당반응 자료가 미비한데다 이러한 연구조차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어 그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람들을 대상으로 단일 식품 또는 다양한 식품으로 구성된 혼합 식사 섭취 후 이를 구성하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식이섬유소가 혈당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식사의 혈당반응을 예측하고 조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당지수는 무엇인가? 혈당지수 (glycemic index, GI)는 Jenkins 등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기준 식품 (포도당, 흰빵 등)과 동량의 탄수화물을 함유한 특정 식품의 혈당 반응 정도를 기준이 되는 식품의 혈당 반응 정도를 비교한 값이다. 5,6 이에 비해 혈당부하지수 (glycemic load, GL)는 혈당지수에 더하여 식품의 일반적인 1회 섭취량 즉, 당질의 양을 고려하여 섭취 후의 혈당 반응을 예측하는 값 (혈당지수× 탄수화물 함량/1회 섭취량÷ 100)이다.
단백질을 제외한 탄수화물, 지방, 식이섬유소가 혈당곡선하면적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 가? 본 연구결과에서는 단백질을 제외한 탄수화물, 지방, 식이섬유소가 혈당곡선하면적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탄수화물은 혈당곡선하면적을 증가시켰고, 지방과 식이섬유소는 혈당곡선하면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수화물을 단독 또는 식이섬유소와 함께 섭취한 후 혈당 농도를 비교한 연구에서도 식이섬유소 없이 섭취한 경우보다 같은 식사에 식이섬유소를 추가하였을 때가 식후 혈당 농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국인들의 식습관과 섭취량은 서양인들과 어떻게 다른 가? 1,2. 한국인들은 밥을 주식으로 하는 식습관뿐만 아니라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부식과 간식으로 인해 서양인들에 비해 섭취하고 있는 탄수화물 섭취량이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섭취하는 탄수화물로부터 유래된 에너지가 총 섭취에너지의 약 64% (2013년 기준)로 알려져 있고, 특히 혈당지수가 높은 탄수화물 식품을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ong S, Choi H, Lee S, Park JM, Kim BR, Paik HY, Song Y. Establishing a table of glycemic index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and an evaluation of the dietary glycemic index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Korean J Nutr 2012; 45(1): 80-93. 

  2. Sun L, Ranawana DV, Leow MK, Henry CJ. Effect of chicken, fat and vegetable on glycaemia and insulinaemia to a white rice-based meal in healthy adults. Eur J Nutr 2014; 53(8): 1719-1726. 

  3. Kim DY, Lee H, Choi EY, Lim H. Analysis and evaluation of glycemic indices and glycemic loads of frequently consumed carbohydrate-rich snacks according to variety and cooking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5; 44(1): 14-23.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5. Jenkins DJ, Wolever TM, Jenkins AL. Starchy foods and glycemic index. Diabetes Care 1988; 11(2): 149-159. 

  6. Riccardi G, Rivellese AA, Giacco R. Ro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in the healthy state, in prediabetes, and in diabetes. Am J Clin Nutr 2008; 87(1): 269S-274S. 

  7. Kim IJ. Glycemic index revisited. Korean Diabetes J 2009; 33(4): 261-266. 

  8. Gaesser GA. Carbohydrate quantity and quality in relation to body mass index. J Am Diet Assoc 2007; 107(10): 1768-1780. 

  9. McKeown NM, Meigs JB, Liu S, Rogers G, Yoshida M, Saltzman E, Jacques PF. Dietary carbohydra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the Framingham offspring cohort. J Am Coll Nutr 2009; 28(2): 150-158. 

  10. Liu S, Willett WC, Stampfer MJ, Hu FB, Franz M, Sampson L, Hennekens CH, Manson JE. A prospective study of dietary glycemic load, carbohydrate intake,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US women. Am J Clin Nutr 2000; 71(6): 1455-1461. 

  11. Denova-Gutierrez E, Huitron-Bravo G, Talavera JO, Castanon S, Gallegos-Carrillo K, Flores Y, Salmeron J. Dietary glycemic index, dietary glycemic load, blood lipids, and coronary heart disease. J Nutr Metab 2010; 2010: 170680. 

  12. Schulze MB, Liu S, Rimm EB, Manson JE, Willett WC, Hu FB.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dietary fiber intak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younger and middle-aged women. Am J Clin Nutr 2004; 80(2): 348-356. 

  13. Barclay AW, Petocz P, McMillan-Price J, Flood VM, Prvan T, Mitchell P, Brand-Miller JC.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chronic disease risk--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Am J Clin Nutr 2008; 87(3): 627-637. 

  14. Du H, van der A DL, van Bakel MM, van der Kallen CJ, Blaak EE, van Greevenbroek MM, Jansen EH, Nijpels G, Stehouwer CD, Dekker JM, Feskens EJ.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in relation to food and nutrient intake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a Dutch population. Am J Clin Nutr 2008; 87(3): 655-661. 

  15. Murakami K, Sasaki S, Takahashi Y, Okubo H, Hirota N, Notsu A, Fukui M, Date C. Reproducibility and relative validity of dietary glycaemic index and load assessed with a selfadministered diet-history questionnaire in Japanese adults. Br J Nutr 2008; 99(3): 639-648. 

  16. Hatonen KA, Virtamo J, Eriksson JG, Sinkko HK, Sundvall JE, Valsta LM. Protein and fat modify the glycaemic and insulinaemic responses to a mashed potato-based meal. Br J Nutr 2011; 106(2): 248-253. 

  17. Brouns F, Bjorck I, Frayn KN, Gibbs AL, Lang V, Slama G, Wolever TM. Glycaemic index methodology. Nutr Res Rev 2005; 18(1): 145-171. 

  18. Wolever TM, Jenkins DJ. The use of the glycemic index in predicting the blood glucose response to mixed meals. Am J Clin Nutr 1986; 43(1): 167-172. 

  19. Wolever TM, Yang M, Zeng XY, Atkinson F, Brand-Miller JC. Food glycemic index, as given in glycemic index tables, i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glycemic responses elicited by composite breakfast meals. Am J Clin Nutr 2006; 83(6): 1306-1312. 

  20. Gannon MC, Nuttall FQ, Westphal SA, Seaquist ER. The effect of fat and carbohydrate on plasma glucose, insulin, C-peptide, and triglycerides in normal male subjects. J Am Coll Nutr 1993; 12(1): 36-41. 

  21. Ercan N, Gannon MC, Nuttall FQ. Effect of added fat on the plasma glucose and insulin response to ingested potato given in various combinations as two meals in normal individuals. Diabetes Care 1994; 17(12): 1453-1459. 

  22. Munoz JM, Sandstead HH, Jacob RA, Johnson L, Mako ME. Effects of dietary fiber on glucose tolerance of normal men. Diabetes 1979; 28(5): 496-502. 

  23. Gatenby SJ, Ellis PR, Morgan LM, Judd PA. Effect of partially depolymerized guar gum on acute metabolic variables in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Diabet Med 1996; 13(4): 358-364. 

  24. Quek R, Bi X, Henry CJ. Impact of protein-rich meals on glycaemic response of rice. Br J Nutr 2016; 115(7): 1194-1201. 

  25. Cunningham KM, Daly J, Horowitz M, Read NW. Gastrointestinal adaptation to diets of differing fat composition in human volunteers. Gut 1991; 32(5): 483-486. 

  26. Flint A, Moller BK, Raben A, Pedersen D, Tetens I, Holst JJ, Astrup A. The use of glycaemic index tables to predict glycaemic index of composite breakfast meals. Br J Nutr 2004; 91(6): 979-9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