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1, 2012년, pp.66 - 75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광옥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 강희선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iolent experiences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1,640 health care workers.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September 1, 20...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선행 연구에 따르면, 폭력을 경험한 건강 전문 인력이 그에 대해 보고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 선행연구에 따르면 폭력을 경험한 건강 전문 인력이 폭력에 대해 보고한 경우는 소수에 불과했고, 폭력을 당한 후에 심각하지 않다고 여겼거나, 부정적 결과에 대한 두려움, 성희롱의 경우 수치심 때문(Chen, Hwu, & Wang, 2009; Kim, 2008)에 폭력에 대해 보고를 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폭력을 경험했을 때 방문보건인력들이 어떻게 대응하는지와 폭력에 대해 보고를 하지 않을 경우 왜 보고를 하지 않는지에 대해 조사할 필요가 있다. | |
방문보건서비스 인력들이 업무 관련 폭력을 경험할 위험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은 공공보건의료 조직을 기반으로 보건소의 방문보건인력이 대상자 가정을 방문하여 가족단위로 건강문제를 사정한 후, 대상자 발견 및 등록, 질병관리 및 건강관리,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활동 등의 포괄적인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방문보건인력들은 병원 임상 의료 인력들과는 달리 혼자서 대상자들의 집을 직접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업무 관련 폭력을 경험할 위험이 매우 높다(Canton et al., 2009). | |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방문보건서비스의 건강 전문 인력에는 무엇이 있는가? | 국내에서는 2007년부터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을 추진하며 사회복지사, 영양사, 물리치료사 등 건강전문 인력 약 2,700여명이 전국 253개 보건소에서 보다 포괄적인 방문보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Park & Oh, 2010).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은 공공보건의료 조직을 기반으로 보건소의 방문보건인력이 대상자 가정을 방문하여 가족단위로 건강문제를 사정한 후, 대상자 발견 및 등록, 질병관리 및 건강관리,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활동 등의 포괄적인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
Anderson, C. (2002). Workplace violence: Are some nurses more vulnerable?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3, 351-366. http://dx.doi.org/10.1080/01612840290052569
Anderson, L., Fitzgerald, M., & Luck, L. (2010).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interventions to reduce violence against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 2520-2530.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9.03144.x
Bimenyimana, E., Poggenpoel, M., Myburgh, C., & van Niekerk, V. (2009). The lived experience by psychiatric nurses of aggression and violence from patients in a Gauteng psychiatric institution. Curationis, 32(3), 4-13.
Canton, A. N., Sherman, M. F., Magda, L. A., Westra, L. J., Pearson, J. M., Raveis, V. H., et al. (2009). Violence, job satisfaction, and employment intentions among home healthcare registered nurses. Home Healthcare Nurse, 27(6), 364-373. http://dx.doi.org/10.1097/01.NHH.0000356828.27090.bd
Chapman, R., Styles, I., Perry, L., & Combs, S. (2010).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violence in one non-tertiary hospit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3-4), 479-488.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9.02952.x
Chen, W. C., Hwu, H. G., & Wang, J. D. (2009). Hospital staff responses to workplace violence in a psychiatric hospital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15(2), 173-179.
Franz, S., Zeh, A., Schablon, A., Kuhnert, S., & Nienhaus, A. (2010). Aggression and violence against health care workers in Germany: A cross sectional retrospective survey.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0(51), 1-8. http://dx.doi.org/10.1186/1472-6963-10-51
Gacki-Smith, J., Juarez, A. M., Boyett, L., Homeyer, C., Robinson, L., & MacLean, S. L. (2010). Violence against nurses working in US emergency departments. Journal of Healthcare Protection Management, 26(1), 81-99.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1ae97db
Hegney, D., Tuckett, A., Parker, D., & Eley, R. M. (2010). Workplace violenc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ursing work between those exposed and those not exposed: A cross-sector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6(2), 188-202.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10.01829.x
Isaksson, U., Graneheim, U. H., & Astrom, S. (2009). Female caregivers' experiences of exposure to violence in nursing home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1), 46-53. http://dx.doi.org/10.1111/j.1365-2850.2008.01328.x
Kim, M. J. (2008). Kinds of workplace violence for hospital nurses and their reaction after being dam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won, H. J., Kim, H. S., Choe, K. S., Lee, K. S., & Sung, Y. H. (2007).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d at medical center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2), 113-124.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Publication Company.
Lee, E. (2010). A study on awareness of sexual harrassment in the workplace examined through male sexual culture with focus on male office workers in their thir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The guide of tailor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for 2009. Seoul: MHWFA.
Pich, J., Hazelton, M., Sundin, D., & Kable, A. (2010). Patient-related violence against emergency department nurses. Nursing & Health Science, 12(2), 268-274.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0.00525.x
Roche, M., Diers, D., Duffield, C., & Catling-Paull, C. (2010). Violence toward nurses, the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1), 13-22.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9.01321.x
Rodriguez-Acosta, R. L., Myers, D. J., Richardson, D. B., Lipscomb, H. J., Chen, J. C., & Dement, J. M. (2010). Physical assault among nursing staff employed in acute care. Work, 35(2), 191-200. http://dx.doi.org/ 10.3233/WOR-2010-0971
Yun, J. S. (2004).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violence experience by E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Zampieron, A., Galeazzo, M., Turra, S., & Buja, A. (2010). Perceived aggression towards nurses: Study in two Italian health institution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 2329-2341.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9.03118.x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