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의 특성과 예방대책
Violence Victimization of Visiting Nurses and Prevention Strategies Adopted by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4 no.3, 2017년, pp.243 - 254  

김희걸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남혜경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reveal violence victimization of visiting nurses and investigate the coping and prevention strategies adopted by public institution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over three weeks in 2017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237 visiting nurses. Data were collected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방문간호사의 폭력 피해 경험을 조사하는데 있어서 폭력 유형뿐만 아니라 폭력 발생 원인과 가해자의 특성 등 전반적인 폭력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대상자의 폭력위험성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 및 효과적인 폭력 대응훈련 프로그램 개발 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조직차원의 예방대책 운영실태와 효율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것으로, 추후 기관의 효율적인 예방대책 수립 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본 연구는 방문간호사가 경험한 폭력 피해 실태와 폭력에​​​​​​ 대한 대처양상 및 기관의 예방대책 등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방문간호사의 폭력 피해 경험과 폭력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폭력에 대한 대처 및 예방대책을 파악하여, 방문간호사의 안전한 업무 환경 조성을 위한 폭력 예방 및 관리체계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방문간호사들이 업무와 관련되어 경험한 폭력 유형 및 폭력발생요인 등 폭력특성과 방문간호사와 기관의 폭력대처양상, 그리고 기관의 폭력예방대책 운영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지난 1년간 273명의 방문간호사 중에서 177명(74.
  • 본 연구에서는 기관차원에서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폭력예방대책과 그 대책의 효율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기관에서 폭력예방대책이 운영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폭력 피해 예방 및 관리체계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것은 폭력의 원인 등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폭력 발생 원인과 가해자의 특성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폭력 발생 원인 중 가장 많이 지적한 것이 가해자가 사회적, 경제적 불만을 방문간호사에게 화풀이 하는 것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방문간호사가 방문간호업무와 관련하여 경험하는 폭력의 특성을 파악하고 폭력에 대한 대처양상 및 예방대책을 파악하여, 방문간호사의 안전한 업무 환경 조성을 위한 효율적인 폭력예방 및 관리체계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방문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의 유형뿐만 아니라 폭력 발생 원인과 가해자의 특성 등이 포함된 폭력 피해 실태를 파악하고, 폭력에 대한 개인과 기관의 대처양상 및 기관차원에서의 예방대책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가 업무 수행 중에 당하는 폭력은? 간호사는 업무 수행 중에 간호대상자나 보호자로부터 반말이나 욕설, 또는 협박을 당하고, 기분 나쁘게 어깨를 밀치거나 할퀴는 등의 언어적, 신체적 폭력을 당할 뿐만 아니라(Bae & Lee, 2015; Kang & Park, 2015), 성적인 농담이나 외모를 성적으로 비유하는 등의 성적 폭력을 당하게 된다(Lee, Lee, Kang, & Park, 2012; Park, Yoo, Kong, & Jang, 2016). 이러한 폭력을 당하게 되면 심리적으로 큰 충격을 받게 되어 불안, 공포, 수치심, 분노, 좌절, 무력감, 우울 등의 정서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Hwang, Park, & Park, 2015; Kang & Park, 2015; Kim, 2008; Kim & Kim, 2004), 이러한 정서적 스트레스가 해결되지 않으면 폭력에 대한 대처능력이 떨어져 폭력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간호사의 폭력피해 심각성에 비해 폭력을 예방하거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은 미미한 실정인 이유는? 하지만 간호사의 폭력피해 심각성에 비해 폭력을 예방하거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은 미미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폭력을 당한 간호사와 관리자들이 폭력이 가져오는 문제를 함께 해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문제를 그냥 덮어버리거나 문제 발생의 책임을 간호사에게 돌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Hwang et al., 2015; Kang & Park, 2015; Kim, 2008; Kim et al.
간호사가 폭력을 당하게 되면 받는 심리적 충격은? 간호사는 업무 수행 중에 간호대상자나 보호자로부터 반말이나 욕설, 또는 협박을 당하고, 기분 나쁘게 어깨를 밀치거나 할퀴는 등의 언어적, 신체적 폭력을 당할 뿐만 아니라(Bae & Lee, 2015; Kang & Park, 2015), 성적인 농담이나 외모를 성적으로 비유하는 등의 성적 폭력을 당하게 된다(Lee, Lee, Kang, & Park, 2012; Park, Yoo, Kong, & Jang, 2016). 이러한 폭력을 당하게 되면 심리적으로 큰 충격을 받게 되어 불안, 공포, 수치심, 분노, 좌절, 무력감, 우울 등의 정서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Hwang, Park, & Park, 2015; Kang & Park, 2015; Kim, 2008; Kim & Kim, 2004), 이러한 정서적 스트레스가 해결되지 않으면 폭력에 대한 대처능력이 떨어져 폭력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심리적, 정신적 상처는 오래 지속되면서, 반복적인 회상이나 폭력 노출로 정서적 스트레스가 심각해져서 자존감이 저하되고, 대인관계가 위축되며 직무만족도가 저하된다(Hw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 Y. H., & Lee, T. W. (2015). Relationship of experience of violence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r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1(5), 489-500. 

  2. Canton, A. N., Sherman, M. F., Magda, L., A., Westra, L. J., Pearson, J. M., Raveis, V. H., & Gershon, R. R. (2009). Violence, job satisfaction, and employment intentions among home healthcare registered nurses. Home Health Nurse, 27(6), 364-373. 

  3. Choi, W. J., Cho, S. H., Cho, N. S., & Kim, G. S. (2005).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viole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6(2), 221-228. 

  4. Dan, B. (2014). Visiting nurse service and home healthcare visitation safety. Journal of Health care Protection Management, 30(2), 107-116. 

  5. Fujimoto, H., Hirata, M., Kodama, T., Greiner, C., & Hashimoto, T. (2017). Violence exposure and resulting psychological effects suffered by psychiatric visiting nurses in Japan. Journal of Psychiatric & Mental Health Nursing, 24(8), 638-647. 

  6. Hwang, Y. Y., Park, Y. H., & Park, S. H. (2015). Experience of workplace violence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5), 548-558. 

  7. Jeon, S. Y., & Ha, J. Y. (2012). Traumatic event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symptoms among emergency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1), 64-73. 

  8. Kang, M. J., & Park, I. S. (2015). Types of violence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92-104. 

  9. Kim, J. W. (2014). A study on prevention measure of violence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s on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ocial worker. Unpublished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Kim, J. W., Ko, S. J., & Shin, S. H. (2016). The effects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social support, and coping patterns on job stres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2(10), 36-45. 

  11. Kim, M. H., Kim, H. N., Shin, Y. M., Oh, H. M., & Lee, J. S. (2015). Violence experiences of community mental health nur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2), 8626-8636.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2.8626. 

  12. Kim, M. J. (2008). Kinds of workplace violence for hospital nurses and their reaction after being damaged. Unpublished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3. Kim, T. S. & Kim, J. I. (2004). Violence episodes and turnover among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0(4), 427-436. 

  14. Kingma, M. (2001). Workplace violence in the health sector: a problem of epidemic proportion.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48(3), 129-130. 

  15. Kwon, M. S., Yang, S. O., & Eom, S. O. (2015). Job performance and self confidence by visiting nurses who are engaged in the consolid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in Gangwon-provi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9(2), 190-202. 

  16. Lee, I. S., Lee, K. O., Kang, H. S., & Park, Y. H. (2012). Violent experiences and coping among home visiting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10), 66-75. 

  17. Lee, S. M., & Sung, K. M. (2017). The effects of violence coping program based on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on emergency room nurses' resilience, violence coping, nursing competency and burnou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7(3), 332-344. 

  18. Park, E. O., & Kim, J. H. (2011). The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toward nursing in hospitals in Jeju province,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2), 212-220. 

  19. Park, J. H., Yoo, K. S., Kong, E. S., & Chang, S. J. (2016). Violent experiences, responses and coping of nurs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J provinc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6(3), 869-881. 

  20. Speroni, K. G., Fitch, T., Dawson, E., Dugan, L., & Atherton, M. (2014). Incidence and cost of nurse workplace violence perpetrated by hospital patients or patient visitor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40(3), 218-228. 

  21. Zampieron, A., Galeazzo, M., Turra, S., & Buja, A. (2010). Perceived aggression towards nurses: study in two Italian health institution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15-16), 2329-2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