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과 남성노인의 우울 위험요인 비교
Gender Difference in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1, 2012년, pp.136 - 147  

김철규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박승미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egree of depression between men and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depression.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ere 263 persons over 65 years old (men: 103, women: 160).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족 관련 스트레스 9문항, 경제 관련 스트레스 5문항, 질병 관련 스트레스 3문항, 환경 관련 스트레스 3문항의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5점 Likert형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을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하부 스트레스 영역별로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4가지 세부 영역으로 구분한 스트레스 점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ee와 Kim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 본 연구는 고령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주요한 정신 건강 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우울에 대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우울의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자 시행하였으며, 우울 영향 요인은 노인의 일반적 특성, 신체적, 심리적, 가족적, 사회적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및 남성노인의 성별에 따른 우울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우울 발생을 예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 편의 표출에 의해 선택된 2개 도시에 소재한 8개의 아파트 단지 내 경로당을 방문하여 교육받은 조사원이 연구의 목적과 방법, 참여자의 익명성 보장과 연구 목적만으로 자료를 활용할 것을 설명한 후 설문조사를 구두로 수락한 노인에게 자료 수집을 시행하였다. 설문은 조사원이 문항을 읽어주고 노인이 응답하는 대로 조사지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조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20분 정도였다.
  • 근래 들어 증가하고 있는 노인 우울을 예방하기 위하여 노인의 성별에 따른 우울 관련 요인의 파악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나, 남녀 노인을 구분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탐색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일관되게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은 연령, 교육수준, 질병 유무, 건강상태, 인지기능, 수면장애, 동거형태, 사회적 지지 등을 포함하여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가족적인 요인이 노인 성별에 따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여성 및 남성노인별로 차별화된 우울 예방 중재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성별에 따른 우울의 정도를 비교하고 여성 및 남성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비교조사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여, 연령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으며,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Kim & Sohn, 2005), 여성, 사별한 경우, 수면 장애와 신체장애가 있으며(Cole & Dendukuri, 2003), 뇌졸중, 청력 및 시력손실, 심장 및 폐질환 등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고(Huang, Dong, Lu, Yue, & Liu, 2010; Huang, Zhang et al., 2010),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Huang, Zhang et al, 2010, Kaneko et al., 2007) 우울 발생이 증가하였다. 또한, 이웃이나 친구의 방문과 사회활동 참여 횟수가 적으며, 외로움을 느끼는 경우(Adams, Sanders, & Auth, 2004), 친한 친구가 없으며 가족이 자극하거나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Kaneko et al.
우울증에 대한 주요한 정신치료방법인 가족치료가 효과적이라는 근거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고혈압, 당뇨, 뇌혈관질환 등의 각종 만성질환 치료가 증가하지만(NHIC, 2010), 질병을 앓고 있는지의 여부나 질병의 개수보다는 이로 인해 노인이 느끼는 질병 스트레스가 노인 우울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다각도의 노인 만성질환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강화하고 만성질환 관리 프로그램 내에 질병으로 인한 스트레스 관리방법도 포함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남녀 노인 모두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가족지지는 Lee, Lee, Lim, Hwang과 Park (2004)이 가족지지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결과와 배우자 및 자녀의 지지가 남녀 노인 모두에게 긍정적으로 반응해서 애정과 지지의 중요한 근원임을 제시한 Lynch (1998)의 결과와도 부합한 결과였다. 반면, 남녀 노인 모두 우울군에서 독거 비율이 3-5% 정도 더 높았으나 우울 영향 요인에는 포함되지 않았고 동거유형에 따라 우울점수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사별, 배우자 유무 등과 관련이 있는 독거, 배우자와 거주, 다른 가족과의 동거 형태 보다는 가족의 지지가 우울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가족들의 격려와 지지에 의하여 우울은 경감될 수 있고 우울증에 대한 주요한 정신치료방법인 가족치료가 효과적임을 감안하여(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5) 가족이 함께 거주하고 있지 않아도 전화 및 주기적인 방문 등으로 노인에게 가족지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인의 우울 예방의 중재 내용에 자녀 및 가족 교육 등을 포함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노인에서 발생하는 우울증이 중요 건강 문제가 되는 이유는? 노인에서 발생하는 우울증은 환자에게 커다란 고통을 줄 뿐 아니라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이를 방치하면 인지기능의 장애, 치매로까지 진행할 위험성이 높고 고혈압 등 합병증을 증가시키고 자살의 원인이 되기도 하여 중요한 건강 문제가 된다. 뿐만 아니라 노인성 우울증은 노인인구의 특성상 가족이나 간병을 해야 하는 주변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끼치게 되어 많은 직간접적인 사회적 비용의 손실도 가져온다(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s, K. B., Sanders, S., & Auth, E. A. (2004). Loneliness and depression in independent living retirement communities: Risk and resilience factors. Aging and Mental Health, 8, 475-485. http://dx.doi.org/10.1080/13607860410001725054 

  2. Back, J. H., & Lee, Y. (2011).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2, e140-e144. http://dx.doi.org/10.1016/j.archger.2010.09.012 

  3. Cole, M. G., & Dendukuri, N. (2003).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mong elderly community subjec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0, 1147-1156. 

  4. Han, I. Y., & Chung, S. D. (2002). Linkage effects of new social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1(3), 145-156. 

  5. Huang, C. Q., Dong, B. R., Lu, Z. C., Yue, J. R., & Liu, Q. X. (2010). Chronic diseases and risk for depression in old age: A meta-analysis of published literature. Ageing Research Reviews, 9(2), 131-141. http://dx.doi.org/10.1016/j.arr.2009.05.005 

  6. Huang, C. Q., Zhang, X. M., Dong, B. R., Lu, Z. C., Yue, J. R., & Liu, Q. X. (2010). Health status and risk for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A meta-analysis of published literature. Age Ageing, 39, 23-30. http://dx.doi.org/10.1093/ageing/afp187 

  7. Jung, Y. M. (2007).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according to depress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1), 71-86. 

  8. Jung, Y. M., & Kim, J. H. (2004).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495-503. 

  9. Kaneko, Y., Motohashi, Y., Sasaki, H., & Yamaji, M. (2007).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related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a rural Japanese community: A crosssectional study.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3, 583-590. http://dx.doi.org/10.1007/s10597-007-9096-5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09).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older Koreans: Community-based geriatric cohort study, 2006-2007.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2, 737-741. 

  11. Kim, C. G. (2007). The relationship of family support, health perception,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in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9, 14-21. 

  12. Kim, D. B., & Sohn, E. S. (2005).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5(4), 167-187. 

  13. Kim, K. J., & Pyo, K. S. (2008). An exploration of the arousing factors and the relaxing factors on depression among the old peopl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9, 111-143. 

  14. Kwon, Y. C., & Park, J. H.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 125-135. 

  15. Lee, H. S., Kim, H. S., & Jung, Y. M. (2009).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 12-22. 

  16. Lee, I. J. (2007). Sex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6, 159-179. 

  17. Lee, K. J., & Park, H. S. (2006). A stud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in urban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2, 221-230. 

  18. Lee, P. S., Lee, Y. M., Lim, J. Y., Hwang, R. I., & Park, E. Y. (2004). The relationship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477-484. 

  19. Lee, S. S., & Lee, K. J. (2002). The stress,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2(1), 1-20. 

  20. Lee, S. Y. (2010). The effects of health behavior-related characteristics, selfestee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amily support on depression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 489-501. 

  21. Lee, Y. J., & Kim, T. H. (1999). A study on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stress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3), 79-93. 

  22. Lynch, S. A. (1998). Who supports whom? How age and gender affect the perceived quality of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Gerontologist, 38, 231-238. 

  23. Moon, M. J. (2010).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542-550. http://dx.doi.org/10.4040/jkan.2010.40.4.542 

  24.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9, June 24). Depressed patients in elderly increasing continuously. Retrieved January 26, 2011, http://www.nhic.or.kr/portal/site/main/menuitem.31f14893bf4f6c38b31148b4062310a0/ 

  25.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0, November 8). Medical cost of elderly in the first half of 2010. Retrieved January 26, 2011, from http://www.nhic.or.kr/portal/site/main/menuitem.31f14893bf4f6c38b31148b4062310a0/ 

  26.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563-572. 

  27. Oh, K. O., Sung, E. O., & Gang, M. H. (2006).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in elderly resid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 459-466. 

  28. Park, Y. H., & Kang, H. S.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isolation in older adults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712-719. http://dx.doi.org/10.4040/jkan.2008.38.5.712 

  29. Song, M. S. (1991). Construction of a functional status prediction model for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0.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5). Textbook of geriatric medicine (2nd ed.). Seoul: Medical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