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참여영역과 성별에 따른 독거노인의 우울감
Living-Alone Older Adults' Depressive Symptoms According to Social Participation and Gend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2, 2021년, pp.607 - 620  

이승현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이규호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 7차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924명(남=157, 여=767)의 자료를 회귀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참여활동의 종류에 따라 우울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며, 그 효과에 성별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남성독거노인은 동창회, 향우회, 종친회 등에 참여할수록, 여성독거노인은 친목모임, 여가, 문화, 스포츠 관련 단체에 참여할수록 우울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과는 사회참여활동을 통해 독거노인의 우울을 낮추는 프로그램과 서비스에서 활동을 구체적으로 세분하고 성별을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urrent study, the effects of living-alone older adults' social participation on their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Data of 924 older adults from the Aging Research Panel Survey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older adults' social participation on depressive symptom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녀 독거노인의 유형별 사회활동의 참여 유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과 동시에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2018년 제7차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를 활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남성 독거노인 157명, 여성 독거노인 767명, 총 924명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 이는 각 연구의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동시에, 사회참여 활동을 어떻게 정의하고 측정하였는지에 따라 차이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8 년도 고령화 연구 패널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각 사회참여 활동 별로(종교 모임, 친목모임, 여가/문화/스포츠 관련 단체, 동창회/향우회/종친회) 참여 빈도는 어떠하고, 이 활동들이 독거노인의 우울과의 관계에 있어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성별을 나눠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문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5)

  1. 정숙정, "노인의 경제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소득, 주관적 계층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74권, 제1호, pp.115-139, 2019. 

  2. 조윤득, 윤은경, "독거노인의 우울 불안감과 사회참여와의 관계에 미치는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70호, pp.223-244, 2015. 

  3. 정순둘, 구미정, "우울 영향요인 :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52호, pp.305-324, 2011. 

  4. 강현욱, 박경민, "도시와 농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129-143, 2012. 

  5. Thomas A. Glass, Carlos F. Mendes De Leon, Shari S. Bassuk, and Lisa F. Berkman,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r life longitudinal finding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18, No.4, pp.604-628, 2006. 

  6. D. Julien, L. Gauvin. L. Richard. Y. Kestens, and H. Payette, "The role of social participation and walking i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VoisiNuAge Study," Canadian Journal on Aging, Vol.32, No.1, pp.1-12, 2013. 

  7. 강민연, 김춘경, "노인의 자원봉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K시 노인종합사회복지관 노인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한국노년학, 제30권, 제4호, pp.1409-1427, 2010. 

  8. 조추용,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6권, 제1호, pp.7-34, 2003. 

  9.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Vol.37, No.4, pp.433-440, 1997. 

  10. http://www.mohw.go.kr/~paper.html 

  11. 이은진, 배숙경, 엄태영, "독거노인 자살시도에 대한 우울과 여가활동 참여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615-628, 2010. 

  12. 서인균, 조혜정, "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제61호, pp.135-163, 2013. 

  13. 장덕희, 이경은, "독거노인의 유사가족 관계와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6호, pp.229-254, 2013. 

  14. 이정은, "노인의 독거여부와 사회참여활동수준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융합회 전국학술대회, 제2019권, 제4호, pp.127-139, 2019. 

  15. A. Hawton, C. Green. A. Dickens, S. Richards, R. Taylor. R. Edwards, and J. Campbell, "The impact of social isolation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lder people," Quality of Life Research, Vol.20, No.1, pp.57-67, 2011. 

  16. A. Steptoe, A. Shankar, P. Demakakos, and J. Wardle, "Social isolation, loneliness, and all-cause mortality in older men and wome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ol.110, No.15, pp.5797-5801, 2013. 

  17. 석재은, 장은진,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2호, pp.321-349, 2016. 

  18. D. Russell and J. Taylor, "Living Alone and Depressive Symptoms: The Influence of Gender, Physical Disability, and Social Support Among Hispanic and Non-Hispanic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Social Sciences, Vol.64B, No.1, pp.95-104, 2009. 

  19. 김동배, 김상범, 신수민, "무배우자 노인의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289-303, 2012. 

  20. 김예성, "독거노인의 생산적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저소득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복지연구, 제35권, 제4호, pp.344-374, 2015. 

  21. 김은경, "취약계층 노인의 성별 우울관련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3호, pp.169-179, 2014. 

  22. R. L. Leav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order : A review,"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11, No.1, pp.3-21, 1983. 

  23. T. C. Antonucci and H. Akiyama, "An Examination of Sex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mong Older Men and Women," Sex Roles, Vol.17, pp.737-749, 1987. 

  24.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제24권, 제3호, pp.13-29, 2004. 

  25. 최연희, 김수현, "재가 노인의 우울에 따른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제28권, 제2호, pp.345-355, 2008. 

  26. 남기민, 정은경,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2권, pp.325-348, 2011. 

  27. 김철규, 박승미,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과 남성 노인의 우울 위험요인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제42권, 제1호, pp.136-147, 2012. 

  28. L. I. Peralin. J. T. Menaghan, M. A. Lieberman, and J. T. Mullan, "The stress proc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2, No.4, pp.337-356, 1981. 

  29. L. I. Pearlin, J. T. Mullan, S. J. Semple, and M. M. Skaff,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The Gerontologist, Vol.30, No.5, pp.583-594, 1990. 

  30. 남석인, 서지혜, 정예은, 채주석, "노년기 삶의 의미와 우울,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74권, 제2호, pp.163-192, 2019. 

  31. 이신숙, 김성희, "농어촌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연구, 제11권, 제1호, pp.23-60, 2011. 

  32. 김주희, 정영미, "독거노인의 건강실태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4권, 제1호, pp.16-26, 2002. 

  33. 김영주,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333-344, 2009. 

  34. 김희영, 정봉교,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2권, 제4호, pp.183-204, 2016. 

  35. 장미희, 김윤희,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33-42, 2005. 

  36. A. Fiske, J. L. Wetherell, and M. Gatz, "Depression in old adults,"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Vol.5, pp.363-389, 2009. 

  37. H. Maier, P. L. Klumb, 김명일, 신혜리, "노인의 우울과 자살 생각 간 관계에서 사회참여와 과거 노후준비가 가지는 조절 효과 서울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14권, 제4호, pp.185-201, 2013. 

  38. 김동배, 김상범, 신수민, "무배우자 노인의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289-303, 2012. 

  39. 박경혜, 이윤환, "노인의 사회활동이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6권, 제2호, pp.275-289, 2006. 

  40. 오승환, "노인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소도시.농촌.어촌지역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3호, pp.209-231, 2007. 

  41. J. N. Cummings, B. Butler, and R. Kraut, "The quality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47, No.7, pp.103-108, 2002. 

  42. K. I. Hunter and M. W. Linn, "Psychosocial differences between elderly volunteers and non-volunte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12, No.3, pp.205-213, 1981. 

  43. 김수현, 강현정, 김윤정, "농어촌 여성독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22권, 제4호, pp.35-66, 2008. 

  44. 서순림, 강영실, 구미옥, 권윤정, 김수현, 김태임, 박영숙, 석소현, 성기월, 송준아, 신동수, 신성례, 오진주, 이지현, 정향미, 노인건강증진, 서울: 현문사, 2006. 

  45. 이묘숙,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 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정신,"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3호, pp.231-259, 2012. 

  46. 이근홍, "노인의 사회참여와 자원봉사," 노인복지연구, 제12권, pp.7-24, 2001. 

  47. 배진희, "고령노인의 일상생활기능저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활동 참여와 노인학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353-368, 2009. 

  48. 권현수,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8권, 제5호, pp.995-1008, 2009. 

  49. A. T. Peggy and N. H. Lyndi, "Volunteer work and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2, No.2, pp.115-131, 2001. 

  50. N. Kondo, M. Kazama, K. Suzuki, and Z. Yamagata, "Impact of mental health on daily living activities of Japaneses elderly," Preventive Medicine, Vol.46, No.5, pp.457-462, 2008. 

  51. L. Yunqing and K. Ferraro. "Volunteering and Depression in Later Life: Social Benefit or Selection Proc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6, No.1, pp.68-84, 2005. 

  52. E. Idler and S. Kasl, "Religion among Disabled and Nondisabled Persons II: Attendance at Religious Services as a Predictor of the Course of Disabilit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 Series B, Vol.52B, No.6, pp.306-316, 1997. 

  53. 이종경, 이은주,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스트레스 및 자살 생각 감소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제34권, 제3호, pp.17-26, 2010. 

  54. 이은석, 이선장, "농촌지역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 생각에 있어서 신체적 여가활동의 완충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제22권, 제2호, pp.35-54, 2009. 

  55. 김희숙, 노인의 사회참여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인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성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6. M. Buschmann and L. Hollinger,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control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Clinical Gerontologist, Vol.14, No.4, pp.13-28, 1994. 

  57. 이인정,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6호, pp.159-179, 2007. 

  58. 신상진, 조영태, "사회적 자본과 자살충동. 보건교육. 건강 증진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5-49, 2007. 

  59. 최신애, 하규수,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 중증만성질환자 돌봄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65-279, 2012. 

  60. 서경현, 김영숙,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지원과 정신건강에 관한 탐색," 노인복지연구, 제21권, pp.7-26, 2003. 

  61. 남일성, "노인 독거와 자살생각 경로분석 사회참여와 좌절된 소속감의 간접효과 설명,"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2호, pp.211-266, 2018. 

  62. 주경희, "사회참여노인의 호라동수준과 삶의 질 : 성별과 연령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9호, pp.231-264, 2011. 

  63. 양순미, 홍성례, 강경하, "농촌노인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할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제2014호, pp.89-96, 2004. 

  64. 조용하, 여성노인의 사회활동과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65. 김여진, 임연옥, "한국 노인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차이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지, 제15권, 제9호, pp.195-209, 2015. 

  66. 강현정,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활동과 삶의 만족도,"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1권, pp.1-26, 2009. 

  67. 김은정, 민주홍, "독거여부가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8권, 제4호, pp.97-109, 2020. 

  68. https://survey.keis.or.kr/klosa/klosa01.jsp/~paper.html 

  69. L. S. Radloff,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pp.385-401, 1977. 

  70. 김진훈, "노인의 사회적관계 요인이 우울 궤적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138-148, 2019. 

  71. 채미선, 이정화, "사회적 배제가 농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확학회지, 제29권, 제4호, pp.553-569, 2018. 

  72. 박경순, 박영란, 손덕순, "사회적 연결감과 우울의 관계 :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667-677, 2020. 

  73. 김수진, 김미혜, 김신혜, "농촌노인의 건강정보이해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제75권, 제1호, pp.159-181, 2020. 

  74. 최성수, 이가람, 이성민, "사회적 연결망과 은퇴경험이 한국 중고령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8권, 제2호, pp.291-307, 2008. 

  75. 이지현, 한경혜, "예비노인의 친구관계망 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2호, pp.170-205, 201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