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환자와 배우자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their Spouses 원문보기

Asian Oncology Nursing, v.12 no.1, 2012년, pp.20 - 26  

차경숙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감염관리실) ,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조옥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in breast cancer patients and their spouses. Methods: The stress level was measured by the Stress Questionnaire of Andersson & Albertsson (2000). The coping strategies were measured by the modified Lazarus & Fol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 부부를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와 배우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짝짓기 방법을 이용하여 유방암 환자와 배우자의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하부영역 중 신체적 영역과 정신사회적 영역 모두 유방암 환자와 배우자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군 간 스트레스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는 짝짓기 방법을 이용하여 유방암 환자와 배우자의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을 파악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여 유방암 환자와 배우자의 대처 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중심 대처는 언제 주로 사용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했을 때 개인이 행하는 대처 능력은 크게 문제중심 대처와 정서중심 대처로 분류할 수 있다. 문제중심 대처는 개인이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인식할 때 주로 사용되며, 사람과 환경 그 자체를 바꾸려는 방법이고, 정서중심 대처는 상황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적다고 인식할 때 주로 사용되는 대처로 정서적 고통을 조절하여 삶과 환경의 관계에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대처 방법이다. 이러한 대처는 유형에 따라 신체적, 정신적 증상에 영향을 미치므로8) 환자와 배우자가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파악하여 변화된 현실에 좀 더 긍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가족사건에서 부부관계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암 발병 자체는 ‘가족사건(family affair)’으로 가족에게 심각한 심리사회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3) 과거의 가부장적 가족구조와는 다르게 부부 중심의 핵가족화는 부부 관계를 우애적 관계로 변화시켜 부부 간의 친밀감과 만족도를 추구하게 하였다. 따라서 부부 관계의 정서적 안정과 원활한 기능은 가족의 안녕을 도모하지만 만족스럽지 못한 부부 관계는 전체 가족의 적응능력과 기능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개인의 심리적 안녕까지도 위협하게 된다.
유방암 환자는 어떤 어려움을 겪게 되는가? 6%로 오랜 기간 투병하여야 하는 만성질환이며, 발병연령이 점차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투병이 장기화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1) 유방암 환자는 신체적 기능저하와 더불어 자존감 저하, 우울, 불안, 재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 등 정서적 고통을 겪게 되며,2) 이러한 문제는 스트레스 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09. Seoul: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2. Lee KJ, Song YS, Cho JK, Jun HK. Development of self-efficacy enhancing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breast cancer patients-with Emphasis on psychosocial perspective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7;16:456-68. 

  3. Ben-Zur H, Gilbar O, Lev S. Coping with breast cancer: patient, spouse, and dyad models. Psychosom Med 2001;63:32-9. 

  4. Petrie W, Logan J, DeGrasse C. Research review of the supportive care needs of spouse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Oncol Nurs Forum 2001;28:1601-7. 

  5. Northhouse LL, Templin T, Mood D, Oberst M. Couples' adjustment to breast cancer and benign breast disease: a longitudinal analysis. Psychooncology 1998;7:37-48. 

  6. Kilpatrick MG, Kristjanson LJ, Tataryn DJ, Fraser VH. Information needs of husband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Oncol Nurs Forum 1998;25:1595-601. 

  7. Felton BJ, Revenson TA, Hinrichsen GA. Stress and coping in the explanation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chronically ill adults. Soc Sci Med 1984;18:889-98. 

  8.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Springer; 1984. 

  9. Gang GS. Effects of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the Perceived Stress, Way of Coping, and Response in Breast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Gwangju:Chonnam National Univ.;2007. 

  10. Kim HS. Correlation between stress, coping patterns and physical symptom of cancer patient's caregiver. J Korean Acad Adult Nurs 2001;13:317-26. 

  11. Shin GY, Kim MJ. Factors Influencing stress appraisal of cancer patients' primary caregiver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2;14:125-34. 

  12. Yang YH. The relationship of caregiving stress, coping methods, social support and health of the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according to the phases of cancer illness. J Korean Acad Adult Nurs 1998;10:435-45. 

  13. Kim HS. The comparison of the stress and coping methods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J Korean Acad Nurs 2003;33:538-43. 

  14. Andersson SI, Albertsson M. Stress and situationally related coping in cancer out-patients and their spouses. Stress Health 2000;16:209-17. 

  15. Park JY. A study on self management, hemoglobin A1c (HbA1c),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or the type II diabetes patients. J Korean Biol Nurs Sci 2010;12:106-13. 

  16. Han GH, Lee JH, Ryff C. Marks N, Ok SW, Cha S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3;41:213-29. 

  17. Park JH, Yom YH, Lee K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health of elders in welfare centers for senior citizen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9;16:264-71. 

  18. Shin BJ.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in older adults staying at home [dissertation]. Seoul:Chungang Univ.;2007. 

  19. Kang YH, Kim MY, Lee E.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 status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J Korean Acad Nurs 2008;38:122-30. 

  20. Mouridson HT, Palshof T. Principles and indications of endocrine treatment of advanced breast cancer. Recent Results Cancer Res 1980;71:112-7. 

  21. Kim JN. Efficacy of an integrated group psycho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and immune function in brest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2007. 

  22. Ruddy KJ, Gelber S, Ginsburg ES, Schapira L, Abusief ME, Meyer ME, et al. Menopausal symptoms and fertility concerns in premenopausal breast cancer survivors: a comparison to age-and gravidity-matched controls. Menopause 2011;18:105-8. 

  23. Strickler R, Stovall DW, Merritt D, Shen W, Wongf M, Silfen SL. Raloxifene and estrogen effects on quality of life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Obstet Gynecol 2000;96:359-65. 

  24. Folkman S, Lazarus RS, Dunkel-Schetter C, DeLongis A, Gruen RJ. Dynamic of a stressful encounter: Cognitive appraisal, coping, and encounter outcomes. J Pers Soc Psychol 1986;50:992-1003. 

  25. Fawzy NW. A psychoeducational nursing intervention to enhance coping and affective state in newly diagnosed malignant melanoma patients. Cancer Nurs 1995;18:427-36. 

  26. Krause K. Coping with cancer. West J Nurs Res 1993;15:31-43. 

  27. Lavery JF. Clarke VA. Causal attributions, coping strategies, and adjustment to breast cancer. Cancer Nurs 1996;19:20-8. 

  28. Mallinger JB, Griggs JJ, Shields CG. Family communication and mental health after breast cancer. Eur J Cancer Care 2006;15:355-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