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양병동 간호사의 소진 체험
The Lived Experience of the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Oncology Wards 원문보기

Asian Oncology Nursing, v.12 no.1, 2012년, pp.100 - 109  

이영숙 (경주대학교 간호대학) ,  태영숙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nature of experiences of the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oncology wards. Methods: The hermeneutic phenomenology developed by van-Manen was used. The period for data collection was from November, 2006 to May, 2007. This study took place i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양병동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어떤것들이 있나? 종양병동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살펴보면 잦은 환자의 사망, 암 환자의 고통스러워하는 모습, 가족들의 고통, 죽음에 직면한 환자 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항암제 노출에 대한 불안감 증대, 암 환자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빠른 전문 지식의 습득 등이다.4) 이러한 스트레스가 만성적인 상태가 되면 소진을 경험하게 되며, 이것은 절망감, 무력감을 가져오며 일상생활에서 능력을 상실하여 근무태만이나 이직을 초래한다.
종양병동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만성적인 상태가 되면 어떻게 되는가? 종양병동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살펴보면 잦은 환자의 사망, 암 환자의 고통스러워하는 모습, 가족들의 고통, 죽음에 직면한 환자 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항암제 노출에 대한 불안감 증대, 암 환자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빠른 전문 지식의 습득 등이다.4) 이러한 스트레스가 만성적인 상태가 되면 소진을 경험하게 되며, 이것은 절망감, 무력감을 가져오며 일상생활에서 능력을 상실하여 근무태만이나 이직을 초래한다.5)
소진에 대한 연구 경향은 어떠한가? 소진에 대한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주로 양적 연구들로서, 생명에 위협을 주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병동인 중환자실, 인공신장실, 종양병동, 정신과병동, 노인전문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8-12) 들이 많았다. 이들 연구들은 주로 업무 효율성 증대와 간호사 개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대처유형, 영적특성과 소진과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들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Available at: http://www.cancer.go.kr/cms/statics/incidence/index.html [accessed on 10 January 2012]. 

  2. Fairbrither CA, Paice JA. Life's final journey: the oncology nurse's role. Oncol Nurs Forum 2005;9:575-9. 

  3. Kim YR. A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oncology nurse [dissertation]. Gwangju:Chonnam National Univ.;2007 

  4. Barnard D, Street A, Love AW. Relationships between stressors, work supports, and burnout among cancer nurses. Cancer Nurs 2006;29:338-45. 

  5. Quattrin R, Zanini A, Nascig E, Annunziata M, Calligaris L, Brusaferro S. Level of burnout among nurses working in oncology in Italian region. Oncol Nurs Forum 2006;33:815-20. 

  6. Kim HS. Comparative study regarding health condition and work stress of nurses working in cancer ward and general ward. J Korean Oncol Nurs 2001;1:191-203. 

  7. Medland J, Howard-Ruben J, Whitaker E. Fostering psychosocial wellness in oncology nurses: addressing burnout and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Oncol Nurs Forum 2004;31:47-54. 

  8. Jeong SH. Burnout in dialysis nurses: a comparison to nurses on the general medical ward [dissertation]. Seoul:Kyunghee Univ.;2002. 

  9. Lim DS, Cho BH. The study on stress, hardiness, and professional burnou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7; 14(1):120-7. 

  10. Park JU.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psychiatric nurse [dissertation]. Seoul:Ewha Womans Univ.;2007. 

  11. Hwang JY.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geriatric specialist hospitals [dissertation]. Seoul:Kyunggi Univ.;2003. 

  12. Seo MJ. Burnout and coping type of oncology nurse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2000. 

  13. Park HS, Hwang HN. Burnout of intensive care unit. Korean J Nurs 2003; 42(4);56-82. 

  14. van Manen M.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New York:Sunny Publishers;1997. 

  15. Morse JM, Field PA.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als 2nd ed. California:Sage Publishers;1995. 

  16. Lincoln YS, Guba EG. Effective evaluation, 4th ed.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1985. 

  17. Shin MH, Shin SR. Predictors of burnout among oncology nurses. J Korean Oncol Nurs 2003;3(1):75-84. 

  18. Grunfeld E, Whelan T, Zitzelsberger L, Willan A, Montesanto B, Evans W. Cancer care workers in Ontrio: prevalance of burnou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CMAJ 2000;163:166-9. 

  19. Vachon MLS. The nurses' role: the world of palliative care nursing. In: Ferrell BR, Coyle N, editors.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2001.p.647-62. 

  20. Park MS, Yoo YS. Burde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8(1):8-17. 

  21. Boyle D. Pathos in practice: exploring the effective domain of oncology nursing. Oncol Nurs Forum 2000;27:915-9. 

  22. Kim MJ, Gu MO.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J Korean Acad Nurs 1984;14(2):28-37. 

  23. Park JJ. The study on the job stress and the satisfaction of cancer unit nurses [dissertation]. Seoul:Hanyang Univ.;2006. 

  24. Park SY. The effect of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VCT) on nurses' professional self-concept, job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J Kyung Pook Nurs Science 2004;8:31-42. 

  25. Noh CH, Sohng KY. Survey on the relationship self-esteem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1997;4(1):61-71. 

  26. Hinds PS, Quargnenti AG, Hickey SS, Mangum GH. A comparision of the stress-response sequence in new and experienced pediatric oncology nurses. Cancer Nurs 1994;17:61-71. 

  27. Cummings GG, Olson K, Hayduck L, Bakker D, Fitch M, Green E. The relatiponship between nursing leadership and nurses' job satisfaction in Canadian oncology work environments. J Nurs Manag 2008;16:508-18. 

  28. Gifford BD, Zammuto RF, Goodman EA.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unit culture and nurses' quality of work life. J Health Manag 2002;47(1):13-25. 

  29. Lee SM.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factors o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Korean J Nurs 1994;25(4):25-9. 

  30. Lee HJ. Comparative study regarding job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operative ward and general ward [dissertation]. Jeonju: Chonbuk National Univ.;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