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의 도입을 통한 창의.인성 교육 가능성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on Socioscientific Issues as an Instructional Tool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1, 2012년, pp.113 - 128  

양정은 (방학중학교) ,  김현정 (이화여자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김은진 (이화여자대학교) ,  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 인성 교육의 한 방안으로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윤리적 문제(SSI)의 도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30명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들과 개별 면담을 진행하여, 그들의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과 SSI를 통한 창의 인성 교육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 교사들이 생각하는 창의성과 인성의 관계, 그리고 SSI를 통한 창의 인성교육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크게 4가지 유형(A-D 유형)으로 나뉘었다. A 유형의 교사들은 창의성과 인성의 여러 요소들을 폭넓게 이해하고 있었으며, 두 개념이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들은 SSI를 통한 창의 인성교육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도 매우 긍정적이었다. B 유형의 교사들도 창의성과 인성의 요소들을 폭넓게 이해하고 있었으나, 두 개념이 서로 부적 상관관계에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SSI의 도입이 창의성과 인성을 동시에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겠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C 유형의 교사들은 창의성과 인성은 서로 상관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창의성의 경우 여러 하위 요소들을 모두 언급하였지만 인성의 경우는 인간관계덕목에 한정하여 이해하고 있었다. 이들은 SSI의 도입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취했으나, 그 효과에 있어서도 인성판단력 등 인성 요소 함양은 고려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D 유형의 교사들도 창의성과 인성이 서로 상관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창의성과 인성을 모두 좁은 의미로 이해하고 있어 SSI를 통한 창의성 및 인성의 신장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이 SSI를 활용한 창의 인성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이는 그들의 인식하고 있는 창의 인성 개념과 관련됨을 밝혔다. 따라서 SSI 도입을 통한 창의 인성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창의성과 인성에 대한 개념을 현재 그리고 미래 과학기술 사회에서 요구되는 더 넓은 창의 인성으로 재개념화 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o what extent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ived socioscientific issues (SSI)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tool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CreActer) education; which was recently announced as a main goal for the Korean National Science Curriculum 2009. The guiding research q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어떤 문제가 지속되는가? 특히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간 존엄성에 대한 위협,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한 피해, 환경오염의 실태, 에너지 고갈로 인한 심각성과 같은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면서 과학 수업에서 윤리적 문제(SSI)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Choi 등(2011)은 21세기 글로벌 시민이 갖추어야 할 과학적 소양을 다섯 개의 차원으로 정의하였는데, 그 중 하나로‘인성과 가치관’(Character & Values)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30명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들과 개별 면담을 진행하여, 그들의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과 SSI를 통한 창의 인성 교육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기 위하여 조사 분석 한 결과는? 이에,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30명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들과 개별 면담을 진행하여, 그들의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과 SSI를 통한 창의 인성 교육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 교사들이 생각하는 창의성과 인성의 관계, 그리고 SSI를 통한 창의 인성교육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크게 4가지 유형(A-D 유형)으로 나뉘었다. A 유형의 교사들은 창의성과 인성의 여러 요소들을 폭넓게 이해하고 있었으며, 두 개념이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들은 SSI를 통한 창의 인성교육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도 매우 긍정적이었다. B 유형의 교사들도 창의성과 인성의 요소들을 폭넓게 이해하고 있었으나, 두 개념이 서로 부적 상관관계에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SSI의 도입이 창의성과 인성을 동시에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겠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C 유형의 교사들은 창의성과 인성은 서로 상관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창의성의 경우 여러 하위 요소들을 모두 언급하였지만 인성의 경우는 인간관계덕목에 한정하여 이해하고 있었다. 이들은 SSI의 도입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취했으나, 그 효과에 있어서도 인성판단력 등 인성 요소 함양은 고려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D 유형의 교사들도 창의성과 인성이 서로 상관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창의성과 인성을 모두 좁은 의미로 이해하고 있어 SSI를 통한 창의성 및 인성의 신장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이 SSI를 활용한 창의 인성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이는 그들의 인식하고 있는 창의 인성 개념과 관련됨을 밝혔다. 따라서 SSI 도입을 통한 창의 인성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창의성과 인성에 대한 개념을 현재 그리고 미래 과학기술 사회에서 요구되는 더 넓은 창의 인성으로 재개념화 할 필요가 있겠다.
창의∙인성 교육이란 무엇인가? 최근 교육과학기술부(2010)는 창의∙융합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과 인성을 갖춘 21세기 글로벌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창의∙인성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창의∙인성 교육은 창의성 교육과 인성 교육의 독자적인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두 영역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올바른 인성과 도덕적 판단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의미한다(문용린, 2009). 과학교과에서 창의성 교육은 주요 연구 분야로서 자리 잡아 이를 함양하기 위한 논의가 오랫동안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교육과학기술부(2010).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평가방법 개선. 교육과학기술부. 

  2. 문용린(2009).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3. 조강모(2010). 인성 교육과 도덕과 교육의 관계 설정. 초등도덕교육, 33, 5-32. 

  4. 최준환, 박춘성, 연경남, 민영경, 이은아, 정원선, 서지연, 차대길, 허준영, 임청묵(2009). 인성교육 문제점 및 창의 인성 교육의 이론적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9(2), 89-112. 

  5. Albe, V. (2008). When scientific knowledge, daily life experience, epistemological and social considerations intersect: Students' argumentation in group discussion on a socio-scientific issu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 67-90. 

  6. Bryan, L. A. & Atwater, M. M. (2002). Teacher beliefs and cultural models: A challenge 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Science Education, 86, 821-839. 

  7. Chang, H., & Lee, H. (2010). College students'decision-making tendencies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SSI).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in Science Education, 30(7), 887-900. 

  8. Choi, K., Lee, H., Shin, N., Kim, S., &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9. Dawson, V. M., & Venville, G. (2010). Teaching strategies for developing students' argumentation skills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in high school genetic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0, 133-148. 

  10. Dori, Y. J., Tal, R. T. & Tsaushu, M. (2003). Teaching biotechnology through case studies: Can we improve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of nonscience majors? Science Education, 87(6), 767-793. 

  11. Fowler, S. R., Zeidler, D. L., & Sadler, T. D. (2009). Moral Sensitivity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2), 279-296. 

  12. Haney, J. J., Czerniak, C. M., & Lumpe, A. T. (1996). Teacher beliefs and intention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science education reform strand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971-993. 

  13. Hogan, K. (2002). Small groups' ecological reasoning while making an environmental management decis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4), 341-368. 

  14. King, K., Shumow, L., & Lietz, S. (2001). Science education in an urban elementary school: Case studies of teacher beliefs and classroom practices. Science Education, 85, 89-110. 

  15. Lee, H., & Chang, H. (2010). Exploration of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of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SSI).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in Science Education, 30(3), 353-365. 

  16. Lee, M., & Erdogan, I. (2007). The effect of science-technology-society teaching on students'attitudes toward science and certain aspects of crea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 1315-1327. 

  17. Lee, H., Chang, H., Choi, K., Kim, S., & Zeidler, D. L. (in press). Develop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 Melville, W., Yaxley, B., & Wallace, J. (2007). Virtues, teacher professional expertise, and socioscientific issues. Canad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2, 95-109. 

  19. Mueller, M. P., & Zeidler, D. L. (2010). Moral-ethical character and science education: Ecojustice ethics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SSI). In D. Tippins, M. Mueller, M. van Eijck & J. Adams (Eds.), Cultural studies and environmentalism: The confluence of ecojustice, place-based (science) education, and indigenous knowledge systems (pp. 105-128). New York: Springer. 

  20. Patronis, T., Potari, D., & Spiliotopoulou, V. (1999). Students' argumentation in decision-making on a socio-scientific issue: Implications for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7), 745-754. 

  21. Pedretti, E. (1999). Decision making and STS education: Exploring scientific knowledge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schools and science centers through an issues-based approach.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9, 174-181. 

  22.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The significance of content knowledge for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Applying genetics knowledge to genetic engineering issues. Science Education, 89, 71-93. 

  23. Sadler, T. D. (2004). Moral sensitivity and its contribution to the resolution of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Moral Education, 33(3), 339-357. 

  24. Tal, R. T., & Kedmi, Y. (2006).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Classroom culture and students'performances.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1(4), 615-644, 

  25. Tal, R. T., & Hochberg, N. (2003). Reasoning, problem-solving and reflections: Participating in WISE project in Israel.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14, 3-19. 

  26. Tobin, K., & LaMaster, S. U. (1995). Relationships between metaphors, beliefs, and actions in a context of science curriculum chan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 225-242. 

  27. Zeidler, D. L., & Nichols, B. H. (2009). Socioscientific issues: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1(2), 49-58. 

  28.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 357-377. 

  29.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