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Development of a Theoretical Model for STEAM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2, 2012년, pp.388 - 401  

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  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  우애자 (이화여자대학교) ,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미래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도입된 융합인재교육(STEAM 융합 교육)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융합인재교육의 방향성을 구체화하며, 교사들이 현장에서 융합인재교육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Ewha-STEAM 융합모형을 소개하였다. Ewha-STEAM 융합모형은 미래 융합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 지식과 핵심 역량을 도출하여 융합인재교육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핵심 지식이란 창의 융합형 인재가 갖추어야 하는 기본 지식을 의미하며, 여러 학문을 연계하는 교과기반 통합 개념과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학문을 융합하기 위해 요구되는 각 학문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같은 소양 지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핵심 역량이란 창의 융합형 인재가 갖추어야 하는 기본 역량으로, 각 교과를 기반으로 하되 여러 학문 영역에 전이되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과기반 통합 역량과 미래 사회에서 새로움을 창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나가기 위해 요구되는 창의 인성 역량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거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하는 세 가지 융합요소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요소는 융합 단위로서 학교 현장의 수업 운영 방식을 고려하여 개념/탐구과정, 문제/현상, 체험활동의 세 단개로 나누었다. 두 번째 요소는 융합 방식으로 서로 다른 교과목을 어느 정도 융합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융합 정도에 따라 다학문적, 간학문적, 탈학문적 융합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 세 번째 요소는 융합 맥락이다. 글로벌 사회에서의 융합은 개인차원을 넘어, 지역 사회, 나아가 전 세계적인 맥락에서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적 맥락, 지역 사회적 맥락, 세계적 맥락의 세 단계로 나누었다. Ewha-STEAM 융합모형은 앞으로 융합인재 교육의 방향성과 잠재성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내고, 양질의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개발된 융합 프로그램을 평가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theoretical model for STEAM education, entitled to the Ewha-STEAM education model, which could provide more concrete guidelines for science educators and curriculum developers to execute STEAM ideas. We identified key knowledge and key competencies to nurture fu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융합인재교육의 방향성을 구체화하며, 교사들이 현장에서 융합인재교육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Ewha-STEAM 융합모형’을 개발하여 소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융합인재교육의 방향성을 구체화하며, 교사들이 현장에서 융합인재교육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Ewha-STEAM 융합모형’을 개발하여 소개하였다. 우선, Ewha-STEAM 융합모형은 미래 융합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 지식과 핵심 역량을 도출하여 STEAM 교육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핵심 지식이란 창의∙융합형 인재가 갖추어야 하는 기본 지식을 의미하며, 여러 학문을 연계하는 교과기반 통합 개념과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학문을 융합하기 위해 요구되는 각 학문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같은 소양 지식으로 나눌 수 있다.
  • 위치 인식 기술은 문제/현상 중심으로 확대시켜 융합해볼 수 있으나, 에서는 위치 인식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으며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융합해 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방향과 목표에 대해 구체화하고, 현장에서 교사들이 융합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이론 모형(이하 ’Ewha-STEAM 융합모형’으로 칭함)을 개발하였고, 본 논문에서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거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접근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그 결과 과 같이 세 가지 융합 요소를 도출하였다.
  • 그러나 창의∙융합적 인재는 어떤 인재를 의미하는가? 즉, 어떤 능력과 자질을 갖추어야 창의∙융합적 인재라고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합의와 조작적 정의가 선행되어야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창의∙융합적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 지식과 핵심 역량을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합의하였다

가설 설정

  • 뿐만 아니라 이들은 과학과 기술, 공학의 통합을 시도하여 이 학문 영역들에 걸친 7개의 통합 개념을 도출하였다. 여기에는 1) 패턴(patterns), 2) 원인과 결과: 작용원리와 설명(cause and effect: mechanism and explanation), 3) 척도, 비율, 양(scale, proportion, and quantity), 4) 시스템과 모델링(systems and system models), 5) 에너지와 물질: 흐름, 순환, 보존(energy and matter: flows, cycles, and conservation), 6) 구조와 기능(structure and function), 7) 안정성과 변화(stability and change)가 속한다. 융합인재교육에 있어서도 이와 같이 각 학문 영역 내에서의 통합 개념에서 다른 학문 영역까지 확대될 수 있는 교과간의 통합 개념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해되고 있는 STEM 교육에 대한 연구와 적용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STEM 교육에 대한 연구와 적용은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선, 미국의 Virginia 공대에서는 2005년 STEM 교육을 통해 진정한 의미의 통합교육을 이루어내기 위한 노력으로 미국 최초로 전공과정에 통합적 STEM 교육 전공과정(Integrative STEM Education)을 개설하였다. 또한 Virginia 주의 중∙고등학교 기술 교과서에서도 STEM을 중심으로 한 통합 교육 내용이 포함되었다(김진수, 2007). 뿐만 아니라 STEM 통합교육을 위한 이론 모형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Clark와 Ernst(2007)는 TIME(Technology Integration Model for Education)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ITEEA는 K-12 학생들의 기술/공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 각 교과별 기준(national standards)을 기반으로 ‘Engineering by Design’모델을 개발하였다(참조: accessed Mar. 14, 2012.
융합인재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21세기 과학기술 사회는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고,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갖추며,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한다. 현재 대두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또는 STEAM 융합교육이라고 불림)은 이와 같이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여 창의와 인성을 지닌 미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11).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융합인재교육의 방향을 추구하고 있으며(교육과학기술부, 2011), 이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도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천에 대한 요구가 크게 일어나고 있다(신영준, 한선관, 2011).
STEAM 융합교육은 무엇인가? STEAM 융합교육은 현재 미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에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창조적이고 융합적인 인재 양성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예술(Arts)을 통합한 교육을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미국의 경우,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서.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3. 권혁수, 박경숙 (2009). 공학적 디자인: 과학, 기술, 공학, 수학교육의 촉진자. 과학교육연구지, 33(2), 207-219. 

  4. 김재복 (2003). 통합교육 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5. 김진수 (2007).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1-29. 

  6. 김진수 (2011). STEAM 교육을 위한 피라미드 모형과 큐빅 모형.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심포지엄 주제발표. 

  7. 문대영 (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90-101 

  8. 박현주 (2012, 2월). 우리나라 STEAM 교육을 위한 고려사항. 2012년 한국과학교육학회 총회 및 제61차 동계학술대회 발표. 

  9. 배선아 (2011). 중학교 전기전자기술 영역의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1), 1-22. 

  10. 배선아, 금영충 (2009).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 실과교육연구, 15(4), 345-368. 

  11. 신영준, 한선관 (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 514-523. 

  12. 이효녕 (2012, 2월). 외국의 STEM/STEAM 교육 사례. 2012년 한국과학교육학회 총회 및 제61차 동계학술대회 발표. 

  13.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11). 미래융합과학 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STEAM 교육. 2011 대한민국 과학기술연차대회 심포지엄. 

  14.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Washington, DC: AAAS. 

  15. California Science Teacher Association [CSTA] (2009). CSTA position statement on STEM career pathways. Available at: accessed Mar. 14, 2012. http://www.cascience.org/csta/pdf/stem_position.pdf. 

  16. Choi, K., Lee, H., Shin, N., Kim, S., &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17. Clark, A. C., & Ernst, J. V. (2007). A model for the integration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The Technology Teacher, 66(4), 24-26. 

  18. Drake, S. M. (1993). 통합 교육 과정(박영무, 강현석, 허영식, 김인숙 역). 서울: 원미사. (번역 2006 출판). 

  19.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 Shouse, A.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 Ede, S. (2005). Art and science. London and New York: I.B.Tauris. 

  21. Fogarty, R. (1991). Ten ways to integrated curriculum. Educational Leadership, 49(2), 61-65. 

  22.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ITEA] (2007).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3rd Ed.). Reston. VA: Author. 

  23. Kuenzi, J. J. (2008).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education: Background, federal policy, and legislative action.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ports, Paper 35. accessed Mar. 14, 2012. http://digitalcommons.unl.edu/crsdocs/35. 

  24.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Meade, S. D., & Dugger, W. F. (2004). Reporting on the status of technology education in the U.S.: The data on STL and AETL usage is positive in the respect that more and more states are becoming informed about what technology/ technological literacy encompasses. The Technology Teacher, 63, 29-35. 

  26. Merrill, C., Cardon, P., Helgeson, K., & Warner, S. (2006). Technology education research symposium: An actional research approach. The Technology Teacher, 65, 6-10. 

  2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8.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0).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vailable at: accessed Mar. 14, 2012. http://www7.nationalacademies. org/bose/Standards_Framework_Homepage.html. 

  29. Nicholls, G. M., Wolfe, H., Besterfield- Sacre, M., Shuman, L. J., & Larpkiattaworn, S. (2007). A method for identifying variables for predicting STEM enrollment.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6(1), 33-44. 

  30. Sanders, M. (2006, November). A rationale for new approaches to STEM education and STEM education graduate programs. Paper presented at the 93rd Mississippi Valley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Conference, Nashville, TN. 

  31.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echnology Teacher, 68(4), 20-26. 

  32. Sanders, M., Kwon, H., Park. K., & Lee, H. (2011). Integrative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중등교육연구, 59(3), 729-762. 

  33. Smith, C. L., Wiser, M., Anderson, C. W., Krajcik, J., (2006). Implications of research on children's learning for standards and assessment: A proposed learning progression for matter and the atomic molecular. Theory Measurement: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Perspectives, 14(1&2), 1-98. 

  34. Stevens, S., Sutherland, L., & Krajcik, J.S., (2009). The big ideas of nanoscale science and engineering. Arlington, VA: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Press. 

  35. van Langen, A., & Dekkers, H. (2005). Cross-national differences in participating in tertiary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Comparative Education, 41(3), 329-350. 

  36. Wilson, E. O. (1998). 지식의 대통합: 통섭(최재천, 장대익 역). 서울: (주) 사이언스 북스. (번역 2005 출판). 

  37. Yakman, G. (2006). STEM pedagogical commons for contextual learning. Unpublished paper for EDCI 5574 STEM Education Pedagogy. Virginia Tech. 

  38. Witz, K. G., & Lee, H. (2009). Science as an ideal: Teachers' orientations to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1(3), 409-4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