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ITS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담배풀속(Carpesium L.)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Carpesium L. Based on nrDNA ITS Sequenc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5 no.1, 2012년, pp.96 - 104  

유광필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선주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담배풀속(Carpesium L.) 7분류군과 3개의 외군(Inula britannica L., Inula germanica L., Rhanteriopsis lannginosa(DC.) Rauschert)을 대상으로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nuclear ribosomal DNA(nrDNA) 중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지역의 계통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통분류학적 연구방법은 maximum parsimony, neighbor-joining와 maximum likelihood 방법을 사용하였다. 정렬된 계통분의 총 길이는 731 bp이며, ITS1, ITS2와 5.8S 부위의 길이는 각각 284~297 bp, 264~266 bp와 164 bp로 나타났다. 계통분류학 변이를 보이는 site는 111개로 확인 되었으며, 그 중 64개의 site가 계통학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고, ITS1 지역이 ITS2 지역보다 염기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 한국산 담배풀속은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담배풀(C. abrotanoides L.)이 가장 기저부에 위치하였다. 여우오줌(C. macrocephalum Franch. & Sav.)와 두메담배풀(C. triste Maxim.)은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냈으며, 애기담배풀(C. rosulatum Miq.)와 천일담배풀(C. glossophyllum Maxim.) 그리고 좀담배풀(C. cernuum L.)와 긴담배풀(C. divaricatum Siebold & Zucc.)도 유연관계가 가깝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담배풀속 nrDNA의 ITS 지역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 계통학적 연구는 계통분류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logenetic analys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relationships of 7 taxa of Korean Carpesium including three outgroup (Inula britannica L., Inula germanica L., Rhanteriopsis lannginosa (DC.) Rauschert) by using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Phylogenetic studi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우오줌과 두메담배풀의 경우 경엽의 엽병에 있는 날개의 폭이 줄기에 가까이 갈수록 좁아지는 두메담배풀과 날개의 폭이 좁아지지 않는 여우오줌으로 구별하는 등 단편적인 형질만으로 담배풀속 식물을 분류하고 있는 등 한국산 담배풀속 식물의 실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또한 외부형태 형질이 비슷한 분류군들끼리 종간 유연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형태형질과 분자형질을 비교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nrDNA의 ITS 지역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여 국부적이지만 한국산 담배풀속 식물의 종 한계 설정과 종간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nrDNA의 ITS 지역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한국산 담배풀속(Carpesium) 식물의 실체파악과 종 한계 설정 및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긴담배풀과 좀담배풀은 외부형질만으로 두 분류군의 실체 파악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외부형태학적으로 긴담배풀과 좀담배풀의 경우 잎의 연속적인 변이가 발견되어 외부형질만으로 두 분류군의 실체 파악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여우오줌과 두메담배풀의 경우 경엽의 엽병에 있는 날개의 폭이 줄기에 가까이 갈수록 좁아지는 두메담배풀과 날개의 폭이 좁아지지 않는 여우오줌으로 구별하는 등 단편적인 형질만으로 담배풀속 식물을 분류하고 있는 등 한국산 담배풀속 식물의 실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한국산 담배풀속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nrDNA 중 ITS 지역의 계통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무엇인가? 계통분류학 변이를 보이는 site는 111개로 확인 되었으며, 그 중 64개의 site가 계통학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고, ITS1 지역이 ITS2 지역보다 염기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 한국산 담배풀속은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담배풀(C. abrotanoides L.)이 가장 기저부에 위치하였다. 여우오줌(C. macrocephalum Franch. & Sav.)와 두메담배풀(C. triste Maxim.)은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냈으며, 애기담배풀(C. rosulatum Miq.)와 천일담배풀(C. glossophyllum Maxim.) 그리고 좀담배풀(C. cernuum L.)와 긴담배풀(C. divaricatum Siebold & Zucc.)도 유연관계가 가깝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담배풀속 nrDNA의 ITS 지역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 계통학적 연구는 계통분류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담배풀속의 분포지역은 무엇인가? 담배풀속(Carpesium L.)은 Linnaeus(1753)에 의해 설정되었으며, APG II분류체계로 피자식물문(Magnoliphyta), 진정국화군(Euasterids) II, 핵심진정쌍자엽군(Core eudicots), 국화목(Order Asterales), 국화과(Family Asteraceae)에 속하는 분류군으로(APG II, 2003), 전 세계적으로 약 25여 종이 동아시아와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중국, 일본에 18종이 분포하고 있다(Park,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varez, I. and J.F. Wendel. 2003. Ribosomal ITS sequences and plant phylogenetic inference. Mol. Phylogenet Evol. 29:417-434. 

  2. APG II. 2003.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Bot. J. Linn. Soc. 141:399-436. 

  3. Arano, H. 1962. Cytotaxonomic studies in subfamily Carduoidea of Japanese Compositae. Vol. IV. Karyotype analysis in genus Carpesium. Bot. Mag. Tokyo 53:1762-1777 (in Japanese). 

  4. Baldwin, B.G. 1992. Phylogenetic utility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of nuclear ribosomal DNA in plants: An example from the Compositae. Mol. Phylogenet Evol. 1:3-16. 

  5. Baldwin, B.G. M.J. Sanderson, J.M. Porter, M.F. Wojciechowski, C.S. Campbell and M.J. Donaghue. 1995. The ITS region of nuclear ribosomal DNA: a valuable source of evidence on angiosperm phylogeny. Ann. Missouri Bot. Gard. 82:247-277. 

  6. Chung, T.H., B.S. Do, D.B. Lee and H.J. Lee. 1937. Genus Carpesium. In Nominia Plantarum Koreanum. Chosen Nat. Hist. Inst., Seoul, Korea. p. 162 (in Korean). 

  7. Chung, T.H., B.S. Do, D.B. Lee and H.J. Lee. 1956. Korean Flora. Vol. II. Herbaceous plants. Shinjisa, Seoul, Korea. pp. 685-688 (in Korea). 

  8. Drummond, A.J., B. Ashton, S. Buxton, M. Cheung, A. Cooper, C. Duran, M. Field, J. Heled, M. Kearse, S. Markowitz, R. Moir, S. Strones-Havas, S. Sturrock, T. Thierer and A. Wilson. 2011. Geneious pro ver. 5.5, Available from http://www.geneious.com/. 

  9. Englund, M., P. Pornpongrungrueng, M.H.G. Gustafsson and A.A. Anderberg. 2009.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generic delimitation in Inuleae subtribe Inulinase (Asteraceae) based on ITS and cpDNA sequence data. Cladistics 25(4):319- 352. 

  10. Farris, J.S. 1989. The retention index and homoplasy excess. Syst. Zool. 38(4):406-407. 

  11. Farris, J.S.V.A. Albert, M. Kallersjo, D. Lipscomb and A.G. Kluge. 1996. Parsimony jackknifing outperforms neighborjoining. Cladistics 12:99-124. 

  12.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4):783-791. 

  13. Kim, K.J. and R.K. Jansen. 1994. Comparisons of phylogenetic hypotheses among different data sets in dwarf dandelions (Krigia, Asteracea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Plant Syst. Evol. 190:157-185. 

  14. Kim, Y.D., J.W. Park, B.Y. Sun, K.J. Kim, E.J. Lee and S.H. Kim. 2005. ITS sequence variations in common ragweed and giant ragweed. Korean J. Plant Taxon. 35(4):273-285 (in Korean). 

  15.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 J. Mol. Evol. 16:111-120. 

  16. Kluge, A.G. and J.S. Farris. 1969. Quantitative phyletics and the evolution of anurans. Syst. Zool. 18(1):1-32. 

  17. Komarov, V.L. 1903. Flora of Manshuriae. Vol. VII. Daehanmaeilsin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51-55. 

  18.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39-145 (in Korean). 

  19.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307-310 (in Korean). 

  20. Lee, W.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116-1118 (in Korean). 

  21. Lee, Y.N. 1996. Flora of Korea. Gyo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779-781 (in Korean). 

  22.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I. Gyo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279-281 (in Korean). 

  23. Loockerman, D.J. and R.K. Jansen. 1996. The use of herbarium material for DNA studies. In Sampling the green world. Stussey, T. J. and S. Sohmer (eds.),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USA. pp. 205-220. 

  24. Linnaeus, C. 1753. Species Plantarum. pp. 266-267. 

  25. Makino, T. 1922. A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of the Flora of Japan. Vol. II. Japanese J. Bot. p. 22. 

  26. Nakai, T. 1909. Flora Koreana Vol. I. J. Coll. Sci. Imp. Univ. Tokyo. 26:506. 

  27. Nakai, T. 1911. Flora Koreana Vol. II. J. Coll. Sci. Imp. Univ. Tokyo. 31:17-18. 

  28.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Mus. Tokyo. 31:115. 

  29. Park, C.W.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997-998. 

  30. Park, M.K. 1949. Genus Carpesium. In An Enumeration of Korean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pp. 133-134 (in Korean). 

  31. Posada, D. and K.A. Crandall. 1998. Modeltest: Testing the model of DNA substitution. Bioinformatics 14(9):817-818. 

  32. Sang, T., D.J. Crawford, T.F. Stuessy and O.M. Silva. 1995. ITS sequences and the phylogeny of the genus Robinsonia (Asteraceae). Syst. Bot. 20:55-64. 

  33. Son, S.W., J.H. Kim, Y.S. Kim and S.J. Park. 2007. ITS sequence variations in population of Ilex cornuta (Aquifoliaceae). Korean J. Plant Taxon. 37(2):131-141 (in Korean). 

  34. Suh, Y., L.B. Thien, H.E. Reeve and E.A. Zimmer. 1993. Molecular evolution and phylogenetic implication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ribosomal DNA in Winteraceae. American J. Bot. 80:1042-1055. 

  35. Swofford, D.L. 2003. PAUP*: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s). ver. 4.0b10 Sinauer Associates. Inc., Sunderland, Massachusetts, USA. 

  36. White, T.J., T. Birns, S. Lee and J.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Gelfand, D., J. Sninsky and T. White (ed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pp. 315-322. 

  37. Zarin, P., F. Ghahremaninejad and A.A. Maassoumi. 2010. Comparative anatomy and pollen features of Amblyocarpum and Carpesium (Asteracerae: Inuleae) in Iran. Iran. J. Bot. 16(1):49-5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