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배란 처리된 한우의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산차와 계절의 효과
Effects of Parity and Season on Production of Embryos in Superovulated Hanwoo 원문보기

Journal of embryo transfer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v.27 no.3, 2012년, pp.127 - 131  

송상현 (경상대학교 농생명과학원) ,  장덕일 (부산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민찬식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  박준규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축산시험장) ,  주영국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축산시험장) ,  이정규 (경상대학교 농생명과학원) ,  정기화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정주기와 상관없이 CIDR을 삽입하는 날에 50 mg progesterone, 2.5 mg estradiol benzoate를 근육주사하였다. CIDR 삽입 후 4, 5일에 28 AU FSH (Antorin R10)을 4일 동안 감량법으로 주사하였다. 6, 7회 FSH 주사 후 25 mg, 15 mg $PGF_2{\alpha}$를 각각 주사한 다음, CIDR는 7회 FSH 주사 후 제거하였다. 1회째 $PGF_2{\alpha}$ 주사 후 48시간에 $200{\mu}g$ GnRH를 주사하였다. 공란우는 발정확인 후 12시간 간격으로 3회 인공수정을 실시하였으며, 수정란의 채란은 발정확인 후 7일째 회수하였다. 과배란 처리된 공란우에서 회수된 총 난자수, 이식가능 수정란, 퇴행란 및 미수정란은 각각 $11.6{\pm}7.9$, $5.5{\pm}4.4$, $3.0{\pm}3.3$$2.6{\pm}4.1$개였다. 1~2산의 공란우($8.9{\pm}1.9$)보다 3~5산의 공란우($14.3{\pm}1.3$)에서 총 난자수가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회수된 정상 수정란 수도 3~5산의 공란우($7.3{\pm}0.8$)에서 6산 이상의 공란우($3.7{\pm}1.5$)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회수된 총 난자수와 정상수정란도 각각 가을($10.1{\pm}1.8$, $4.5{\pm}1.1$)과 겨울($6.3{\pm}1.8$, $3.3{\pm}1.1$)보다 여름($16.4{\pm}2.3$, $8.1{\pm}1.4$)에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이식가능 수정란은 겨울($3.0{\pm}1.0$)보다 여름($7.6{\pm}1.3$)에서 유의적으로 많이 회수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공란우의 산차, 과배란 처리계절은 한우수정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ity and season on the embryo production in superovulated Hanwoo cows. Superovulation was performed from 1 to 8 times by repeated superovulation treatment of Hanwoo cows (n = 22). Irrespective of estrous cycle, donor cows were received a CID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는 가축 개량 기관 및 대학에서 한우 개량을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수정란을 대량 생산, 보급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지 못함으로써 수정란 이식을 통한 한우 개량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수정란이식 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공란우의 산차, 계절이 한우 체내수정란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 분석하여 수정란 생산 효율을 개선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 수정란이식이 최적의 가축 개량 기술로 인식되는 이유는? 소 수정란이식은 우수 종축의 생산 기반 구축과 개량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우량 형질을 신속하게 보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가축 개량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수정란 생산 효율 및 수태율이 향상되고 있지만,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재해 있다.
한우의 과배란 처리에 있어서 계절적인 요인이 소 체내 수정란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실험 결과는? 한우의 과배란 처리에 있어서 계절적인 요인이 소 체내 수정란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Table 3에 나타내었으며, 과배란 처리 후 회수된 난자 및 수정란의 수는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회수된 총 난자 수는 각각 봄(11.0±2.2) 및 여름(16.4±2.3), 가을(10.1±1.8), 겨울(6.3±1.8)로 나타나 가을과 겨울보다는 여름에서 유의적으로 많이 회수되었으며(P<0.05), 이식가능 수정란의 수도 여름(7.6±1.3개)이 겨울(3.0±1.0개)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정상수정란도 봄, 여름, 가을 및 겨울이 각각 5.7±1.3, 8.1±1.4, 4.5±1.1 및 3.3±1.1개로 가을과 겨울에 비해 여름에서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김 등(2006)은 계절적 요인에 의해 과배란 처리 후 수정란의 회수 성적은 여름(5.
과배란 처리 후 체내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공란우 개체간 과배란 처리에 대한 반응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급선무이다. 과배란 처리 후 체내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요인들 중에는 공란우의 나이(Donaldson, 1984; Lerner 등, 1986), 산차(Hasler 등, 1983; 최 등, 2005), 사양 관리(Yaakub 등, 1999; Bader 등, 2005), 계절, 투여 호르몬의 종류 및 용량(Kanitz 등, 2002; Martinez 등, 2004) 등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계절적 요인은 수정란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Crister 등, 1980; Darrow 등, 1982; Massey와 Oden, 1984), 가을(Greve 등, 1979), 봄과 겨울(Hasler 등, 1983), 여름(Gordon, 1987)은 각각 난소 반응이 증가시키며, 겨울은 영양 상태와 일조량 감소에 따라 과배란 반응이 감소한다(Sreenan, 1983)는 보고도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I-Katanani YM, Paula-Lopes FF and Hansen PJ. 2002. Effect of season and exposure to heat stress on oocyte competence in Holstein cows. J. Dairy Sci. 85:390-396. 

  2. Bader JF, Kojima FN, Wehrman ME, Lidsey BR, Kerley MS and Patterson DJ. 2005. Effects of prepartum lipid supplementation on FSH superstimulation and transferable embryo recovery in multimarous beef cows. Anim. Reprod. Sci. 85:61-70. 

  3. Crister JK, Rowe RF, Delcampo MR and Ginther OJ. 1980. Embryo transfer in cattle: Factors affecting superovulatory respons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and length of posttreatment estrous cycles. Theriogenology 13:397-406. 

  4. Darrow MD, Linder GM and Goemann GG. 1982. Superovualtion and fertility in lactating and dry dairy cows. Theriogenology 17:84 (abstr.). 

  5. Donaldson LE. 1984. Effect of ages of donor cows on embryo production. Theriogenology 21:963-967. 

  6. Gordon I, Boland MP, McGovern H and Lynn G. 1987. Effect of season on superovulatory responses and embryo quality in Holstein cattle in Saudi Arabia. Theriogenology 27:231 (abstr.). 

  7. Greve TM, Lehn-Jensen H and Rasbech ND. 1979. Morphological evaluation of bovine embryos recovered non-surgically from superovulated dairy cows on day 61/2 to 71/2: A fields study. Ann. Biol. Anim. Biochem. Biophys. 19:1599-1611. 

  8. Hasler JF, McCauley AD, Schermerhorn EL and Foote RH. 1983. Superovulatory response of Holstein cows. Theriogeneology 19:83-99. 

  9. Kanitz W, Becker F, Schneider F, Kanitz E, Leiding C, Nohner HP and Pohland R. 2002. Superovulation in cattle: practical aspects of gonadotroipn treatment and insemination. Reprod. Nutr. Dev. 42:587-599. 

  10. Lerner SP, Thayne WV, Baker RD, Hensch T, Meredith S, Inskeep EK, Dailey RA, Lewis PE and Butcher RL. 1986. Age, dose of FSH and other factors affecting superovulation in Holstein cows. J. Anim. Sci. 63:176-183. 

  11. Linder GE and Wright RW Jr. 1983. Bovine embryo morphology and evaluation. Theriogenology 20:407-416. 

  12. Martinez MF, Kastelic JP and Mapletoft RJ. 2004. The use of estradiol and or GnRH in a two-dose PGF protocol from breeding management of beef heifers. Theriogenology 62: 363-372. 

  13. Massey JM and Oden AJ. 1984. No seasonal effect on embryo donor performance in the southwest region of the USA. Theriogenology 21:196-217. 

  14. Rehman N, Colins, Shu TK and Wright JrRW. 1994. Development of in vitro and fertilized bovine oocytes co-cultured with Buffalo Rat Liver cells. Theriogenology 41:1453- 1462. 

  15. Ruteldge JJ, Monson, RL, Northey D and Leibfried-Rutledge ML. 1999. Seasonality of cattle embryo production in a temperate region. Theriogenology 51:330 (abstr.). 

  16. Ryan DP, Prichard JF, Kopel E and Godke RA. 1993. Comparing early embryo mortality in dairy cows during hot and cool seasons of the year. Theriogenology 39:719-737. 

  17. Sreenan JM. 1983. Methods of consistent supply, recovery and transfer of embryos in cattle. In: Strategies for the most efficient beef production. Proc. Int. Symposium Beef Prod. Kyoto, Japan pp.19:197-212. 

  18. Walters AH, Bailey TL and Pearson RE. 2002. Parity changes in bovine follicle and oocyte populations, oocyte quality, and hormones to 90 days postpartum. J. Dairy Sci. 85:824-832. 

  19. Yaakub H, O'Callaghan D and Boland MP. 1999. Effect of type and quantity of concentrations of superovulation and embryo yield in beef heifers. Theriogenology 51:1259-1266. 

  20. 김영훈, 고진철, 오창언, 강승률, 양보석, 오성종, 김창능, 송중용, 김일화. 2006. CIDR를 이용한 제주 한우 및 흑우의 체내 수정란 생산과 이식.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1:191-198. 

  21. 손귀동, 송상현, 정우재, 박충생, 이정규, 공일근. 2008. 한우체내 수정란 이식후 수태율에 미치는 요인.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3:37-42. 

  22. 손동수, 한만희, 최창용, 최선호, 조상래, 김현종, 류일선, 최성복, 이승수, 김영근, 김삼기, 김상희, 신권희, 김일화. 2006. 우수 한우의 수정란 생산 및 이식.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1:147-156. 

  23. 최선호, 류일선, 손동수, 조상래, 한만희, 김현종, 최창용, 김영근. 2005. 한우 반복 과배란 및 산차가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0:185-1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