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인 분석을 통한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 탐색
Exploring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of Scaffolding in Open Inquiry through Factor Analysi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7, 2012년, pp.1204 - 1221  

박재용 (강원대학교) ,  이기영 (강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적 탐구에서 요구되는 스캐폴딩 요소를 추출하고, 효과적인 개방적 탐구를 위한 교사의 스캐폴딩 기능을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통해 탐색해 보는 것이다. 개방적 탐구에서 요구되는 스캐폴딩 요소를 탐색하기 위하여 두 중학교에서 개방적 탐구를 수행했던 1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적 탐구에 대한 반응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 결과에 대해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에 응했던 학생들 중 일부를 대상으로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추출된 스캐폴딩 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개방적 탐구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개방적 탐구에서 교사의 스캐폴딩 기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살펴보았다.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스캐폴딩 요소(탐구 동기, 탐구 계획, 탐구 전략, 탐구 환경, 탐구 참여)를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학생들은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중 탐구 동기를 제외한 탐구 계획, 탐구 전략, 탐구 환경, 탐구 참여에서 어려운 점을 제시하였고, 특히 자기 역할 인식, 과제 수행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모둠원들과의 협력으로 대표되는 참여적 요소를 강화하기 위한 도움 방안을 요구하였다. 한편, 개방적 탐구에서 스캐폴딩의 기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심층 면접을 통해 탐색한 결과, 교사들이 생각하는 스캐폴딩의 기능들을 인지적(개념적, 메타 인지적), 정서적(동기적, 중재적), 전략적 기능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고, 교사들은 스캐폴딩의 전략적 기능과 인지적 기능을 정서적 기능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방적 탐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scaffolding in open inquiry and to explore the functions of teachers' scaffolding, which is necessary to support students' open inquiry. In order to identify scaffolding components, at first, we conducted a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를 추출하고 그 수준을 탐색하는 것은 두 중학교 학생들의 설문지와 인터뷰 내용을 통해 파악하였을 뿐 전체적인 학생들의 반응을 담고 있지 못하며, 개방적 탐구에서 스캐폴딩의 기능을 살펴보는 것은 개방적 탐구를 지도했던 교사 4명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파악하였을 뿐 전체 과학교사들의 합의를 이끌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특정 지역에 위치한 두 중학교의 사례를 통해 얻은 결과임을 밝히고, 이 점은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있어서 제한을 줄 수 있다.
  • 이 연구는 요인 분석을 통하여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를 추출한 후,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요소별 반응 수준을 탐색하고, 교사 심층 면접을 통해 요소별 스캐폴딩의 기능을 살펴본 것이다.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를 추출하고 그 수준을 탐색하는 것은 두 중학교 학생들의 설문지와 인터뷰 내용을 통해 파악하였을 뿐 전체적인 학생들의 반응을 담고 있지 못하며, 개방적 탐구에서 스캐폴딩의 기능을 살펴보는 것은 개방적 탐구를 지도했던 교사 4명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파악하였을 뿐 전체 과학교사들의 합의를 이끌기에는 한계가 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적 탐구를 수행했던 중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여 개방적 탐구에서 요구되는 스캐폴딩 요소를 추출하고, 개방적 탐구를 위한 교사의 스캐폴딩 기능을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통해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적 탐구에서 요구되는 스캐폴딩 요소를 추출하고, 효과적인 개방적 탐구를 위한 교사의 스캐폴딩 기능을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통해 탐색해 보는 것이다. 개방적 탐구에서 요구되는 스캐폴딩 요소를 탐색하기 위하여 두 중학교에서 개방적 탐구를 수행했던 1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적 탐구에 대한 반응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 결과에 대해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을 탐색함으로써 개방적 탐구를 지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한편, 개방적 탐구에서 스캐폴딩의 기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심층 면접을 통해 탐색한 결과, 교사들이 생각하는 스캐폴딩의 기능들을 인지적(개념적, 메타인지적), 정서적(동기적, 중재적), 전략적 기능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고, 교사들은 스캐폴딩의 전략적 기능과 인지적 기능을 정서적 기능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방적 탐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가설 설정

  • 학생들은 요소 Ⅰ(탐구 동기)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에서 어려운 점을 제시하였고, 특히 모둠원 사이의 갈등(협력 부족)을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개방적 탐구를 계속 수행한다고 가정했을 때 교사에게 바라는 점에 대하여 모둠원 사이의 협동을 가장 바라는 점으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탐구 수업의 목표 중 하나는? 과학 탐구 수업의 목표 중 하나는 학생들로 하여금 성취할 수 있는 수준의 개방적 탐구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과학 탐구의 본성을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German et al., 1996; Vasques, 2008; Wellington & Ireson, 2008).
자유 탐구란?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및 그 해설서에 기술된 자유 탐구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자유 탐구는 탐구의 형식(Colburn, 2000) 또는 탐구의 유형(Access Center, 2006)에서 탐구 문제, 탐구 절차 및 내용, 산출물 등을 모두 학생이 결정하는 개방적 탐구(open inquiry)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과학적 탐구의 차원에서도 학생 주도적(pupil-led)이고 비구조적(unstructured)이며, 개방적(open)인 탐구로 구분된다(Wellington & Ireson, 2008).
이 연구는 특정 지역에 위치한 두 중학교의 사례를 통해 얻은 결과임을 밝히고, 이 점은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있어서 제한을 줄 수 있다고 본 이유는? 이 연구는 요인 분석을 통하여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를 추출한 후,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요소별 반응 수준을 탐색하고, 교사 심층 면접을 통해 요소별 스캐폴딩의 기능을 살펴본 것이다.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를 추출하고 그 수준을 탐색하는 것은 두 중학교 학생들의 설문지와 인터뷰 내용을 통해 파악하였을 뿐 전체적인 학생들의 반응을 담고 있지 못하며, 개방적 탐구에서 스캐폴딩의 기능을 살펴보는 것은 개방적 탐구를 지도했던 교사 4명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파악하였을 뿐 전체 과학교사들의 합의를 이끌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특정 지역에 위치한 두 중학교의 사례를 통해 얻은 결과임을 밝히고, 이 점은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있어서 제한을 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원교육과학정보원 (2011). 즐거운 도전! 자유 탐구(중학생용 워크북).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III: 수학, 과학, 기술?가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김재윤, 임희준 (2011). 초등학생들이 수행한 자유 탐구의 특징과 문제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학연구, 15(2), 535-554. 

  4. 박재용, 이기영 (2011). 중학교 과학 자유 탐구 수행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학연구, 15(3), 603-632. 

  5. 박종선, 송영욱, 김범기 (2011). 초등학생들이 선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43-152. 

  6. 박종호, 김재영, 배진호 (2001).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0(20), 271-280. 

  7. 변선미, 김현주 (2011).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10-224. 

  8. 신재한 (2011). 스캐폴딩(scaffolding) 전략을 활 용한 수업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초등교육연구, 24(2), 25-46. 

  9. 신현화, 김효남 (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10. 이순묵 (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11. 임성만, 양일호, 김순미, 홍은주, 임재근 (2010).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91-303. 

  12. 정우경, 이준기, 오상욱 (2011).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탐구활동 중 주제선정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99-1213. 

  13.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2011). 중학교 2.3학년 과학 자유탐구 교수.학습 및 평가.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4. 최정임, 엄미리, 허혜자 (2011). 디지털교과서를 위한 인지적 스캐폴딩 설계 원리 개발: 6학년 수학 분수단원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3(1), 31-62. 

  15. Access Center (2006). Science inquiry: The link to accessing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ashington, DC: The Access Center. 

  16.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Project 2061.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7. Bean, T. W., & Patel Stevens, L. (2002). Scaffolding reflection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3(2), 205-218. 

  18. Bransford, J., Brown, A., & Cocking, R. (Eds.). (2000).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 

  19. Colburn, A. (2000). An inquiry primer, Science Scope, 23(6), 42-44. 

  20. Enkenberg, J. (2001). Instructional design and emerging models in higher educ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7, 495-506. 

  21. Flick, L. B., & Lederman, N. G. (2006). Scientific inquiry and nature of science(Implication for teaching, 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Netherlands: Springer. 

  22. German, P. J., Haskins, S., & Auls, S.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la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475-499. 

  23. Gillies, R. M. (2008).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behaviours, discourse and learning during a science-based learning activity.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29(3), 328- 347. 

  24. Greenfield, P. M. (1984). A theory of teacher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everyday life. In B. Rogoff&J. Lave (Eds), Everyday cognition: In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pp. 117-138).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5. Gregory, G. H., & Chapman, C. M. (2006).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Strategies: One Size Doesn't Fit All(2nd Ed), California: Corwin Press. 

  26. Hill, J. R., & Hannafin, M. J. (2001). Teaching and learning in digital environments: The resurgence of resource-based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49(3), 37 52. 

  27. Hmelo-Silver, C. E., Duncan, R. G. & Chinn, C. A. (2007). Scaffolding and Achievement in Problem-Based and Inquiry Learning: A Response to Kirschner, Sweller, and Clark (2006). Educational Psychologist, 42(2), 99-107. 

  28. Klentschy, M., & Thompson, L. (2008). Scaffolding Science Inquiry Through Lesson Design. NH: Heinemann. 

  29. Maybin, J., Mercer, N., & Steirer, B. (1992). 'Scaffolding'learning in the classroom. In K. Norman (Ed.). Thinking voices: The work of the National Curriculum Project. London:Hodder and Stoughton for the National Curriculum Council, London. 

  30. McLoughlin, C. (2002). Learning support in distance and networked learning environments: Ten dimensions for successful design. Distance Education, 23(2), 149-162. 

  31.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3. Palincsar, A. S. (1998).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s on teaching and learn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9, 345-375. 

  34. Palincsar, A. S., & Brown, A. L. (1984). Reciprocal teaching of comprehensionfostering and comprehension-monitoring activities. Cognition and Instruction, 1, 117- 175. 

  35. Saye, J. W., & Brush, T. (2002). Scaffolding critical reasoning about history and social issues in multimedia-supported learning environments. ETR&D, 50(3), 77-96. 

  36. Stone, C. A. (1993). What is missing in the metaphor of scaffolding? In E. A. Forman & N. Minick & C. A. Stone (Eds.), Contexts for learning: Sociocultural dynamics in children's development (pp. 169-183).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7. Stone, C. A. (1998). The metaphor of scaffolding: Its utility for the field of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1, 344-364. 

  38. Tomkins, S. P., & Tunnicliffe, S. D. (2001). Looking for ideas: Observation, interpretation and hypothesis-making by 12 year-old pupils undertaking science investig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 791-813. 

  39. Tomlinson, C. A. (2001). How to Differentiate Instruction in Mixed-Ability Classrooms (2nd Edition). Alexandria: ASCD. 

  40. Van der Valk, T., & De Jong, O. (2008). Scaffolding Science Teachers in Open-inquiry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iFirst Article, 1-22. 

  41. Vasques, J. A. (2008). Tools & Traits: Highly effective science teaching, K-8. Portsmouth, NH: Heinemann. 

  42. Verenikina, I. (2003). Understanding Scaffolding and the ZPD in Educational Research. Conference papers of AARE(Australi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Education), http://aare.edu.au. 

  43. Weinstein C. S. (1989). Teacher Education Students'Preconceptions of Teach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0(2), 53-60. 

  44. Wellington, J., & Ireson, G. (2008). Science learning, science teaching. London: Routledge. 

  45. Wells, G. (1999). Dialogic Inquiry: Towards a Sociocultural Practice and Theory of Educ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Wood, D., Bruner, J., & Ross, G. (1976). The role of tutoring in problem solving.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7, 89-1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