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음향 해석 모델을 통한 가스터빈 연소기에서의 선형 안정성 분석
Linear Stability Analysis in a Gas Turbine Combustor Using Thermoacoustic Models 원문보기

한국연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bustion, v.17 no.2, 2012년, pp.17 - 23  

김대식 (강릉원주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rmoacoustic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in order to predict both eigenfrequencies and initial growth rate of combustion instabilities for lean premixed gas turbine combustors. As a first step, a model combustor and nozzle were selected and analytical linear equations for thermoa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중, 본 논문에서는 연소 불안정 주파수 및 현상이 발생하는 조건 등의 예측을 위하여 보편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열음향 해석 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들이 이러한 해석 모델의 적용이 기초 버너 시험 등의 단순한 형상의 연소기에 제한되었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산업용 가스터빈에서 측정된 연소 불안정 측정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해석 모델의 적용 확장과 제한 사항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가스터빈 희박 예혼합 연소기에서의 연소 불안정을 해석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불안정파의 고유 주파수와 성장률을 예측하는 열음향 해석 모델이 개발되었다. 이를 위하여, 주어진 노즐과 연소기 시스템에서의 선형 해석 모델에 요구되는 분석학적 선형 관계식이 유도되었고, 선형 시스템 안정성 해석 모델로부터의 고유 주파수 해석 방안이 구축되었으며, 성장률 해석 방법이 제시되었다.
  • 상기한 노즐과 더불어 가변 길이 연소기로부터의 실험 결과가 연소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이 연소기는 Fig.
  • 이를 위한 다양한 연소 불안정 예측과 해석 기술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1-5]. 이 중, 본 논문에서는 연소 불안정 주파수 및 현상이 발생하는 조건 등의 예측을 위하여 보편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열음향 해석 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들이 이러한 해석 모델의 적용이 기초 버너 시험 등의 단순한 형상의 연소기에 제한되었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산업용 가스터빈에서 측정된 연소 불안정 측정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해석 모델의 적용 확장과 제한 사항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짧은 화염의 가정 : 본 연구 모델에서는 화염이 극히 짧다고 가정하였으나, 실제 화염의 경우 일부 조건에서는 다소 길게 계측되었다. 따라서, 음향파의 jump condition에서의 오류, 또는 공간적으로 넓은 화염 분포에 따른 n-τ 모델의 부정확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6,8].
  • 또한 식 (15)의 비정상 열발생을 구하기 위하여 참고문헌[8,10]에 소개되었던 화염 전달 함수의 측정 결과가 사용되었다. 출구에서는 음향학적인 측면에서 완전히 닫혀 있는 경계 조건으로 가정하여 반사 계수 R1과 R2를 모두 1이라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와 같이 쵸킹 입구의 경우 입사되는 음향파의 일부를 흡수하여 실제로는 1보다 작은 반사 계수를 가질 수 있다[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발생률의 진동이 초래하는것과 역할은? 희박 예혼합 가스터빈 연소기의 경우, 대부분의 운전 조건이 희박 한계 영역의 매우 낮은 당량비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이러한 영역에서의 화염은 미세한 외부 인자의 섭동에도 쉽게 반응하게 되어, 결국 연소기 입구에서의 작은 당량비 또는 혼합기 속도 변화 등에 대하여 열발생률의 변동이 쉽게 증폭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발생률의 진동은 연소기 내에서의 압력 진동을 초래하게 되고, 다시 연소실 내부 압력 진동은 상류의 노즐 및 연료 공기 혼합 공간으로 피드백 되어 혼합기의 속도 및 당량비와 같은 열역학적 상태량의 진폭을 가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1-3].
희박 예혼합 가스터빈 연소기의 특징은? 희박 예혼합 가스터빈 연소기의 경우, 대부분의 운전 조건이 희박 한계 영역의 매우 낮은 당량비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이러한 영역에서의 화염은 미세한 외부 인자의 섭동에도 쉽게 반응하게 되어, 결국 연소기 입구에서의 작은 당량비 또는 혼합기 속도 변화 등에 대하여 열발생률의 변동이 쉽게 증폭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발생률의 진동은 연소기 내에서의 압력 진동을 초래하게 되고, 다시 연소실 내부 압력 진동은 상류의 노즐 및 연료 공기 혼합 공간으로 피드백 되어 혼합기의 속도 및 당량비와 같은 열역학적 상태량의 진폭을 가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1-3].
희박 예혼합 가스터빈을 설계에 연소 불안정 현상을 파악하고 운전해야하는 이유는? 이러한 연소 불안정 현상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열응력의 축적과 과도한 진동 등으로 인하여 연소실 라이너 및 연료 노즐과 같은 연소기 부품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더욱 악화될 경우, 터빈과 전체 시스템의 변형 및 파괴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희박 예혼합 가스터빈을 설계, 제작, 사용을 위해서는 연소 불안정 현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제어 알고리즘의 파악과 적절한 운전 영역의 선택이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Lieuwen, T. et al., "Combustion instabilities in gas turbine engines", AIAA, Washington, 2005. 

  2. Preetham, T., "Modeling the response of premixed flames to flow disturbances", Ph.D. thesis,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7. 

  3. Lieuwen, T., "Introduction: Combustion dynamics in lean-premixed prevaporized(LPP) gas turbines", Journal of Propulsion and Power, Vol. 19, No. 5, pp.721, 2003. 

  4. Truffin, K. et al., "Comparison and extension of methods for acoustic identification of burners", Combustion and Flame, Vol. 142, No. 4, pp.388-400, 2005. 

  5. Lieuwen, T., "Modeling premixed combustionacoustic wave interactions: a review", Journal of Propulsion and Power, Vol. 19, No. 5, pp.765-781, 2003. 

  6. Kim, K. et al., "Spatially distributed flame transfer functions for predicting combustion dynamics in lean premixed gas turbine combustors", Combustion and Flame, Vol. 157, No. 9, 2010, pp.1718-1730 

  7. Schuller, T. et al., "A unified model for the prediction of laminar flame transfer functions: comparisons between conical and V-flame dynamics", Combustion and Flame, Vol. 134, No. 1, pp.21-34, 2003. 

  8. Kim, D. et al., "Effect of flame structure on the flame transfer function in a premixed gas turbine combustor", Journal of Engineering for Gas Turbine and Power, Vol. 132, No. 2, pp. 021502.1-021502.7, 2010. 

  9. Kim, D., "Combustion instability measurements in a lab-scale gas turbine combustor and linear thermoacoustic model development,: Procedeeings of 1st KOSCO Workshop, pp. 231-242, 2011. 

  10. 김대식, "난류 예혼합 연소기에서의 흡입 유동 섭동에 대한 화염의 동적 거동", 한국연소학회지 제14권 제4호 pp. 48-53, 2009. 

  11. Lee, H. J.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upling of combustion instability mechanisms in a lean premixed gas turbine combustor", ASME paper, GT2009-60009, 2009. 

  12. Schuller, T. et al., "The role of nonlinear acoustic boundary conditions in combustion/acoustic coupled instabilities", ASME paper, GT2009-59390. 2009. 

  13. Noiray, N. et al., "A unified framework for nonlinear combustion instability analysis based on the flame describing function", Journal of Fluid Mechanics, Vol. 615, pp.139-16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