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호장근(Reynoutria elliptica)으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분리 및 구조결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compounds from Reynoutria elliptica 원문보기

농업과학연구 =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39 no.4, 2012년, pp.583 - 589  

황주태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박영식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김영신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김진철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 정밀화학연구센터) ,  임치환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ntinued research on natural fungicides for the control of plant diseases by using plant-derived products, we found that Reynoutria elliptica. had a strong fungicidal activity against several plant pathogens. R. elliptica (3.2 kg) were extracted with 80% aq.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호장근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여 항균 물질을 분리·정제 및 구조 결정하고 환경 친화형 작물보호제로서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을 통해 만들어진 2차 대사산물은 대부분 무엇을 통해서 생합성되는가? 지구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서식하고 있고 이들은 다양한 2차 대사산물을 만든다. 2차 대사산물은 대부분 isoprenoid, phenylpropanoid, alkaloid, 또는 fatty acid/polyketide pathway를 통해서 생합성된다. 이러한 경로를 통해서 생산된 2차 대사산물중에는 미생물의 공격, 곤충 및 동물의 섭식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서 생합성되는 것이 있는데 이를 phytoalexin이라고 한다(VanEtten et al.
Phytoalexin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 2004). Phytoalexin을 몇가지 분류로 나누어 보면 indoles, alkaloids, isoflavonoids, flavonoids 그리고 isoprenoids로 나눌 수 있다. 옥수수에 존재하는 DIMBOA는 살아있는 식물체에서 glucosides로 존재하다가 세포가 상처 받으면 생합성된다(Hofman and Hofmanova, 1971).
민간에서 호장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호장(Reynoutria elliptica)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그 뿌리를 호장근이라고 한다. 민간에서는 완하, 이뇨, 통경, 진해진정약으로 쓰이고 류마티즘에 의한 근골동통, 습열황달, 임탁, 대하, 산후의 악로체류, 복부의 결괴, 치루출혈 그리고 악창선질의 치료약으로 사용되어 왔다(Chi et al., 198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oyun W, Dalei Z, Hongmei M, Juntian L. 2007. Neuroprotective effects of emodin-8-O- $\beta$ -d-glucoside in vivo and in vitro.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577:58-63. 

  2. Chi HJ, Choi JR, Yu SC. 1982.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Ho-Jang. Korea Journal of Pharmacology 13(4):145-152. [in Korean] 

  3. Cho JY, Choi GJ, Lee SW, Lim H, Jang KS, Lim CH, Cho KY. Kim JC. 2006. In viv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ic fungi of curcuminoids isolated from Curcuma longa L. rhizomes. Plant Pathology Journal 22:94-96. 

  4. Chun G. 2010. Anti-tumor activity of emodin against human chronic myelocytic leukemia K562 cell lines in vitro and in vivo.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627:33-40. 

  5. Cooper RM. 1996. Detection and cellular localization of elemental sulphur in disease-resistant genotypes of Theobroma cacao. Nature 379:159-162. 

  6. Coskun M, Satake T, Hori K, Saiki Y, Tanker M. 1990. A new anthraquinone glycoside, physcion 8-O- $\beta$ -rutinoside, was isolated from the bark of R. libanoticus together with emodin, its 6-O- $\alpha$ -L-rhamnoside and 8-O- $\beta$ -D-glucoside, and kaempferol. Phytochemistry 29(6):2018-2020. 

  7. Feng Y, Huang SL, Dou W, Zhang S, Chen JH, Shen Y, Shen JH, Leng Y. 2010. Emodin, a natural product, selectively inhibits 11 $\beta$ -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and ameliorates metabolic disorder in diet-induced obese mice.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61(1):113-126. 

  8. Fukui H, Egawa H, Koshimizu K, Mitsui T. 1973. New isoflavone with antifungal activity from immature fruits of Lupinus luteus. 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37(2): 417-421. 

  9. Hector RB, Waldo L 1996. Antialg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natural hydroxamic acids and related compound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4:1569-1571. 

  10. Hofman J, Hofmanova O. 1971. 1,4-Benzoxazine derivatives in plants absence of 2,4-dihydroxy-7-methoxy-2H-1,4-benxozazin- 3(4H)-one from uninjured Zea mays plants. Phytochemistry 10:1441-1444. 

  11. Kato T, Morita Y. 1987. Anthraquinone components in Rumex acetosa L. Shoyakugaku Zasshi 41(1):67-74. 

  12. Kim DK, Choi SU. 1998. Cytotoxic constituents of Rumex japonicus. Yakhak Hoeji 42:233-237. 

  13. Kim JC, Choi G., Park JH, Kim HT, Cho KY. 2001.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of phomalactone isolated from Nigrospora sphaerica. Pest Management Science 57:554-559. 

  14. Ma X, Yang X, Zeng F, Yang L, Yu D, Ni H. 2010. Physcion, a natural anthraquinone derivative, enhances the gene expression of leaf-specific thionin of barley against Blumeria graminis. Pest Management Science 66(7):718-724. 

  15. Reyes-Chilpa R, Gomez-Garibay F, Moreno-Torres G, Jimenez- Estrada M, Quiroz-Vasquez, RI. 1998. Flavonoids and isoflavonoids with antifungal properties from Platymiscium yucatanum heartwood. Holzforschung 52(5):459-462. 

  16. Richard AD. 2001. Natural products and plant disease resistance. Nature 411:843-847. 

  17. Sirat HM, Russell GB. 1989.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wo antifungal pterocarpans from Ulex europaeus L. Pertanika 12(3):395-398. 

  18. Srinivas G, Babykutty S, Sathiadevan PP, Srinivas P. 2007. Molecular mechanism of emodin action: transition from laxative ingredient to an antitumor agent. Medicinal Research Reviews 27(5):591-608. 

  19. Soledade M, Pedras C, Jun L. 2004. Designer phytoalexin: probing calmalexin detoxification pathways in the phytopathogen Rhizoctonia solani. Organic Biomolecular Chemistry 2:1070-1076. 

  20. Vanetten HD, Matthews DE, Matthews PS. 1989. Phytoalexin detoxification: importance for pathogenicity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nual Review of Phytopathology 27:143-164. 

  21. Vollekova A, Kost'alova D, Kettmann V, Toth J. 2003. Antifungal activity of Mahonia aquifolium extract and its major protoberberine alkaloids. Phytotherapy Research 17(7):834-837. 

  22. Xiang MX , Xu , Su HW, Hu J, Yan Y. 2011. Emodin-8-O- $\beta$ -D-glucoside from Polygonum Amplexicaule D. Don var. Sinense Forb. promote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Molecules 16(1):728-737. 

  23. Ye M, Han J, Chen H, Zheng J, Guo D. 2007.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rhubarb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Mass Spectrometry 18(1):82-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