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돈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dor Emitted from Swine Facilities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4 no.7, 2012년, pp.439 - 444  

김재혁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유경선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오제범 (한국환경공단 유해대기관리팀) ,  정주영 (한국환경공단 유해대기관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제운영 중인 40여개 양돈시설을 대상으로 사육밀도, 경영방식, 돈사환기방식, 돈분뇨 처리방식 및 악취저감제 적용특성 등의 관리현황을 파악하고 관능평가 및 악취물질 분석을 통하여 양돈시설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유발물질과 악취발생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양돈시설 악취발생원 중 악취농도(복합악취)는 액비화시설(포기 상태)(평균 4,055배) > 분뇨집수조(평균 913배) > 비육사(평균 506배) > 퇴비화시설(평균 201배) 순으로 조사되었다. 비육사의 경우 슬러리 피트 내부의 돈분뇨 적체높이가 높아질수록, 사육밀도가 높을수록 발생하는 악취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사료첨가 유무에 따른 악취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MA를 제외한 9종의 악취물질($NH_3$$H_2S$, MM, DMS, DMDS, PA, n-BA, n-VA, i-VA)이 돈사와 분뇨저장조 및 퇴비화시설에서 검출되었으며, 악취기여도가 높은 물질은 $H_2S$, MM 등의 황화계열물질과 n-BA, n-VA, i-VA 등의 휘발성 지방산류이었다. 조사 대상 양돈시설의 97.5%가 주거지역과 300 m 이내에 위치하고 있어 악취민원 발생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odor emitted from 40 swine facilities across the country under various conditions like rearing densities, management style, ventilation system and swine manure handling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olfactory and analytical evaluation. Odor concentrations (D/T) meas...

주제어

참고문헌 (19)

  1. 2010년 악취민원 실태분석 보고서, 환경부(2011). 

  2. Park, G. H., Oh, G. Y., Jung, K. H., Jung, S. Y. and Cha, G. S., "The Odor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Raising Facility," Kor. J. Odor Res. Eng., 4(4), 207-215(2005). 

  3. SKinner, J. A., Lewis, K. A., Bardon, K. S., Tucker, P., Catt, J. A. and Chambers, B. J., "An Overview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f Agriculture in the U. K.," J. Environ. Manage., 50, 111-128(1997). 

  4. Schiffman, S. S., Bennett, J. L. and Raymer, J. H., "Quantification of odors and odorants from swine operations in North Carolina," Agr. Forest. Meteorol., 108(3), 213-240 (2001). 

  5. Blanes, V. V., Hansen, M. N., Adamsen, A. P. S., Feilberg, A., Petersen, S. O. and Jensen, B. B., "Characterization of odor released during handling of swine slurry: Part I. Relationship between odorants and perceived odor concentrations," Atmos. Environ., 43, 2997-3005(2009). 

  6. Mackie, R. I., Stroot, P. G. and Varel, V. H., "Biochemical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orgin of key odor components in livestock waste," J. Anim. Sci., 76, 1331-1342(1998). 

  7. The Science of Smell Part 2 : Odor Chemistry (PM 1963b), Iowa state university animal agriculture and air quality publication( 2004). 

  8. McCroty, D. F. and Hobbs, P. J., "Additives to reduce ammonia and odor emissions from livestock wastes: A review," J. Environ. Qual., 30, 345-355(2001). 

  9. Kim, K. Y., Ko, H. J., Kim, H. T., Kim, Y. S., Roh, Y. M., Lee, C. M. and Kim, C. N., "Odor reduction rate in the confinement pig building by spraying various additives," Bio. Technol., 99, 8464-8469(2008). 

  10. Wui, J. J. and Masten, S. J., "Oxidation kinetics of phenolic and indolic compounds by ozone: applications to synthetic and real swine manure slurry," Water Res., 36, 1513-1526(2002). 

  11. Ryu, H. W., Cho, K. S., Lee, T. H. and Mook, H., "Management fo offensive odors in swine production facilities: I. Domestic status and offensive odors in swine production," Kor. J. Odor Res. Eng., 2(2), 78-85(2003). 

  12. Hartung, J. and Phillips, V. R., "Control of Gaseous Emissions from Livestock Buildings and Manure Stores," J. Agric. Eng. Res., 57, 173-189(1994). 

  13. Willig, S., Lacorn, M. and Claus, R., "Development of a rapid and accurate mehtod for the determination of key compounds of pig odor," J. Chromato. A., 1038(1-2), 11-18 (2004). 

  14. 악취공정시험법, 국립환경과학원(2007). 

  15. Portejoie, S., Dourmad, J., Martinez, J. and Lebreton, Y., "Effect of lowering dietary crude protein on nitrogen excretion, manure composition and ammonia emission from fattening pigs," Live. Prod. Sci., 91, 45-55(2004). 

  16. Le, P. D., Aarnink, A. J. A. and Jongbloed, A. W., "Odour and ammonia emission from pig manure as affected by dietary crude protein level," Live. Sci., 121, 267-274(2009). 

  17. Lee, E. Y.,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alodor Produced from the Excreta of Weaners Fed with Probiotics and Odor Contribution Analysis of Odor Materials," Kor. J. Odor Res. Eng., 10(3), 147-154(2011). 

  18. Park, S. K., Choi, J. G. and Chung, Y. J., "A Practical Study on the Solid-Liquid Separation of the Swine Wastewater from Slurry Feedlot," J. Kowrec., 8(2), 60-70(2000). 

  19. 악취관리편람, 환경부(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